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흑연 생산업체 ‘우르빅스(Urbix)’가 탄탄한 자금력을 보유한 투자 회사를 지원군으로 확보, 연구개발(R&D)부터 공장 설립까지 공동 추진한다.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흑연 시장에서 중국의 ‘자원 무기화’를 저지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배터리업체 에노빅스(Enovix)가 국내 이차전치 기업 루트제이드를 인수를 마무리했다. 한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세계 2위 분리막 제조사인 일본 '아사히카세이'가 한국에 추가 투자를 단행한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 호황에 힘입어 증가하는 글로벌 분리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생산량을 대폭 확대한다. 1일 아사히카세이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400억엔(약 3589억원)을 쏟아 △경기도 평택 △일본 미야자키현 휴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등 3국에 위치한 분리막 공장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증설분은 오는 2026년 상반기부터 순차 가동에 돌입한다. 아사히카세이는 3개 거점을 합쳐 연간 총 7억㎡ 규모 생산량을 늘린다. 각 공장별 세부 증설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증설이 완료되면 아사히카세이의 글로벌 연간 생산능력은 약 12억㎡까지 확대된다. 이는 전기차 170만 대에 해당하는 배터리용 분리막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아사히카세이는 지난 2010년 한국에 법인을 설립하고 공식 진출했다. 이듬해 8월 평택시 현곡산업단지 내 1만4222㎡ 규모 부지에 분리막 공장을 설립하고 가동을 시작했다. 총 투자액은 8억엔(약 72억원)이다. 이 곳에서는 폴리올레핀 계열의 미세 다공성 필름과 세라믹·기타 코팅 필름 기반 분리막 등 2가지 유형의 습식 공정 '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6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동박 원료를 공급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일 롯데 시그니엘호텔에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 '동박 원료 공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정탁 부회장, 김병휘 친환경본부장을 비롯해 롯데케미칼 김교현 부회장,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김연섭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하이엔드 동박 생산을 위한 원료를 2033년까지 10년간 60만t을 공급한다. 이를 통한 기대 매출은 약 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박은 이차전지의 음극재를 감싸는 두께 10㎛(1㎛=100만분의 1m) 이하의 얇은 구리 박(薄)이다. 음극재에서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모으거나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용 동박 시장은 2021년 26만5000t에서 2025년 74만8000t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규모도 2021년 3조5000억원에서 2025년 10조원 규모로 빠르게 커질 전망이다. 이번 계약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포스코인터내셔
								[더구루=정예린 기자] KCC글라스가 인도네시아 정부 고위 관계자와 회동했다. 유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인프라 구축 지원을 요청하고 우호 관계를 다졌다. 1일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MPR RI·Majelis Permusyawaratan Rakyat Republik Indonesia)에 따르면 변종오 KCC글라스 유리사업총괄(사장)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밤방 수사트요(Bambang Soesatyo) 상원의장과 만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박원주 KCC글라스 인도네시아법인 법인장(상무) 등 현지 법인과 정부 관계자들이 동석했다. 국민협의회는 인도네시아 상원과 하원을 아울러 양원으로 구성된 입법 기관이다. 수사트요 상원의장은 인도네시아상공회의소(KADIN) 법집행국 국방안보관계국장과 국가지도자위원회(SOKSI) 자문위원회 의장 등도 역임하고 있다. 양측은 KCC글라스의 인도네시아 유리 공장 건설 관련 지원책에 대해 협의했다. 변 사장은 가스와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수사트요 상원의장은 KCC글라스 대규모 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지원을 약속했다. KCC글라스는 지난 2021년 약 3억 달러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호주 아이오니어(ioneer Ltd)와 미국에서 점토 리튬 상용화를 추진한다. 비전통 리튬 자원 개발을 선도하고 리튬 사업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다. 아이오니어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점토 리튬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밝혔다. 아이오니어는 리오라이트 리지(Rhyolite Ridge) 리튬·붕소 광산에서 점토 리튬을 시추해 제공한다. 이 광산에는 탄산리튬등가물(LCE) 100만톤(t)에 해당하는 점토 리튬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아이오니어에서 점토 리튬을 받아 정제하고 수산화리튬 생산을 추진한다. 상용화 가능성이 확인되면 정제 공장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제 공장 가동으로 얻은 수익은 양사가 균등하게 나눠 갖는다. 2001년 설립된 아이오니어는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북미 유일의 리튬·붕소 매장지 리오라이트 리지 광산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회사 시바니 스틸워터와 절반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2026년부터 리튬을 생산한다는 목표다. 1단계 투자가 완료되면 연평균 약 2만600t의 탄산리튬과 약 17만4400t의 붕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BMW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 시범생산에 성공했다. 대량 양산체제를 구축, 오는 2025년 공개할 '노이에 클라쎄(Neue Klasse·뉴 클래스)' 전기차에 탑재할 계획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현지 배터리 신공장 가동에 돌입했다. 생산능력을 지속 확대하며 글로벌 배터리 1위 기업 입지를 공고히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벌칸에너지가 호주 수출금융공사(Export Finance Australia, 이하 'EFA')로부터 2억 호주달러(약 1700억원)를 조달한다. 내달까지 경제성 평가 연구를 마치고 자금 확보에 시동을 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톈진시 빈하이신구가 LG화학, 금호타이어 등 국내 기업들과 연쇄 미팅을 가졌다. 폴리염화비닐(PVC) 원료 공장 이전을 비롯해 석유화학과 타이어 등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협력을 모색했다. 31일 톈진경제기술개발구에 따르면 산쩌펑(单泽峰) 빈하이신구위원회 부서기 일행은 지난 26일 한동엽 LG화학 PVC/가소제사업부장(상무)과 회동했다. 톈진시가 개발 중인 새 석유화학단지에 PVC 원료 공장을 이전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LG화학은 2004년 중국 발해화공그룹과 합작사 '텐진LG발해화학유한회사'를 신설하고 PVC 원료 공장 건설에 돌입했다. 3억 달러(약 4000억원)를 투자해 텐진시 임항공업구 50만㎡ 규모 부지에 이염화에탄(EDC)과 염화비닐모노머(VCM) 생산시설을 2007년 완공했다. 각각 연간 30만t, 35만t을 생산하며 중국 수요에 대응했다. LG화학은 공장 이전과 함께 신에너지·신소재 관련 사업 기회도 검토했다. LG화학은 앞서 중국 화유그룹 산하 '유산'과 양극재 사업에 손잡았다. 모로코에 연산 5만t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합작공장을 건설하기로 하며 해외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산쩌펑 부서기 일행은 LG화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베트남 옌바이성에서 배터리 소재 관련 투자를 모색했다. 옌바이성의 풍부한 희토류 매장량을 활용한 광물·소재 사업 투자를 살피고 글로벌 사업 영토를 넓힌다. 31일 베트남 옌바이성 정부와 팝 루앗(Phapluat)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옌바이성에서 열린 한국 기업과의 투자 촉진·연결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 컨퍼런스는 한국 기업과 교류를 강화하고 투자를 촉진하고자 열렸다. 옌바이성 인민위원회와 하이퐁 경제특구관리위원회(HEZA)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쩐 후이 뚜언(Tran Huy Tuan) 옌바이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현지 정부 인사들과 100여 개 기업이 참가했다. 포스코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옌바이성에 희토류 매장량이 상당하다며 배터리 관련 투자를 희망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1991년 하노이 설립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후 4개 철강 법인을 포함해 총 8개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철강에 이어 배터리 부문에서도 투자를 추진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베트남은 옌바이와 라이쩌우, 라오까이 등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약 2200만 톤(t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상무부는 최근 2년 연속 한국을 찾았다. 삼성의 북미 가전 공장 기지로 알려진 사우스캐롤라이나지만 방문 이유가 삼성에만 있진 않다. 완성차부터 폐배터리 재활용까지 전기차 분야의 투자를 싹쓸이하고 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없는 딱 하나. '배터리 강국' 한국 기업의 투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한국 방문의 선봉장에 선 이는 해리 라잇시(Harry M. Lightsey III) 상무부 장관이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에서 동아시아 문화를 공부했다. 한국에 오면 비빔밥과 치맥(치킨과 맥주)을 즐길 정도로 'K푸드'도 좋아한다. 아시아 문화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함께 GM, AT&T 등 글로벌 기업에서 일한 경험을 토대로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전기차 배터리 투자 유치를 이끌고 있다. 지난 20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난 라잇시 장관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를 홍보하며 열변을 토했다. ◇'정부-대학-기업' 전기차 배터리 특화 인재 양성에 '한뜻' 라잇시 장관은 "인센티브 측면에서 다른 주에 뒤지지 않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우스캐롤라이나는 기업의 투자에 따른 보조금에 더해 △원재료와 장비 관련 판매세 면제 △재산세 면제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