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 현지에서 양산될 폴란드형 전차 'K2PL'에 수출용 K2 갭 필러(gap filler, GF)와 동일하게 한국산 엔진과 독일산 변속기를 탑재한다. 엔진과 변속기를 결합한 파워팩을 완전 국산화해 '반쪽짜리 국산 전차'라는 오명을 해소하려했지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동맹국과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독일제를 선택, 혼합 파워팩으로 구성한다. 독일 군용 추진 시스템 공급업체인 렌크(RENK)는 22일(현지시간) 7000만 유로(약 1160억원) 이상의 K2 전차용 HSWL 295 변속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변속기는 렌크의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공장에서 생산돼 폴란드에 공급될 예정이다. 폴란드 방산업체인 PGZ 산하 부마르-라베디(Bumar-Łabędy)가 생산할 K2PL에 탑재된다. 렌크 차량 이동 솔루션 부문 최고경영자(CEO) 미하엘 마주어(Michael Masur)는 "폴란드는 국방력 강화와 군사 기술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나토 내 최대 규모의 병력 공급국 중 하나가 됐다"며 "렌크 기술을 통해 파트너에게 강력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로템은 개량형 전차 K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즈베키스탄이 현대로템의 고속철도의 유지보수 거점을 조성한다. 현지 철도청이 발주해 10억원 상당 계약을 체결하고 고속철도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22일 우즈벡 정부와 플라티나 등 외신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철도청(O‘zbekiston Temir Yo‘llari AJ)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타슈겐트 메카니카 공장(Toshkent mexanika zavodi AJ, 이하 TMZ AJ)와 현대로템 철도차량용 정비센터 2단계 건설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10억3000만 숨(약 10억8000만원)이다. 정비센터는 현대로템의 고속철도 유지보수 거점 역할을 한다. 현대로템은 작년 6월 우즈베키스탄 철도청으로부터 2700억원 규모고속철 6편성(총 42량) 공급 사업을 따냈다. 250㎞/h급 동력분산식 차량으로 1520㎜ 광궤를 적용해 현지 환경에 최적화된 고속철을 납품한다. 우즈베키스탄 수도인 타슈켄트~부하라(590㎞) 구간 개통 예정인 부하라~히바(430㎞) 구간, 미스켄~누쿠스(196㎞) 구간 등 총 1216㎞에 달하는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고속철 납품과 함께 유지보수도 지원할 전망이다. 현대로템은 지난 2월 모로코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과 우진산전이 방한한 체코 철도 대표단과 회동했다. 체코 정부·기업 관계자들과 만나 협력을 모색했다. 한국의 철도 기술을 이전하고 교통망 확충의 파트너로 나선다. 22일 체코 철도협회(ACRI)와 비즈니스인포 등 외신에 따르면 대표단은 지난주 경기도 의왕시 현대로템 본사를 방문했다. 현대로템 사업 담당 실무진과 만나 사업 현황을 공유받고 철도 협력을 논의했다. 충북 괴산 소재 우진산전 본사도 찾아 비즈니스 미팅을 가졌다. 대표단은 ACRI뿐만 아니라 체코 교통부, 스코다그룹, GHH-BONATRANS 등 주요 민간 기업의 대표도 포함돼 한국과 폭넓은 협력을 모색할 기회가 됐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단을 이끈 즈데녜크 체후라(Zdeněk Čechura) 체코 교통부 EU 및 국제관계 담당 국장은 링크드인을 통해 "철도 분야에서 주요 한국 파트너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발전시킬 수 있었다"며 "체코와 한국 기업 간 미래 파트너십을 위한 강력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현대로템은 작년 9월 체코 스코다트랜스포테이션과 고속철도·전기기관차 사업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체코 수도인 프라하부터 독일 뮌헨, 폴
[더구루=오소영 기자] LX판토스가 현대로템과 LA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철도차량 수요가 커지는 미국 시장 공략에 합심한다. 이용호 대표를 비롯해 주요 경영진이 미국 첫 전장품(전기·전자 장비) 생산 거점 준공식에 참석하고 독점 물류 파트너로 입지를 강화했다. 22일 LX판토스에 따르면 이 대표와 데이비드 방 미주지역 대표는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시에서 현지 철도차량 전장품 생산 공장인 ‘현대로템 스마트 일렉트릭 아메리카(HRSEA)’ 준공식에 참석했다. 준공식 직전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와 별도 미팅을 갖고 협력을 논의했다. HRSEA는 현대로템 미국 첫 전장품 공장이다. 약 8500㎡(약 2600평) 규모 부지에 건설됐으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 보조전원장치 등 철도차량 주요 전장품을 생산한다. 현대로템은 신공장을 토대로 2028년 LA올림픽과 패럴림픽 개최를 앞둔 미국의 철도 인프라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현대로템은 작년 1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교통국(LACMTA)으로부터 8688억원 규모의 LA메트로 전동차 사업을 따냈다. 그해 8월 미국 메사추세츠주 교통공사(MBTA)와 약 2400억원 규모의 2층 객차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집트 철도차량 제작업체 네릭(NERIC)이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전동차를 내년 6월 공개할 전망이다. 알렉산드리아 노선에 투입해 친환경 교통망 구축을 구현한다. 현대로템의 기술 이전과 전동차 현지 생산까지 맞물리며 이집트의 철도 산업 자립에 한층 탄력이 붙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 정부가 전차 조달 프로그램 시작을 위한 신호탄을 쐈다. 미국 에이브람스의 전차 54대에 이어 추가적으로 전차 216대, 파생 전차 76대를 확보한다. 의회 승인 절차를 본격적으로 밟으며 현대로템과의 협상에도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에서 생산될 폴란드형 K2 전차(K2 Poland, K2PL)의 세부제원이 공개됐다. K2PL의 진화된 성능은 전부터 공개됐지만, 영상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기본형과 달리 성능 개량된 K2PL은 포탑과 차체 전면의 장갑이 강화되고, 로켓·대전차 미사일 등의 공격을 막는 능동방어시스템(APS)과 원격사격통제체계를 장착해 방호력과 전투력이 향상됐다. 1일 현대로템은 K2PL의 콘셉트 영상을 공개했다. 공개된 영상을 보면 K2PL 차체는 K2의 원래 차체와 포탑을 베이스로 추가 보호 모듈과 무장으로 차체가 연장됐다. 영상에는 포탑 선미에 장착된 두 개의 포탑이 위협 방향으로 회전하고 장약 발사 후 자동으로 재장전되는 모습도 담겨있다. 폴란드군의 요구에 맞춰 설계된 K2PL는 드론 위협에 대응하는 다양한 현대식 수단을 갖추고 있다. 드론 통신을 차단하는 온보드 전자전 시스템과 차량 접근 시 위협 요소를 물리적으로 파괴하는 능동방어시스템(APS)이 포함됐다. K2PL 전차는 적 드론과 대전차 미사일을 막을 수 있는 한국제 APS-2 시스템을 장착해 차량 주변 시야를 확보하고 잠재적 위협 요소를 감지해 포탑으로 이를 파괴한다. 포탑
[더구루=오소영 기자] 슬로바키아 국방부가 현대로템과 독일 레오파드의 전차를 제외한다고 밝혔다. 정식 입찰이나 협상이 없었는데도 국방장관이 나서 특정 기종을 콕 집어 발표해 '갑작스럽다'는 반응이 뒤따르고 있다. K2 전차의 경우, 폴란드가 현대로템과 2차 수출 협상을 완료하기 전에 슬로바키아 정부와 구속력 없는 의향서를 맺은 게 전부지만 이번 제외 명단에서 거론돼 현대로템도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산 K2 흑표 전차의 폴란드 현지 생산이 본격화된다. 폴란드 군비청과 K2 전차 2차 이행 계약을 체결한 현대로템은 현지 기업과 전차 납품 및 생산을 위한 실무회의를 통해 향후 생산과 공급방안을 모색했다. 2차 계약은 2022년 1차 계약에 이은 후속 계약으로, 폴란드형 K2 전차(K2PL) 개발과 현지 생산 등 협력 범위가 크게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계약 실행에 따라 K2 전차의 유럽 시장 진출과 현대로템의 글로벌 입지 강화가 기대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국영 방산업체 PGZ(Polish Armaments Group)는 25일(현지시간) PGZ 산하 부마르-라베디(Bumar-Łabędy)에서 K2PL 생산 프로젝트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8월 1일 체결된 K2GF/K2PL 전차 2차 이행 계약을 위한 킥오프(kick-off) 회의이다. 킥오프 회의는 프로젝트 관련 핵심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며 쟁점을 논의하기 위한 고객사와 팀 구성원 간 공동 회의이다. 이날 회의는 2차 계약 후 열린 첫 번째 합동 회의로, 프로젝트 관련 모든 주요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며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고속철도 사업 입찰을 조만간 시작한다.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고 '바르샤바-우쯔(Warsaw–Łódź)' 구간의 입찰 추진을 시사했다. 신공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할 철도망 구축에 본격 돌입하면서 현대로템의 참여도 주목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이집트 민관합작 철도차량 제작사 '네릭(NERIC)'과 협력해 현지 전동차 생산을 본격화한다. 현대로템은 이집트 현지 생산 공장에 반조립(Semi Knock Down, SKD) 상태의 전동차를 전달하며 완제품 생산에 속도를 낸다. 네릭은 9일(현지시간) 글로벌 최대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인 링크드인을 통해 "현대로템이 공급한 첫 번째 SKD 전동차 차량이 한국에서 우리 생산 시설에 도착한 것을 자랑스럽게 환영한다"며 "이 차량들은 이집트 터널 관리청을 위해 320량의 지하철 차량을 공급 및 제조하는 획기적인 프로젝트의 일부"라고 밝혔다. SKD 방식은 해외 현지에서 부분적으로 조립된 부품들을 최종 완성품으로 조립해 생산하는 것으로, 관세 절감 및 현지 고용 창출 효과가 있다. 이번에 도착한 SKD 전동차는 이달 말 생산 개시에 나서는 이집트 공장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현대로템은 이집트 생산공장을 위해 기술 이전을 하고, 이집트의 지하철 및 철도 차량 현지화를 추진했다. 네릭은 공장 운영을 담당한다. 현대로템은 네릭과 협력해 이스트 포트 사이드(East Port Said)에 건설 중인 전동차 생산시설을 완공했다. 30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 수출형 K2 전차 '갭필러'(Gap Filler)에 이어 현지에서 양산될 폴란드형 전차 'K2PL'에 이스라엘산 능동방호체계(APS)를 탑재한다. 당초 한국산을 개발해 탑재하려 했으나 실전에서 성능을 검증한 이스라엘제 APS를 장착해 전차와 기갑의 생존력을 높인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2일부터 5일까지(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리는 동유럽 최대 국제 방산 전시회 'MSPO 2025'에서 이스라엘 국영 방산업체 라파엘(Rafel Advanced Defense Systems Ltd)과 '트로피(Trophy)' APS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현대로템의 K2 주력전차와 트로피 APS의 통합, 생산, 마케팅, 국산화 및 전체 수명주기 지원을 포함한다. 츠비 마르모르(Tzvi Marmor) 라파엘 육·해상 시스템 부문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이번 협약은 차세대 장갑 플랫폼의 전장 생존성 향상을 위한 공동 의지를 보여준다"며 "라파엘의 실전 전투 경험과 한국의 산업·기술 역량을 결합해 국내외 방위 수요를 지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형준 현대로템 디펜스솔루션 부문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가 에이수스(ASUS)와 협력해 새로운 휴대용 콘솔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전략이 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등장했다. MS는 자체 콘솔도 개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