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미국 증시 상장을 재추진한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한 우회상장에 실패한 지 약 2년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미국 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인 상장 시기와 방식 등을 확정하지 않았다. 기업 가치는 35억 달러(약 4조62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앞서 이토로는 지난 2022년 6월 스팩 합병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이토로는 지난 2021년 3월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와 합병 계약을 맺고 IPO를 추진해 왔다. 애초 기업가치는 104억 달러(약 13조7280억원)로 평가했다. 하지만 이후 스팩 시장이 위축도면서 결국 상장에 실패했다. 이토로는 상장 계획을 철회한 이후 작년 3월 소프트뱅크과 아이온그룹, 스파크캐피탈, 벨벳시벤처스 등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 약정을 맺은 투자자들로부터 2억5000만 달러(약 3300억원)를 조달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약 1600억원 규모로 주식 매각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주요 투자자들과 1억2000만 달러(약 1550억원) 규모 주식 매각에 합의했다. 이에 이토로는 기존 초기 엔젤 투자자와 임직원이 보유한 주식을 새로운 투자자에게 매각할 예정이다. 요니 아시아 이토로 공동 설립자는 최근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이어가는 기업으로서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이번 2차 주식 매각은 기존 주주와 임직원들에게 투자를 회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토로는 지난해 상장에 실패함에 따라 지속해서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지난 3월에도 2억5000만 달러(약 3240억원)를 조달한 바 있다. 이토로는 지난 2021년 3월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와 합병 계약을 맺고 상장을 추진해오다가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지난해 7월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본보 2023년 3월 22일자 참고 : '제2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스페인 가상자산 중개시장에 진출한다. 유럽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이토로는 스페인 중앙은행으로부터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VASP·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 면허를 허가받았다고 1일 밝혔다. 이토로는 지난 6월 프랑스를 시작으로 이탈리아 등에서 가상자산 중개업 라이선스를 잇따라 획득했다. 이번에 스페인 시장까지 진출하며 서유럽 주요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이토로는 "스페인 투자자가 지식과 자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18년에는 미국에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주식투자 플랫폼 로빈후드의 경쟁사로 불린다. 한편, 유럽은 최근 가상자산에 대한 포괄적 규제를 담은 법안 '가상자산시장법(미카·MiCA)' 도입을 확정하고, 관련 정책기구도 마련했다. 해당 법은 가상자산 기업이 EU 지역에서 사업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해 미국 증시 상장에 실패한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약 3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조달했다. 암호화폐 사업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이토로는 신규 자금조달 라운드를 통해 2억5000만 달러(약 32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자금조달에는 소프트뱅크과 아이온그룹, 스파크캐피탈, 벨벳시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이는 앞서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 추진 당시 맺었던 투자 약정에 따른 것이다. 이번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는 35억 달러(약 4조5680억원)로 평가받았다. 이토로는 지난 2021년 3월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와 합병 계약을 맺고 우회 상장을 추진했다. 애초 2021년 말 합병 완료가 목표였는데, 암호화폐 시장 위축과 스팩 규제 강화 등으로 합병 기한을 한차례 연기한 끝에 결국 작년 7월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최초 기업가치를 104억 달러(약 13조5790억원)로 평가받았는데, 작년 초 88억 달러(약 11조4940억원)로 하락했고 현재는 현재 3분의 1
[더구루=홍성환 기자]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글로벌 금융 중심지인 미국 뉴욕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상화폐) 시장에 진출한다. 이를 발판으로 미국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미국 뉴욕주(州) 금융감독국(NYDFS)으로부터 비트라이선스(BitLicense)와 송금 서비스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이토로는 뉴욕에서 가상자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비트라이선스는 뉴욕주가 암호화폐 기업에 발급하는 사업 허가증이다. 2015년 도입 이후 현재 33개 법인이 허가를 받았다. 요니 아시아 이토로 최고경영자(CEO)는 "뉴욕에서 허가를 확보한 것은 미국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18년에는 미국에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주식투자 플랫폼 로빈후드의 경쟁사로 불린다. 이토로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해오다가 시장 상황이 불투
[더구루=홍성환 기자]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옵션 거래 플랫폼 개츠비(Gatsby)를 인수했다. 최근 미국 증시 상장이 무산된 가운데 기업 가치 높이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개츠비를 5000만 달러(약 66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맺었다. 개츠비는 지난 2018년 설립한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젊은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수료가 없는 옵션·주식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토로는 "이번 인수는 암호화폐와 주식에 중점을 두고 있는 미국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단계"라며 "교육과 혁신을 통해 사회적 투자 네트워크를 지속해서 성장시키면서 미국 사용자에게 다양한 투자 도구를 제공하려는 우리의 목표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18년에는 미국에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주식투자 플랫폼 로빈후드의 경쟁사로 불린다. 이토로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해오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시장 위축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상장 규제 강화 등으로 미국 증시에서 암호화폐 관련 스팩주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팩 합병이 지연되면서 상장 포기가 잇따르는 상황이다. 11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체결된 암호화폐 관련 기업의 스팩 거래 19건 가운데 실제 상장 완료한 것은 5건에 그친다. 특히 최근 들어 합병 연기와 포기 사례가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지난달 말 제2의 로빈후드를 불린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가 미국 증시 상장을 철회했다. 포브스 역시 지난달 스팩 합병을 폐기했다.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의 경우 올해 초 상장 기한을 연기했다. 애초 지난 4월 초 합병을 완료할 방침이었지만 시장 상황을 고려해 올해 12월로 거래 완료를 미뤘다. 페이팔 창업자 피터 틸이 지원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 글로벌도 합병 기한을 올해 말로 연장하면서 직원 10%를 해고했다.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와 뉴욕 기반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아피피니그룹도 스팩 합병 마감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상장 완료 가능성이 불투명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미국 증시 상장을 포기했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으로 우회상장하는 것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확대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와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는 합병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 양사는 애초 작년 말까지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스팩 시장이 위축되면서 합병 종료 시한을 올해 6월 말로 한 차례 연기했고, 합병기업 가치도 104억 달러(약 13조5400억원)에서 88억 달러(약 11조4500억원)로 하향 조정했다. 이토로는 상장을 포기하는 대신 기존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 약정을 맺은 투자자들과 사모투자를 논의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토로는 앞서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아이온인베스트먼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등과 PIPE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18년에는 미국에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 개인투자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의 미국 증시 상장이 무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상장 규제 강화 등으로 기업공개(IPO)가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와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가 정한 합병 완료 기한이 내달 말일까지다. 애초 작년 말까지 합병을 완료할 방침이었지만, 스팩 시장 위축으로 일정을 한 차례 연기했다. 이로 인해 합병기업의 가치도 104억 달러(약 13조1440억원)에서 88억 달러(약 11조1230억원)로 15%나 낮췄다. 2억5000만 달러(약 3160억원)의 현금을 투입하려는 계획도 2억1000만 달러(약 2650억원)로 축소했다. <본보 2022년 1월 3일자 참고 : '제2의 로빈후드' 이토로, 스팩 합병 지연에 기업가치 15% 낮췄다> 양사는 아직 스팩 합병 취소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현지 금융투자업계 안팎에서는 데드라인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취소 가능성이 있다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대체불가능한토큰(NFT)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이토로는 7일(현지시간) NFT 제작자와 에이전시, 브랜드 등을 지원하는 후원 프로그램인 '이토로.아트(eToro.art)'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2000만 달러(약 240억원) 규모로 조성된 이 프로그램은 초우량 NFT 구매하는 한편 새로운 NFT를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신진 제작자와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토로는 우선 보어드 에이프 요트 클럽(Bored Ape Yacht Club), 크립토펑크(CryptoPunks), 월드오브우먼(World of Women) 등과 같은 유명 블루칩 프로젝트를 비롯해 신흥 아티스트 프로젝트를 모두 포함하는 NFT 콜렉션을 공개할 계획이다. 또 떠오르는 크리에이터와 브랜드를 지원하는데 1000만 달러(약 120억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토로 창업자인 요니 아시아 최고경영자(CEO)는 "이토로는 끊임없이 '다음 단계'에 관심을 기울이는 회사로 메타버스와 다양한 가상자산에 엄청난 잠재력을 보고 있다"며 "전통적인 자산와 함께 암호화폐를 제공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메타버스에 투자하는 상품을 선보였다. 미국 뉴욕 증시 상장을 앞두고 투자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주식이나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스마트 포트폴리오 '메타버스라이프(MetaverseLife)'를 출시했다. 이 포트폴리오는 메타(옛 페이스북), 로블록스, 디센트럴랜드, 샌드박스, 엔진 등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을 담는다. 이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등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도 포함했다. 메타버스는 가상·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비대면 문화 확산과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로 차세대 플랫폼을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19년 464억 달러(55조원)에서 2030년 1조5000억 달러(약 178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미국 사업 강화를 위해 현지 투자 전문가를 영입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미국 자산운용사 엘리인베스트의 선임 투자전략가인 캘리 콕스(Callie Cox)를 미국법인 투자 애널리스트로 선임했다. 콕스는 엘리인베스트를 대표하는 투자 전문가 가운데 한명으로 젊은 투자자와 소통하기 위해 행동 심리학 원리와 투자 교육 인사이트를 통합해 이름을 알렸다. 미국 금융산업규제국 투자상담사(시리즈 7) 및 증권거래사(시리즈 66)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룰레 뎀시 이토로 미국법인 최고경영자(CEO)는 "그의 열정은 미국 시장에 대한 집중도를 강화하려는 이토로의 핵심 목표와 일치한다"면서 "콕스는 주식, 파생상품, 채권 등 자본 시장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콕스 애널리스트는 "이토로는 현지 미국 시장과 관련해 성장 궤적에서 중추적인 단계에 있다"면서 "이토로는 매우 독특하고 커뮤니티 지향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투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고 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전자부품 기업 TDK가 세계 최초 '스핀 광검출기(Spin Photo Detector)'를 선보였다. TDK는 스핀 광검출기가 차세대 인공지능(AI) 데이터 전송 기술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TDK는 니혼대학교 연구팀과 협력해 스핀 광검출기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광 검출기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빛을 데이터 전송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빛을 이용하는 만큼 장치간 거리가 증가해도 속도 저하가 없고, 전력 사용량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TDK는 이번에 시연한 스핀 광검출기는 하드디스크(HDD) 헤드에 사용되는 자성 터널 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 기술을 광학 분야에 적용한 것으로, 20피코초(ps)의 초고속 응답 성능을 보여준다고 소개했다. 이는 기존 반도체 기반 광검출기 대비 10배 이상 빠른 속도다. TDK는 스핀 광검출기 기술이 AI 시대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현재 AI 데이터센터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데이터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DK는 향후 스핀 광검출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그린테크놀로지메탈스(Green Technology Metals)'가 캐나다에서 추진중인 '루트(Root)' 리튬 프로젝트 개발 계획을 수정했다. 리튬 가격 변동성과 공급 과잉 상황을 반영해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개발 방안을 적용, 향후 자금 조달과 생산 효율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일 그린테크놀로지메탈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루트 광산 개발을 위해 여러 시나리오를 검토한 결과, 개방형 광산(open-pit)과 지하 광산(underground mining) 방법을 결합한 방식을 채택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루트 프로젝트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강력한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그린테크놀로지메탈스가 광산 개발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은 리튬 가격 급락과 글로벌 공급 과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지난 2년 동안 리튬 가격은 공급 과잉으로 하락했으나, 전문가들은 올해부터 가격 회복과 수요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 그린테크놀로지메탈스는 시장 상황을 반영해 개발 계획을 조정했으며, 향후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설 방침이다. 루트 프로젝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