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리온과 롯데제과 길리안이 세계 초콜릿 브랜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오리온의 경우 '초코파이'의 글로벌 판매에 힘입어 국내 브랜드 가운데 유일하게 9위를 차지했다. 이번 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인지도 상승에 따른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랭킹 전문사이트 '더 리치스트 닷컴'이 집계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초콜릿 브랜드' 톱10에서 오리온은 9위를 기록했다. 오리온 간판 브랜드인 초코파이 글로벌 판매 상승세에 따른 것이다. 초코파이는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으면서 오리온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오리온 지난해 글로벌 매출 18억 달러(약 2조386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1위 초콜릿 브랜드는 미국 마스(Mars)가 차지했다. 마스 리글리는 초콜릿 가공품으로 마스바를 비롯해 스니커즈, 갤럭시, m&m 등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마스 리글리는 지난해 18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어 페레로 로쉐는 2위를 차지했다. 지난 1979년 설립된 이탈리아 브랜드 페레로 로쉐는 독특한 포장 디자인으로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매일유업이 이를 유통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리온이 러시아로 부터 신공장과 고속도로를 잇는 진입로를 지원받는 등 특급 혜택을 받는다. 주정부는 진입로 부지 확정하고 개발 계획을 승인했다. 21일 러시아 트베리주 등에 따르면 루데냐 이고르 미하일로비치 트베리 주지사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오리온 신공장 진입로 안건을 처리했다. 이에 따라 트베리주는 러시아 연방 고속도로 M-10 옆 토지를 진입로 부지로 결정하고, 지역도로 공사 프로그램에 따라 함께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트베리주는 오리온 신공장 인프라 개발을 포함한 프로젝트 구현 지원을 약속한 만큼 진입로 건설 문제도 적극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루데냐 이고르 주지사는 "오리온 신공장 프로젝트 구현을 위해 트베리 지역에 대량 생산, 화물 회전율, 세금 공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이는 러시아 북부 지역의 경제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오리온은 러시아 트베리 지역 투자정책협의회에서 투자 프로젝트에 우선 순위를 부여받은 바 있다. 각종 유틸리티 공급 및 원활한 인허가 진행 지원을 약속받은 것. <본보 2020년 12월 23일 참고 오리온, 러시아 신공장 건설 순항…주정부, 투자 우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리온이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이를 위해 오리온은 중국 프로축구팀 허베이FC와 파파트너십을 체결, '오리온'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나선다. ◇허베이FC 전략적 협약 21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 중국법인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중국 허베이FC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체결하고 공식 후원을 약속했다. 이날 서명식에는 이규홍 오리온 중국법인장과 왕홍성 허베이FC 단장, 리준 총감독, 진중푸 1군 단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체결로 허베이FC 유니폼에 오리온 중국명 '하오리요우(好丽友·좋은 친구)'를 새기고 뛰게 된다. 오리온은 허베이FC 전지훈련과 광고 등을 협력하며, '랑팡 유소년 축구 훈련캠프', '랑팡 축구 여름캠프' 등도 후원한다. 이규홍 오리온 중국법인장은 "랑팡을 거점으로 하는 오리온은 허베이FC과 전략적 제휴를 맺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기업의 운영과 축구 운영 모두 행복을 가져다주는 점에서 유사점이 많다"고 말했다. 허베이FC는 2021년 중국 슈퍼리그 5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 마케팅 활발…프로모션·사회공헌 오리온이 이번 축구팀 후원은 중국 사업 확장을 위해서다. 오리온은 1997년부터 허베이성 랑팡에서 생산기지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