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클립 지갑 간편 등록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코빗은 지난 22일 업계 최초로 클립 지갑과 간편 등록 서비스를 시작해 터치 한 번으로 간편하게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코빗에 상장된 클레이튼 기반 가상자산의 시세 및 보유 내역을 클립에서 조회할 수 있게 됐다. 클레이튼(KLAY), 보라(BORA), 위믹스(WEMIX), 네오핀(NPT), 클레이스왑프로토콜(KSP) 등이 그것이다. 이번 이벤트는 오는 24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이 기간 클립 이벤트 배너를 통해 코빗에 신규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시크릿 코드를 등록하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참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클립 내 이벤트 배너를 통해 코빗 앱을 다운로드받고 신규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이후 코빗 앱에서 고객 확인 및 신한은행 자동이체 연동, 마케팅 수신 동의까지 모두 완료하고 코빗 앱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한 시크릿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시크릿 코드를 등록한 모든 고객은 1만 5천 원 상당의 비트코인(BTC) 리워드를 즉시 지급받는다. 마지막으로 클립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동의하면 추첨을 통해 1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GS그룹·위메이드 등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가상자산(가상화폐, 암호화폐) 운용사 하이퍼리즘(Hyperithm)이 클레이튼 네임 서비스(KNS)에 베팅했다. 23일 더구루 취재에 따르면 하이퍼리즘은 클레이튼 블록체인 네임 서비스인 KNS(Klaytn Name Service)에 투자했다. 상세 투자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KNS는 클레이튼 기반 도메인 서비스로 가상 지갑 주소나 메타데이터 등의 길고 복잡한 주소를 간단한 도메인으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이런 블록체인 도메인 서비스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이더리움 기반 도메인 서비스(ENS)다. ENS는 기존 인터넷 사용시에도 유저는 특정 홈페이지를 방문하기 위해서 co.kr, com, net으로 끝나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되는데 이는 복잡한 주소 정보를 사용하기 쉽도록 변환한다. ENS 도메인은 이런 주소 정보를 이더리움 기반 변환하면 유저는 '.eth' 끝나는 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도메인은 NFT인 만큼 개인간 거래도 가능하다. ENS는 최근 도메인 생성건수가 급증하며 지난 17일(현지시간) 총 생성건수가 서비스 시작 5년만에 200만 건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3 광고, 기술 기업인 인섬니아 랩스(Insomnia Labs)가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위한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인섬니아 랩스는 사업 확대를 위해 브랜드 이름도 변경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디월렛랩스(dWallet Labs)가 시드 투자금 확보에 성공하며 오디세이 네트워크(Odsy Network) 구축에 속도를 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디월렛랩스는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500만 달러(약 65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노드캐피털, DCG가 공동으로 주도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앰프리파이 파트너스를 비롯해 라이트시프트 캐피탈, 리퀴드2 벤처스, 콜라이더 벤처스, 렘시캡, 히로익 벤처스, 임패션트 벤처스, 제로 놀리지, 디스퍼션 캐피탈, 토큰 베이 캐피털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디월렛랩스는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본사를 둔 블록체인 기술 전문 사이버 보안 기업이다. 디월렛랩스는 동적 분산형 지갑인 디월렛과 이를 지원하는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오디세이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오디세이 네트워크는 분산 액세스 제어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됐으며 완전한 탈중앙화를 지향한다. 기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탈중앙화를 지향하지만 결국 유저의 자산, 키를 보유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을 사용하면서 분산형 네트워크의 특징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디월렛랩스는 이번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암호화폐 유동성 네트워크 '패러다임(Paradigm)'과 손잡고 암호화폐 선물 스프레드 거래를 시작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패러다임은 FTX 글로벌과 제휴를 맺고 '원클릭 스프레드 거래'를 개시했다. 스프레드 거래는 유사하게 움직이는 다른 파생 상품의 가격 차이를 통해 이익을 얻는 선물거래 방식이다. FTX와 패러다임의 원클릭 스프레드 거래 서비스는 대상 코인들의 선물간 스프레드를 제공한다. 투자자는 복수의 암호화폐를 선택해 롱과 쇼트 포지션을 잡고 자산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대상 코인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아발란체, 에이프코인, 도지코인, 체인링크, 라이트코인 등이다. 패러다임과 FTX는 이번 스프레드 거래 서비스 출시를 통해 암호화폐의 스팟 구매, 선물 상품을 활용한 현금 트레이드에 관심이 있는 새로운 암호화폐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클레이튼 생태계 최초 P2E(Play to Earn) 게임 올인원 플랫폼 클레이튼 게임즈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구축한 강점과 노하우를 결합하여 신규 서비스를 추진하고 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한편, 다양한 크로스 마케팅을 통해 양사의 파트너십을 더욱 견고히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협업의 일환으로, 클레이튼 게임즈는 그라운드X의 클립(Klip) 지갑 연동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클립 유저들도 클레이튼 게임즈가 제공하는 에어드랍, IGO(Initial Game Offering, 신규 게임 런칭), INO(Initial NFT Offering, 신규 NFT 런칭) 등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클레이튼 생태계 확장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올해 5월 출범한 클레이튼 게임즈는 스테이킹을 통한 게임 토큰 에어드랍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향후 게임사들을 위한 런치패드를 비롯해 게임에서 쓰이는 NFT를 판매하는 INO, 다양한 P2E 게임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게임 애그리게이터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런칭할 계획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더리움 기반 NFT(대체불가토큰) 도메인 플랫폼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의 도메인 생성 건수가 4개월여만에 두 배 늘어나며 관심을 받고 있다. ENS 도메인은 지난 17일(현지시간) ENS 도메인 네임의 총 생성건수가 200만 건을 넘어섰다. ENS 도메인은 2017년 5월부터 생성되기 시작했으며 총 생성건수는 출시 5년만인 올해 5월 초 100만 건을 돌파했다. 100만 건 돌파에는 5년이 걸렸지만 200만 건 돌파에 불과 3개월 반 밖에 소요되지 않은 것이다. 최근 생성에는 그 속도가 더 가팔라져 불과 2주 전 ENS 도메인 발행건수는 180만 건을 돌파했었다. ENS 도메인은 이더리움 기반 도메인 서비스로 가상 지갑 주소나 메타데이터와 같이 복잡한 데이터를 이더리움 기반 NFT 도메인으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예를 들면 기존 인터넷 사용시에도 유저는 특정 홈페이지를 방문하기 위해서 co.kr, com, net으로 끝나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되는데 이는 복잡한 주소 정보를 사용하기 쉽도록 변환한 것이다. ENS 도메인은 이런 주소 정보를 이더리움 기반 도메인 서비스다. ENS를 사용해 도메인을 생성하면 유저는 '.eth'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파생상품 거래소 CME 그룹이 이더리움(ETH) 선물 옵션 상품을 출시한다. CME 그룹은 선물 옵션 출시로 이더리움 지분증명 전환에 대비한다. CME 그룹은 18일(현지시간) 이더리움 선물 옵션 내달 12일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CME 그룹은 해당 옵션 상품의 규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ME 그룹이 출시하는 이더리움 선물 옵션 상품도 기존 선물 계약과 마찬가지로 만기일이 지정되며, 만기일에 맞춰 해당 자산을 거래해야한다. 투자자들은 이더리움의 미래 가치를 예측해 베팅할 수 있으며 만기일이 되기 전 합의된 가격에 이더리움을 매매할 수 있는 권리도 가진다. CME 그룹은 이번 선물 옵션 상품 출시를 통해 이더리움 지분 증명 전환(PoS)에 대응한다. 이더리움은 기존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으로 블록체인 구조를 전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증명은 하드웨어인 컴퓨터를 이용해 연산, 채굴을 진행하고 작업을 한 만큼 코인을 가져가는 방식을 말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도지 등의 코인이 작업증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작업증명 방식은 최소 가격 형성, 외부 공격 방어, 독점 행태 방지 등에 용이하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넷마블의 블록체인 생태계 마브렉스(MBX)가 퀀트 기반 핀테크 기업 웨이브릿지(Wavebridge)와 손잡고 가상자산 관리 능력 확충에 나섰다. 19일 더구루 취재 결과 넷마블은 웨이브릿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마브렉스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분산형 금융(DeFi)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브렉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웨이브릿지는 퀀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 산업 지수를 산출하고 있다. 웨이브릿지는 가상자산 시장의 흐름과 주요 지수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웨이브릿지 인덱스'를 운영하고 있다. 웨이브릿지 인덱스는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의 주요 암호화폐 가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원화 가상자산 시장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가상자산 종합지수(CMX10)'를 제공한다. CMX10에는 종합적인 가상 자산의 가격은 물론 디파이, 메타버스, NFT, 밈코인, 스테이블코인, 김치 프리미엄 지수 등 다양한 테마의 지수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넷마블은 웨이브릿지의 IT, 퀀트 알고리즘 기술과 연계해 블록체인 자산 관리 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넷마블은 이와함께 블록체인 게
[더구루=홍성일 기자] 넷마블의 블록체인 생태계 마브렉스(MBX)가 글로벌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P2PB2B'에 상장됐다. 18일 더구루 취재 결과 P2PB2B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마브렉스를 비롯해 6개 코인을 상장했다. 이번에 상장된 코인은 마브렉스를 포함해 밸런스 네트워크, 맥시머스 코인, 메타클라우드, 트리트 DAO, 앵그리 불스 클럽 등이다. 마브렉스는 이번 P2PB2B 상장으로 글로벌 거래 네트워크를 확대하며 시장 확대에 속도를 붙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브렉스는 넷마블의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 기축통화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됐으며 현재 A3:스틸얼라이브 글로벌 버전 등에 적용됐다. 블록체인 기술 적용 후 A3:스틸얼라이브는 인앱 매출, DAU(일일활성유저수), 신규 유저수가 크게 증가했다. 제2의 나라 글로벌의 경우에도 유저들이 획득한 코인의 75%이상을 인게임에서 활용하며 인게임 콘텐츠와 토큰노믹스가 활성화됐다. 넷마블은 마브렉스를 통해 구축된 블록체인 생태계를 기반으로 몬스터 아레나, 모두의 마블:메타 월드 등 독자적인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게임을 순차적으로 릴리스 해 나갈 예정이다. 넷마블은 2026년까지 5년간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블록체인 부문 전문투자 펀드인 '코인펀드'가 초기 웹3.0 프로젝트에 전문적으로 투자한 대규모 펀드를 조성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코인펀드는 3억 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초기단계 웹3 벤처 펀드 '코인펀드 벤처 1'을 출시한다. 이번 투자 펀드 조성에는 기관 투자자, 암호화폐 기업 설립자 등이 참여했다. 코인펀드는 2015년부터 가상자산 분야 투자를 진행해왔으며 100개 이상의 포트폴리오에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를 투자했다. 코인펀드 벤처 1은 레이어 1 블록체인, 웹3 인프라, 분산형 금융(DeFi), NFT(대체불가토큰), 게임, 자산과리, 교환, 마켓플레이스 등 웹3 생태계 구축 초기 단계 프로젝트와 스타트업에 투자된다. 코인펀드는 3억 달러를 2년에서 3년간 배치할 계획이다. 코인펀드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암호화폐 겨울에 대해서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현재 암호화폐 자산 가격 하락이 벤처캐피탈 펀드에게는 유리한 진입 가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코인펀드 관계자는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를 통해 "거대한 웹3 환경에 부합하는 암호화폐 회사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구축하는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국내 최정상 EDM 페스티벌인 ‘울트라 코리아(ULTRA KOREA) 2022’의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s, NFT)을 판매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NFT는 오는 22일부터 코빗 홈페이지에서 판매되며 NFT를 구매한 고객은 9월 24일, 25일 서울에서 열리는 ‘울트라 코리아 2022’에 이틀간 PGA(Premium GA)로 입장할 수 있다. 특히 NFT 구매 고객 중 추첨을 통해 1일권을 추가로 증정하며 현장에서는 스페셜 굿즈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구매 방법은 다음과 같다. 코빗에 회원가입 한 후 고객 확인 및 신한은행 계좌 연동을 완료한다. NFT 구매를 위한 이더리움(ETH)을 충분히 매수한 후 NFT 구매 링크를 통해 울트라 코리아 2022 NFT를 구매하면 된다. NFT 구매 고객은 ‘울트라 코리아 2022’ 입장 시 현장에서 NFT 소유자임을 증명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며 한번 구매한 NFT는 출고 및 양도가 불가하다. 자세한 내용은 코빗 홈페이지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세진 코빗 대표는 “코로나19 여파로 3년 만에 열리는 축제인 만큼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