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방산기업 탈레스(THALES)가 호주 최대 사이버 보안 회사 테서렌트(Tesserent)를 인수한다.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호주와 뉴질랜드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향상시킨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LIG넥스원이 개발한 다목적 무인헬기 'MPUH'를 육군이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육군(RoKA)은 전날 개최된 2023년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MPUH 도입에 관심을 표명했다. MPUH는 감시정찰·통신중계∙함탑재 등 다양한 임무여건에 활용 가능한 200kg급 다목적 무인헬기이다. △회전익기 비행제어 기술 △수동·자동 비행통제 기능 △비행체 2대 동시통제 등이 특징이다. 수직 이착륙으로 운용 안정성이 높아 감시정찰, 통신중계 등 전술적 운용이 가능하다. 사단 책임지역 전방에 대한 감시정찰 임무, 사단장 우선정보요구(PIR) 충족 및 조기경보 임무, GP·GOP 사단 종심지역에 침투, 국지도발 상황 시 적 식별과 표적 획득 등을 수행한다. 작전반경 50km 이상, 운용고도 3.6km 이상, 최대비행속도 160km/h 이상으로 비행한다. 60kg의 적재량을 탑재할 수 있으며 탑재중량에 따라 비행시간이 조정된다. 25kg을 탑재하면 최대 6시간 운용이 가능해 4기 1조의 경우 24시간 감시정찰이 가능하다. 세계 최고 성능의 전자광학장비(EO/IR)가 장착돼 전자광학카메라
								[더구루=길소연 기자] 해병대의 장래 운용을 위해 개발중인 상륙기동헬기(MUH-1)에 유럽의 미사일 제조 회사 MBDA의 단거리 공대공유도탄 '미스트랄 아탐(MISTRAL ATAM) 미사일이 장착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전날 MBDA와 계약을 맺고 해병대 운용 상륙공격헬기 체계에 미스트랄 아탐을 탑재하기로 했다. MBDA의 미스트랄 아탐은 미스트랄 미사일을 기반으로 한 발사 후 망각 교전 모드, 작동 용이성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살상 확률을 갖추고 있다. 무게 18.7kg, 길이 1.86m, 직경 90mm로 최대 6.5km 거리에서 비행하는 표적을 요격하여 파괴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각각 두 개의 미사일을 탑재하는 두 개의 발사대를 기반으로 한다. 전투 헬리콥터에 장착된 경우 헬리콥터의 전투 시스템에 연결되거나 다목적 헬리콥터에 설치된 경우 단순화된 제어 장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작동의 단순성과 매우 낮은 승무원 작업량, 높은 수준의 성능이 특징이다. 발사 헬리콥터의 전체 비행 범위 내에서 최대 200노트의 속도와 1만5000피트를 초과하는 고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에릭 버레인저(Éric Béranger) MBDA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미국 로봇 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프랑스 컨테이너선사 CMA CGM 물류 자회사 '세바 로지스틱스'(CEVA Logistics) 미국 환적 시설에 물류 로봇 '스트레치'를 공급한다. 시설 관리를 위해 사족보행 로봇 '스폿'도 배치할 예정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 국영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가 국내 최대 항공우주·방산분야 무역 전시회 '2023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에 참가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PGZ는 이날부터 22일까지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ADEX 2023에 참가한다. PGZ 그룹은 홀 B, 번호 B561에 부스를 마련한다. 2년 마다 열리는 서울 ADEX는 1996년 '서울 에어쇼 96'으로 시작해 2009년 지상방산 분야까지 확대, 동북아시아 최대 규모 항공우주방산 전문 종합 전시회로 거듭났다. PGZ는 ADEX에서 대공, 지상과 개인 병사 장비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제품을 한국을 포함 아시아 파트너에게 선보인다. ADEX는 PGZ 그룹에겐 현지 시장을 탐색하고 아시아 기업들과의 잠재적 협력 분야를 모색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PGZ 산하 △PCO △로소막(Rosomak) △자크라디 케미츠네 니트로-켐(Zakłady Chemiczne Nitro-Chem) △비드고슈치 자크라디 엘렉트로메칸 벨마(Bydgoskie Zakłady Elektromechanne Belma) △
								[더구루=길소연 기자] 해군의 차기 해상작전 헬기로 선정된 미국 록히드마틴의 MH-60R(시호크)가 내년에 인도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록히드마틴은 내년에 한국으로 MH-60R(시호크)를 공급한다.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내년부터 조기 인도된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2020년 말 해군의 해상작전 헬기 2차 사업과 관련해 MH-60R 시호크 기종 선정 등을 심의 의결했다. 총 사업비 9600억원을 투입해 시호크 12대를 들여오기로 했다. MH-60R 시호크는 해상작전헬기 1차 사업 때도 후보기종에 올랐지만, 가격경쟁력에 밀려 AW159 와일드캣이 선정됐다. 2차 사업 때는 성능과 가격경쟁력에서 앞서면서 한국군의 선택을 받았다. 해상작전헬기 2차 사업은 해군 함정의 원거리 수상·수중탐지 능력과 공격 능력 향상을 위해 대함·대잠 작전능력을 보유한 해상작전헬기를 국외 구매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MH-60R 시호크는 육상 다목적 헬기로 개발된 UH-60 블랙호크를 해상 군함에서 운용하기 위해 개조해 만든 해상작전헬기이다. 길이 19.7m, 높이 5.1m, 기폭 3.3m로 최대속도는 267km/h이다. 어뢰와 공대함유도탄 등으로 무장하고, 적 잠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239 다연장로켓 천무에 눈독을 들인다. 노르웨이는 천무와 같은 장거리 로켓을 도입해 대공방어 능력을 강화하고 유럽 안보 수요에 대응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방물자청(Forsvarsmateriell)은 올해 말 또는 내년 초에 장거리 로켓포 구매 제안 입찰을 시작한다. 이미 입찰을 위해 시장 조사와 비용 분석의 초기 단계를 밟고 있다. 노르웨이 군당국은 지상군을 위한 다층 방공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천무 등 로켓포 구매를 추진한다. 물망에 오른 로켓포 중 하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연장로켓 K239 천무이다. 천무는 미사일처럼 정확한 유도로켓을 비롯, 다양한 구경의 다연장 로켓을 발사할 수 있고, 최대 사거리 약 300㎞의 지대지(地對地) 미사일도 쏠 수 있다.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1300여억원의 예산으로 개발된 뒤 2015년부터 실전 배치됐다. 폴란드도 작년에 288문을 도입했다. <본보 2022년 10월 14일 참고 [단독] 폴란드, 17일 한국산 '천무' 구매계약 서명> 노르웨이는 로켓포를 사용하는 부대를 창설할 계획이다. 이미 노르웨이 트롬쇠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에서 인수합병(M&A)과 공장 이전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증가한 미국 내 방산 수요를 잡고자 전력투구한다. 11일(현지시간) 미국 방산매체 '브리킹 디펜스'에 따르면 존 켈리 한화디펜스 USA 법인장은 북미 최대 지상군 전시회 'AUSA 2023' 참관 직후 인터뷰에서 "2020년대 말까지 미 육군의 주요 무기 공급사가 되고자 모든 옵션을 테이블 위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파트너십과 M&A, 생산기지 이전을 검토 중인 유력한 옵션으로 거론했다. 켈리 법인장은 미국 방산 시장의 진입 장벽이 높다고 평가했다. 자국 방산 산업을 보호하려는 경향이 짙어서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무기 수요가 늘며 상황이 달라졌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며 미국은 새 무기 공급처를 찾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시장을 공략하고자 버지니아주 맥클린에 법인을 세웠다. 하지만 이로는 부족하다는 게 켈리 법인장의 판단이다. 켈리 법인장은 미국 차세대 유·무인 전투차량(OMFV) 교체 사업 수주 실패를 사례로 들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특수차량 전문 기업인 오시코시 디펜스와 컨소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최소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현대로템은 우크라이나에 납품한 철도차량이 전쟁 피난민들을 안전하게 대비시키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한 공로로 현지 정부로부터 감사의 의미를 담은 팸플릿을 전달받았다고 12일 밝혔다. 팸플릿에는 "현대로템의 철도차량은 지난해 봄 자국 아이들과 어머니들을 위한 '생명줄(Lifeline)'중 하나가 됐다"며 "감사하다. 앞으로도 계속 그들(자국민)을 부탁한다"는 문구가 적혔다. 이어 "한국의 철도차량들은 폴란드 국경부터 동쪽의 전방 지역까지 전국을 이어주고 있다"며 "이 차량들은 힘겨운 나날들 속에서 사람들을 대피시켜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인도적 구호물자까지 운송해주고 있다"는 설명이 기록됐다. 팸플릿 전반에는 현대로템이 납품한 현지 철도차량 안팎에서 포착된 가족, 연인 단위 피난민들의 사진 17장도 함께 수록됐다. 사진은 피난길에 오르고 있는 현지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팸플릿에 나온 철도차량은 현대로템이 지난 2010년에 수주해 오는 2027년까지 유지보수 중인 90량짜리 차량이다. 영업운행속도 160km/h대의 준고속 전동차다. 이 차량은 수도 키이우와 주요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 고속열차 수주를 눈 앞에 뒀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은 2023~2026년 철도운송 부문 개혁의 일환으로 현대로템으로부터 고속열차 6대, 체코 스코다로부터 전기열차 30대를 구매한다. 우즈베키스탄 교통부와 우즈베키스탄 철도청(UTY)은 이를 위해 정부 보증에 따라 5억3500만 유로(약 7600억원) 상당의 대출을 받을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은 현대로템 전동차 구매를 위해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출을 유치한다. 연 0.1%의 이율로 10년 유예기간을 포함해 35년간 1억8500만 유로(약 2630억원)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을 유치한다. <본보 2023년 10월 10일 참고 수출입은행, 우즈벡 철도청과 고속철 사업 논의…현대로템 기대감> 우즈베키스탄 대표단은 지난달 현대로템과 만나 신형 전동차 구매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도 했다. <본보 2023년 9월 13일 참고 현대로템·도화엔지니어링, 우즈벡 대표단과 회동…교통 인프라 구축 논의> 30대의 전기 열차 공급을 위해서는 체코의 스코다와 직접 계약을 체결한다. 이를 위해 체코 은행으로부터 3년의 유예 기간을 포함해 1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가 카타르의 군함 시장을 정조준한다. 5조원 규모 LNG 운반선 수주가 임박한 가운데 일반 상선 외 군함과 잠수함 등 특수선의 수주 역량을 키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김근중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 해외영업팀 책임매니저는 지난 6일(현지시간) 카타르 최대 영자지 '걸프타임즈(Gulf Times)'와의 인터뷰에서 HD현대중공업이 카타르에서 해군과 특수 함정 부문 사업 확대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는 구축함·호위함·경비함 등 군함 사업을 영위한다. 김 책임매니저는 "카타르의 해양과 해군 목표를 지원하는 데 있어 HD현대중공업의 미래 역할에 관심이 있다"며 "잠재적인 기술 이전과 지식 공유에 관해 카타르의 아미리(Amiri) 해군과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김 책임매니저의 이같은 발언은 최근 HD현대중공업이 카타르 국영에너지회사 카타르에너지와 LNG 운반선 17척에 대한 건조 계약 합의각서(MOA)를 체결한 데 따른 것이다. 카타르 2차 MOA 체결 계기로 한국과 카타르 간의 파트너십이 강화되면서 함정 부분의 협력도 바라고 있다. <본보 2023년 10월 4일 참고 카타르, 노스필드 가스전 확
								[더구루=길소연 기자]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이 에스토니아 대통령과 만나 'K9 자주포 세일즈'에 나선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손재일 사장은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에스토니아 경제사절단과 함께 방한하는 알라 카리스(Alar Karis) 에스토니아 대통령과 회동해 에스토니아의 K9 자주포 추가 생산에 대해 논의한다. 손 사장은 카리스 대통령에게 에스토니아의 K9자주포 추가 도입을 위해 K9의 강점을 어필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와 국경을 접해 안보에 불안을 느끼는 에스토니아는 지상군 화력 보강 차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를 도입한 바 있다. 국방비 예산 증액과 함께 K9 자주포, 미국산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 등을 도입해 방어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국방 예산에 12억 유로(약 1조75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올해 에스토나아의 주요 무기 조달 분야는 포병 및 장거리 무기, 방공 시스템, 무인 시스템이다. <본보 2023년 8월 17일 참고 에스토니아, 1.8조 규모 탄약 구매…한화 'K9 자주포' 도입 속도>자주포를 비롯한 장거리 무기 추가 구매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