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1년 넘게 영업비밀 침해 공방을 벌인 SVOLT와 합의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화웨이의 반도체 설계 자회사 하이실리콘이 설계 자동화(EDA) 툴 전문가를 뽑는다. 미국의 제재로 EDA 선도 업체들의 기술을 쓸 수 없게 되며 내재화에 나섰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정부가 인도네시아 금융기관에 대출 연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최근 중국 부동산 시장 침체로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자 정부가 직접 사태 해결에 나선 것이다. 19일 CNBC 인도네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인도네시아 금융기관에 “부동산 개발업자에 대한 대출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했다. 중국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CBIRC·은보감회)도 “금융기관이 부동산 개발업자의 자금 수요를 충족시켜줘야 한다”면서 “금융기관이 부동산 개발업자의 프로젝트가 적절하다고 판단 될 경우 대출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작년부터 급격하게 얼어 붙기 시작했다. 이는 곧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에버그란데(Evergrande)와 수낙(Sunac)의 과도한 부채로 이어져 재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선 일부 아파트 공사가 중단되면서 분양자들이 주택담보대출 상환 거부 운동까지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시장 위기가 시위 등 사회 불안과 부실 채권 위험으로 확산해 금융위기로 번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중국 부동산 업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전기차업체 BYD의 전기버스가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를 주행한다. BYD는 유럽 전기 상용차 시장에서도 영역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BYD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스페인의 대중교통회사인 알리바(Arriva)로부터 15대의 전기버스를 수주했다. BYD는 이번에 수주한 전기버스를 2023년 중으로 인도할 예정이다. BYD가 수주한 버스는 12m 길이 저상 전기버스 12대와 13m 길이 저상 전기버스 3대로 이뤄져있다. 두 모델에는 모두 BYD가 개발한 리튬·인산·철 배터리(LFP배터리)가 장착되며 한 번 충전으로 300km를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바는 2023년 해당 전기버스를 인수해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 남서쪽 자치지역인 알코르콘 지역에서 운행한다. 12m급 전기버스는 주로 시내에서 주행하며 시외로 운행되는 노선에는 13m급이 배치된다. BYD의 전기버스는 현재 6개 대륙 50개국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 시장을 타깃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전기버스 수주가 BYD 전기버스의 이베리아 반도 지역 첫 수주인 만큼 향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거대IT 기업 텐센트의 온라인 보험사업을 총괄하던 류 지아밍(Liu Jiaming)이 홍콩의 메타버스 기업 애니모카브랜즈에 합류했다. 중국매체 계면신문(界面新闻)는 18일(현지시간) 텐센트 웨이바오(微保·영어 WeSure)의 류 지아밍 동사장(董事长)이 애니모카브랜즈의 최고 비즈니스 책임자(Chief Business Officer, CBO)로 합류했다고 보도했다. 류 지아밍 동사장은 시티은행 투자 애널리스트, 맥킨지 파트너로 근무했으며 2016년 텐센트에 합류했다. 류 지아밍은 텐센트 합류 후 온라인 보험 사업을 총괄했으며 2020년에는 웨이바오의 동사장으로 텐센트 그룹 내 보험 사업을 총괄과 텐센트 웨이바오 CEO를 맡았다. 류 지아밍은 2020년 8월 텐센트 웨이바오 CEO 역할을 내려두고 보험 사업을 이끌어왔다. 류 지아밍의 주도로 텐센트 웨이바오는 1억명의 유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류 지아밍은 애니모카브랜즈에 CBO로 모든 자회사 관리를 책임지고 향후 진행될 인수, 투자, 해외협력 사업을 주도한다. 한편 애니모카브랜즈는 2014년 설립된 블록체인 업체로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과 NFT(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하반기 에너지밀도를 보완한 리튬망간철인산염(LMFP) 배터리를 생산한다. BYD와 궈시안하이테크, EVE에너지도 개발에 뛰어들며 LMFP 배터리가 리튬인산철(LFP)을 이을 차기 배터리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정부가 오는 8월부터 ‘반독점법’ 개정안을 시행한다. 이번 개정안에는 디지털·플랫폼 시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돼 현지 우리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7일 중국 정부 등에 따르면 중국 입법기관인 전인대 상무위는 지난달 24일 반독점법 개정안을 표결·통과하고 오는 8월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반독점법은 지난 2008년 8월부터 시행돼 14년 만에 개정됐다. 개정안은 △입법 목적에 혁신 장려 추가 △데이터·알고리즘 등을 남용한 경쟁 제한 금지 △M&A 통한 기업결합 규정의 처벌 수위 강화 △세이프하버(safe harbor) 롤 도입 등을 골자로 한다. 주목할 부분은 인터넷 분야의 독과점과 불공정 행위 단속 관련 내용이다. 개정안은 데이터·알고리즘·기술·자본 분야에서의 우위와 플랫폼 규정 등을 이용한 독과점·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이는 온라인 시장 질서를 강화하고 인터넷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독점적 거래 행위를 제어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중국 기업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외국계 기업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격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 도입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중국에서도 ESG 도입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ESG가 자리잡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16일 코트라 항저우무역관은 '중국 대표 IT기업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ESG 도입 현황'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상장사들의 ESG 도입 비율과 대표 빅테크기업들의 ESG 도입 현황을 보고했다. 코트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도 상장기업들을 중심으로 ESG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자발적인 ESG 공시 비중은 아직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중국 상장기업협회에 따르면 2022년 4월 기준 중국 A주식 상장기업 4669개 중 1408개 회사만이 사회적 가치에 대한 보고서, ESG 보고서를 발표했다. 4660사는 연간 보고서에 사회적 책임·환경보호 관련 정보를 포함했다. 중국 당국은 중앙상장기업(2021년 기준 440개사)의 주도하에 2023년에는 ESG 경영을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알리바바는 모건스탠리캐피탈 인터내셔널(MSCI)에서 발표한 ESG 평가에서 2018년 B등급을 받았지만 2021년 BBB등급으로 상승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 유통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인다. 복합쇼핑몰이 새로운 쇼핑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으며 꾸준히 늘고 있다. 코로나로 침체됐던 경기가 회복되고 소비심리가 되살아나면서 복합쇼핑몰을 찾는 고객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16일 시장조사기관 잉상왕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오픈한 중국 복합쇼핑몰은 547곳으로,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2020년보다 36.4% 증가했다. 중국 전역에 위치한 복합쇼핑몰은 총 6387곳에 달한다. 지난해 복합쇼핑몰 매출도 크게 늘었다. 쇼핑몰 3곳이 연 매출 200억 위안(약 3조 9120억원) 이상을 기록했다. 100억 위안 이상 매출을 기록한 쇼핑몰은 13곳으로, 전년(4곳)보다 늘었다. 50억 위안 매출 기업은 35곳이다. 사치품이 복합쇼핑몰의 매출 확대를 이끌었다. 코로나로 해외여행 수요가 줄어들면서 현지서 명품 쇼핑을 즐기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여파로 해외여행이 중단되자 보복 소비 욕구가 명품 소비로 이어진 결과다. 특히 중국 최고 부유층이 모여 사는 상하이·베이징에 위치한 복합쇼핑몰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 베이징SKP(北京SKP)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와 쑤저우 TA&A 울트라 클린 테크놀로지(Suzhou TA&A Ultra-Clean Technology, 이하 TA&A)의 합작사가 토고 광산 회사로부터 대규모 리튬을 공급받는다. 아프리카 자원을 활용한 중국의 리튬 패권 강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전기차 기업 니오가 배터리 교체 1000만 건을 달성했다. 지난 2018년 관련 사업을 본격화한 지 4년여 만에 낸 성과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베이진과 노바티스가 개발한 면역항암제 '티스렐리주맙'(tislelizumab)에 퇴짜를 놨다. 미국 내 승인을 위해서 FDA가 중국 생산 공장에 실사를 가야 하는데, 코로나로 인해 여행이 제한되자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이다. 코로나 때문에 티슬레리주맙의 미국 진출은 무기한 연기됐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