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페루 도로 정비 사업을 놓고 우리나라와 일본이 맞붙는다. 우리 기업의 중남미 인프라 시장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 페루 교통통신부(MTC)는 아마존 도로 정비 사업총괄관리(PMO) 사업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기술·가격 제안을 받았고 평가를 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아마존 PMO 사업은 페루 교통통신부 산하 국가도로청이 발주한 총 214㎞ 3개 구간에 대한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3억 달러(약 3800억원) 규모로, PMO 사업비는 2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는 한국도로공사과 도화엔지니어링이 팀코리아를 구성해 수주에 도전했다. 앞서 이원재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지난 1월 말 페루를 방문해 우리 기업의 현지 인프라 사업 참여를 요청한 바 있다. 이 차관은 당시 빠올라 라사르테 MTC 장관을 만나 "아마존 도로 정비 PMO에 세계적 기술력과 신뢰를 자랑하는 팀코리아가 선정된다면, 친체로 신공항 사업에 이은 정부 간(G2G) 모범적 협력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MTC 측은 "시민들을 위해 빠르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8만명이 직접적인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주변국과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도로공사가 에콰도르 고속도로 건설 사업에 참여한다. 우리 기업이 에콰도르 인프라 시장에 진출하는데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콰도르 교통공공사업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한국도로공사와 키토-과야킬, 과야킬-쿠엥카 고속도로 건설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두 고속도로 사업은 기예르모 라소 에콰도르 대통령이 추진하는 핵심 인프라 사업이다. 사업비는 최소 18억 달러(약 2조3630억원)로 추정된다. 라소 대통령 임기 마지막 해인 2025년 전 착공이 목표다. 키토-과야킬 고속도로 사업은 에콰도르 수도 키토와 현지 최대 항구도시인 과야킬을 잇는 324㎞ 길이의 도로를 건설하는 것이다. 현재 8시간에 달하는 두 도시 간 이동 거리를 4시간으로 단축하는 것이 목표다. 과야킬-쿠엥카 구간은 과야킬과 남부 아수아이주 쿠엥카를 잇는 272㎞ 길이의 고속도로다. 한국도로공사가 에콰도르 고속도로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수주함에 따라 국내 기업의 중남미 인프라 시장 진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에콰도르는 은행가 출신 우파 성향의 라소 대통령이 2021년 취임한 이후 해외투자유치가 국가 경제 성장의 원동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도로공사가 방글라데시 파드마대교 운영·관리 사업권을 최종 승인받았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내각위원회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전체 회의에서 다카-마와-방가 고속도로 내 파드마대교 운영·관리 사업자로 도로공사를 선정하는 것을 승인했다. 도로공사는 앞으로 5년간 요금징수, 도로·구조물 유지관리, 안전순찰, 재난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하이패스와 지능형 교통 관리 시스템을 도입했다. 앞서 도로공사는 지난 4월 방글라데시 정부와 1000억원 규모의 파드마대교 운영·관리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파드마대교는 총 사업비 3조6000억원이 투입된 길이 20㎞의 도로로, 상층부는 4차로, 하층부는 철도로 구성된 방글라데시 최대 국책 사업이다. 이달 정식으로 개통했다. 파드마대교 개통으로 아시안 하이웨이 1번 구간인 방글라데시 다카와 인도 캘거타 간의 통행시간이 4시간 이상 단축된다. 아시안 하이웨이는 아시아 대륙 32개국을 연결하는 14만여㎞의 국제 자동차 도로망이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파드마대교와 접속되는 약 1000억원 규모의 N8 고속도로 운영·관리 사업권도 방글라데시 도로청과 최종 협상을 마무리한 것으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도로공사 직원들이 고속국도 건설 공사에 참여한 건설사로부터 여러 차례 골프 접대와 골프용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도로공사는 지난 2월 내부감사를 통해 금품 등 수수 금지를 위반한 직원 4명을 정직 처분했다. 이들은 도로공사와 건설 공사 계약을 맺은 건설사 두 곳으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았다. 공사를 맡은 건설사업단 팀장은 직무 관련자인 건설사 현장소장과 2021년 6월 19일 골프를 쳤다. 전 건설사업단장과 건설사 공사 부장도 동행했다. 둘은 대학 동문으로 같은 아파트에 거주해 친분이 있었다. 그해 10월 23일에도 건설사업단 팀장과 차장 2명이 동일한 건설사 현장소장으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았다. 두 차례 회동에 따른 골프 비용과 식사비, 총 137만1000원을 모두 현장소장이 지불했다. 아울러 차장 1명은 작년 6월 초 다른 건설사의 현장소장에게서 신상 캐디백과 중고 드라이버·퍼터를 선물 받았다. 약 55만원의 금품을 수수했다. 금품 수수 사건이 연이어 터지며 도로공사 직원들의 도덕성 해이가 도마 위에 올랐다. 도로공사는 지난 2008년에도 동남권 유통단지 사업과 관련 대형 건설사 등으로부터 해외 골프 접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챗GPT의 어머니'로 불리는 미라 무라티(Mira Murati) 전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설립한 스타트업에도 군침을 흘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애플이 인수합병(M&A)을 통해 기술 격차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초 미라 무라티를 만나 AI 스타트업 '싱킹 머신즈 랩(Thinking Machines Lab, TML)'의 인수 가능성을 타진했다. 블룸버그는 애플이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TML은 미라 무라티가 오픈AI 퇴사 후 설립한 AI스타트업으로, 최근 앤드리슨 호로위츠가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를 조달한 바 있다. 설립 이후 제대로 된 제품 하나 출시하지 못한 TML이 100억 달러(약 13조5000억원)에 달하는 가치를 인정받으며 조단위 자금을 투자 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미라 무라티가 있다. 미라 무라티는 2017년부터 오픈AI에서 근무했으며, 샘 알트만 축출 사건 당시 오픈AI의 임시 최고경영자(CEO)를 맡기도 했다. 애플이 TML 인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BOE'와 '비전옥스'를 비롯한 주요 패널 제조사들이 8.6세대 아몰레드(AMOLED) 생산라인 구축에 박차를 가하며 올레드(OLED) 산업 자립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맞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도 동세대 투자 확대에 나서며 글로벌 OLED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건축공정총공사 제1국은 최근 자사가 시공 중인 '허페이 국셴' 8.6세대 AMOLED 프로젝트의 지원구역 첫 번째 지붕이 조기 상량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프로젝트 주요 구조물의 마무리 단계 진입을 뜻하며, 중국 내 차세대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구축의 상징적 진전으로 평가된다. 허페이 국셴 생산라인은 비전옥스가 출자한 합자법인이 건설과 운영을 맡는다. 총 550억 위안(약 10조4080억원)이 투입되며, 건물 면적은 80만㎡에 달한다. 해당 생산라인은 세계 최초로 FMM(정밀 금속 마스크) 없이 OLED를 증착하는 'ViP 기술'을 도입한 8.6세대 설비로 최신 기술을 집약했다. 월 생산능력은 유리기판 3만2000장(2290×2620mm)이며, 주로 태블릿, 노트북,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공급될 예정이다. ViP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