[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 타타그룹이 대만 기업과 손잡고 현지에 첫 파운드리 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UMC나 PSMC가 파트너사 후보로 꼽힌다. 성숙 공정을 도입하고 초기 월 웨이퍼 2만5000장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다는 복안이다. 미·중 분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제3의 반도체 허브'로 인도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UMC가 중국 합작사 USCXM를 전액 출자 자회사로 편입하려는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공급망 축소를 우려한 중국 정부가 UMC의 지분 인수를 막아서다. UMC는 USCXM의 지분 전량 매입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혔다. USCXM은 중국 샤먼시·푸젠성 정부와 UMC가 합작해 2014년 10월 설립한 회사다. UMC가 약 69.95%, 중국 정부가 남은 지분을 보유한다. USCXM는 28·40·55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을 기반으로 한 12인치(300㎜) 웨이퍼 팹을 운영하고 있다. 월 2만7500장의 생산능력을 확보했으며 작년 1~3분기 기준 당기순이익은 20억6200만 위안(약 3760억원)에 달한다. UMC는 작년 4월 이사회에서 USCXM을 전액 출자 자회사로 편입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48억5800만 위안(약 8870억원)을 투자해 중국 정부가 소유한 지분을 3년 이내로 세 번에 걸쳐 인수하고 지분을 100%로 늘리기로 했다. 6개월 후인 10월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도 받았다. 투자심의위원회는 자회사 편입으로 경영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파운드리 업체 UMC가 올해 투자를 대폭 줄인다. TSMC와 SK하이닉스도 투자비 조정과 감산에 나섰다. 반도체 시황이 침체되면서 전반적으로 공급량을 줄이는 분위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UMC는 26일(현지시간) 2022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자본 지출 계획을 36억 달러(약 5조1040억원)에서 30억 달러(약 4조2530억원)로 정정했다. 제이슨 왕 UMC 공동 대표는 "4분기 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수요 약세가 지속되며 역풍을 맞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스마트폰과 PC 수요의 장기간 침체를 확인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가까운 시일 내에 회복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싱가포르와 대만 타이난 공장 확장은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이다. UMC는 지난 2월 싱가포르에 50억 달러(약 7조880억원)를 투자해 월 웨이퍼 3만장 규모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었다. 5월 싱가포르 국영 공업단지 운영기관인 JTC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약 11만㎡ 규모 부지를 임대했다. 대만 타이난 난케 산업단지 내 P6라인 생산능력도 오는 내년 2분기까지 월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파운드리 회사 UMC의 제이슨 왕 공동 대표가 삼성전자를 찾는다. 성숙 공정으로 양산되는 아날로그 반도체 수주를 추가로 따내고자 주요 고객사인 삼성과 협력 확대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대만 파운드리 기업 'UMC'가 일본 자동차 부품업체 '덴소'와 손잡고 차량용 반도체 칩 생산에 나선다. 덴소의 경쟁업체로 반도체 내재화를 준비 중인 국내 자동차 부품사인 '현대모비스'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UMC가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는 소문이 제기됐다. UMC는 두루뭉술한 답변을 내고 신중을 기하고 있으나 투자설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려는 미국 정부와 글로벌 영토를 확장하려는 UMC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투자가 실현될 수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대만 UMC와 과거보다 높은 가격으로 새 파운드리 계약을 맺었다. 8인치 웨이퍼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수요 증가와 원재료 값 상승으로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파운드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UMC는 삼성전자와 장기 위탁생산(OEM) 계약을 체결하며 파운드리 단가를 인상했다. 세부 계약 내용과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기존에 해온 상보성금속산화막반도체(COMS)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드라이버IC(DDI)일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작년부터 UMC에 일부 범용 반도체 생산을 맡겨왔다. 28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기반의 COMS 이미지 센서와 DDI 생산 외주 계약을 체결했다. 22나노 공정을 적용한 DDI 양산에도 협업해왔다. 삼성전자는 UMC에 반도체 장비 400여 대를 팔고 P6 공장 건설을 지원했다. P6 공장은 월 2만7000장의 웨이퍼를 생산하는 능력을 갖추며 오는 2023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28나노 공정 제품을 생산한다. 삼성전자는 새 계약을 맺으며 단가 인상에 합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반도체 수급 불균형이 이어지고 원재료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3위 파운드리 회사 UMC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잠정 폐쇄했던 중국 공장의 가동을 재개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UMC가 네덜란드 ASML과 3500억원이 넘는 노광 장비 구매 계약을 맺는다. 증설 투자를 강화하며 장비 구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대만 UMC와 2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기반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드라이버IC(DDI) 양산에 협력한다. 이르면 내년 1분기 시제품을 생산해 테스트를 진행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UMC와 내년 1분기 22나노 공정을 적용한 OLED DDI 시제품 테스트에 돌입한다. OLED DDI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을 구동하는 반도체다. 22나노 제품은 28나노 기반 DDI 대비 다이 크기가 10% 줄고 전력 효율과 성능이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초기 수천개를 생산하고 향후 수만개로 확장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UMC는 28나노 공정에서도 협업했었다. UMC가 보유한 대만 난커 소재 P6 공장에서 이미지센서와 DDI 등 28나노 공정 제품의 생산을 추진했다. 22나노에서도 파트너십을 이어가며 DDI 시장 공략에 매진한다. DDI 시장은 삼성전자가 주름잡고 있다.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를 고객사로 두며 지난해 스마트폰 OLED DDI 시장에서 52%의 점유율(옴디아 집계)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DDI 시장에서의 압도적인 점유율과 UMC의 파운드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파운드리 3위 회사 대만 UMC가 아일랜드 특허전문관리업체(NPE)에 반도체 특허를 대거 넘겼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UMC는 말린 반도체(Marlin Semiconductor Limited)에 미국 특허청(USPTO)에 등록된 반도체 특허 480여 건을 팔았다. 말린 반도체는 작년 12월 10일 아일랜드 더블린에 설립된 신생 회사다. 특허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수익을 올리는 이른바 '특허 괴물'로 미국 IP밸류 매니지먼트(IPValue Management)와도 관련이 있는 회사로 추정된다. IP밸류 매니지먼트는 7000여 개 특허를 보유하며 특허 라이선스를 통해 20억 달러(약 2조3000억원) 이상 수익을 거둔 NPE다. UMC는 지난 1999년 미국 S3로부터 집적회로(IC) 설계를 비롯한 특허 29건을 4200만 달러(약 480억원)에 산 바 있다. 최근 말린 반도체에 특허를 팔며 UMC가 특허 거래 시장에 복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면서 관련 특허를 사들여 고수익을 올리려는 NPE의 움직임은 활발하다. 자칫 특허 침해 소송으로 되돌아올 수 있어 반도체 업계의 우려도 크다. 미국 롱혼IP는 작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