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가 태국 증권거래소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ADDX는 태국 증권거래소와 크룽스리은행, 해밀턴레인 등으로부터 5800만 달러(약 730억원)를 조달했다. ADDX는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에 이어 태국 증권거래소와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가상 증권거래소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DDX는 싱가포르 ICHX테크가 2017년 설립한 STO 플랫폼이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증권의 발행·거래를 지원한다. 기존 싱가포르 외에 유럽, 호주 등의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ADDX는 사모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사모펀드를 지속해서 토큰화하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 2020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이 회사에 투자했다. 이외에 다른 투자자로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일본 재무성 산하 일본개발은행 등이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가 자산관리전문가를 위한 사모시장(Private Market)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자산관리전문가는 이 서비스를 활용해 고객에게 사모시장 상품에 대한 부분적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공개시장 이외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수 있다. 기존에는 자산관리전문가가 각 발행기관과 별도로 거래를 진행해야 했지만, 이 플랫폼을 통해 고객에게 사모 상품을 제공하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추오이 ADDX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 기반을 확대하고 다각화함으로써 거래소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우수한 발행인을 ADDX에 상장하도록 유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ADDX는 싱가포르 ICHX테크가 2017년 설립한 STO 플랫폼이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증권의 발행·거래를 지원한다. 기존 싱가포르 외에 유럽, 호주 등의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 2020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이 회사에 투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가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ADDX는 7일(현지시간) 추오이 최고상업책임자(CCO)를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추오이 CEO는 모건스탠리, 노무라, 씨티그룹, UBS 등을 거쳐 지난 2020년 1월 ADDX에 합류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에서 20년 이상 근무하며 자본시장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ADDX는 새로운 리더십을 기반으로 거래 규모를 지난해 1억5000만 달러(약 1800억원)에서 내년 말 8억5000만 달러(약 1조500억원)로 5배 이상 확대할 방침이다. 추 CEO는 "개인 투자자를 비롯해 모든 사람에게 사모투자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는 우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ADDX는 싱가포르 ICHX테크가 2017년 설립한 STO 플랫폼이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증권의 발행·거래를 지원한다. 기존 싱가포르 외에 유럽, 호주 등의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한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가 사모펀드를 토큰화한 자산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ADDX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홀딩스 자회사 시타운의 사모신용펀드(Private Credit Rund)를 토큰화해 자사 플랫폼에 상장했다. ADDX가 사모신용펀드를 토큰화해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모신용펀드는 사모로 자금을 모아 회사채, 대출, 구조화 상품 등에 투자하는 펀드다 ADDX는 사모투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 투자 한도를 500만 달러(약 60억원)에서 2만 달러(약 2400만원)로 낮췄다. 시타운의 사모신용펀드는 총 10억 달러(약 1조1900억원) 규모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업에 투자한다. ADDX는 사모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사모펀드를 지속해서 토큰화하고 있다. 앞서 지난 9월에는 스위스 사모펀드 파트너스그룹(Partners Group)이 운용하는 사모펀드를 토큰화해 내놓은 바 있다. <본보 2021년 9월 29일자 참고 : [단독] 한화자산운용 투자 'ADDX', 첫 토큰형 사모펀드 출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가 첫 토큰형 사모펀드를 선보였다. 일반 사모펀드와 비교해 투자 한도가 10분의 1 수준으로 낮아 사모투자 시장의 장벽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ADDX는 스위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사모펀드 파트너스그룹(Partners Group)이 운용 중인 사모펀드(Partners Group Global Value SICAV Fund)를 토큰화해 자사 플랫폼을 통해 출시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사모펀드를 토큰 형태로 디지털화한 것이다. 이번에 토큰화한 파트너스그룹의 사모펀드는 지난 2007년 출범한 펀드로 자산이 55억 유로(약 7조6300억원)에 달한다. 500개 이상의 기업과 자산에 투자하고 있다. 보통 사모펀드에 투자할 경우 10만 달러(약 1억1900만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지만, ADDX 플랫폼에 상장된 사모펀드 제품은 최소 1만 달러(약 1200만원)로 투자가 가능하다. 파트너스그룹은 "토큰화는 사모펀드 산업의 중요한 이정표"이라며 "ADDX와 협력을 통해 사모 투자 시장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투자한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옛 아이스탁스)가 중국 내 고액 자산가에 대한 영업을 본격화한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ADDX는 산하 자산관리업체 ICHAM과 함께 중국 충칭시 정부에 허가된 중국 개인투자자로부터 2억 달러(약 2310억원) 규모 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할당량을 부여받았다. 중국 금융 규제에 따라 금융 자산 500만 위안(약 9억원) 이상 또는 연평균 소득이 50만 위안(약 9000만원) 이상인 개인은 위안화로 표시된 해외 펀드에 투자할 수 있다. ADDX는 "중국인 투자자들에게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IPO), 헤지펀드, 벤처캐피털 펀드, 부동산 펀드 등 다양한 자산을 포함해 디지털 증권 형태로 발행하는 사모투자 상품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ADDX는 싱가포르 ICHX테크가 2017년 설립한 STO 플랫폼이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증권의 발행·거래를 지원한다. 기존 싱가포르 외에 유럽, 호주 등의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