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거대 IT기업 화웨이가 자국 스마트폰 경쟁업체인 오포와 특허 교차 라이선스(patent cross-licensing)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정부의 제재에 수익성이 악화된 스마트폰 부문에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9일 오포와 5G 기술 등 셀룰러 표준 필수 특허를 포함한 글로벌 특허 교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특허 교차 라이선스 계약은 양사가 서로 필요한 특허를 가진 경우 서로의 특허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약이다. 화웨이는 계약과 관련된 상세 거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화웨이가 경쟁사인 오포와 라이선스 계약에 나선 것은 미국의 제재로 스마트폰 부문이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은 올 4월 합리적인 가격 책정을 통해 막대한 규모의 특허 풀을 수익으로 전환하고 연구개발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지시를 내린 바 있다. 실제로 화웨이는 중국 국가지식산권국(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dministration, CNIPA)이 공개한 자료에서는 중국 민간 기업 중 특허 수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화웨이가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과 일본 혼다자동차 간 동맹전선이 공고해지고 있다. CATL은 혼다와의 계약 규모를 확대, 오는 2024년부터 7년간 전기차 100만 대 이상 분량의 배터리를 납품한다. [유료기사코드] CATL은 지난 8일(현지시간) 혼다 중국법인과 오는 2030년까지 123GWh 규모 전기차 배터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거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CATL은 장시성 이춘에 건설중인 신공장에서 혼다향 배터리를 생산한다. 전기차 1대당 70~100kWh급 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을 감안했을 때 123~176만 대 전기차에 필요한 양의 배터리를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혼다는 작년 중국 파트너사 GAC·둥펑자동차와 공동 설립한 배터리 조달 회사 'HDG 트레이딩 서비스'를 통해 CATL 배터리를 구매한다. 이 회사는 혼다 중국법인이 지분 50%를 보유하고 나머지 두 업체가 각각 25%를 가진다. CATL의 배터리는 혼다가 중국에 선보인 전기차 라인업 '이:엔(e:N)' 시리즈에 탑재된다. 혼다는 지난 4월 신제품 2종 출시를 시작으로 오는 2027년까지 10개 차종을 내놓을 예정이다. CATL과 혼다는 이번 계약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REPT가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 3년 내 세계 4대 배터리 기업을 목표로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8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에 따르면 REPT는 최근 해외 증시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홍콩 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한 전망이다. 기업가치는 약 300억 위안(약 5조6800억원) 규모로, 최대 30억 위안(약 5700억원)을 조달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REPT는 2017년 설립한 리튬이온 배터리리 제조업체다. 세계 최대 니켈·스테인리스강 생산업체인 칭산그룹이 주요 투자자로 있다. REPT는 지난해 에너지 저장 배터리 출하량 중국 내 3위를 기록했다. 인산철 리튬 배터리 적재 용량은 4위 수준이다. 현재 저장성 원저우와 광둥성 포산에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원저우 공장은 2027년 본격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해외에도 생산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개발 중인 전기차가 최근 시험운행 중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난 심화, 경영진 교체 등 악재가 거듭하는 상황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자동차 외신 카스쿱스(Carscoops) 등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카혼패스 한 도로에서 패러데이퓨처 전기차 시제품이 주행 중 불에 탔다. 현지 지역지 빅터밸리뉴스가 SNS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차량 후면부가 전소한 모습이다. 다만 인명피해는 없던 것으로 전해진다. 패러데이퓨처는 최근 거듭된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 자금난 심화와 전기차 양산 차질 등을 이유로 카스텐 브라이트펠트 최고경영자(CEO)가 해고됐다. 브라이트펠트 CEO는 중국판 테슬라로 불렸던 전기차 업체 바이톤의 공동 창업자로 지난 2019년 패러데이퓨처에 합류했다. 패러데이퓨처는 최근 공개한 3분기 실적보고서에서 "재무 상태를 평가한 결과, 설립 이후 계속된 영업 손실과 현금 소진으로 앞으로 1년간 계속 기업으로서의 존속 능력에 상당한 의문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첫 전기차 인도 시기가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패러데이퓨처는 앞서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비야디(BYD)가 유럽에 전기차 생산 공장을 짓는다. 현지화를 앞세워 정부 제재에 가로막힌 미국 대신 유럽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리 케 비야디 부사장은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에 전기차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공장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비야디는 지난 10월 프랑스 파리모터쇼에서 전기차 △한(HAN) △탕(Tang) △아토3(Atto3)를 공개하고 유럽에서 공식 판매에 돌입했다. 독일, 노르웨이, 네덜란드, 영국 등 6개국에서 판매를 시작하고 판매국을 점차 늘려갈 계획이다. 유럽에 생산거점을 마련해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브랜드 신뢰도를 쌓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비야디는 중국에서 생산한 전기차를 유럽에 수출하고 있다. 유통 등의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비야디가 현지 공장 설립을 결정한 것은 미중 갈등으로 진출이 요원한 미국 대신 유럽 시장에 집중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중국 기업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시행하고 있는데다 내년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이 본격 시행되면 비야디의 전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당셩과기(当升科技)가 양극재 공장 설립에 170억 위안(약 3조1790억원)을 쏟는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안정적인 양극재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당셩과기는 지난 2일(현지시간) 슈도르신소재(蜀道新材料), 판지후아바나듐·티타늄첨단산업단지관리위원회(攀枝花市钒钛高新技术产业开发区管理委员会)와 리튬인산철 양극재 공장 건설에 협력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당셩과기는 1단계로 70억 위안(약 1조3090억원)을 투자해 연간 3만t의 공장을 짓는다. 2028년 말까지 건설을 마치고 생산에 돌입한다. 장기적으로 20만t 규모로 생산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당셩과기는 슈도르신소재, 쓰촨성 서홍 정부와 삼원계 양극재 공장 건설 협약도 맺었다. 총 100억 위안(약 1조8700억원)을 투입해 연간 20만t의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15만t 규모의 생산 시설은 2028년 말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셩과기는 신공장에서 생산한 양극재를 글로벌 주요 배터리 업체들에 공급할 계획이다. 중국 BYD뿐 아니라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한국 배터리 3사도 당셩과기의 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기업 '중커하이나 테크놀로지(中科海钠科技, 이하 중커하이나)'가 세계 최초 나트륨이온 배터리 기가팩토리 가동에 돌입했다. 당국과 기업들이 손발을 맞추며 태동 단계인 관련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중커하이나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안후이성 북서부 푸양 소재 나트륨이온 배터리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5억8800만 위안(약 1095억원)을 쏟아 연간 1GWh 규모의 초기 생산능력을 확보했으며, 향후 증설을 통해 5GWh까지 늘릴 계획이다. 푸양 공장에서는 100MW급 나트륨이온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생산할 예정이다. 기가팩토리 가동을 기점으로 나트륨이온 배터리 사업 확대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중커하이나는 나트륨이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작년 12월 안후이성 푸양시 인민정부, 산샤에너지(三峡能源), 산샤캐피탈(三峡资本)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들과 지속 협력해 푸양 공장을 시작으로 30GWh 이상의 글로벌 대규모 생산라인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중커하이나는 앞선 연구개발(R&D) 능력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작년 6월에는 세계 최초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비야디(BYD)가 차세대 전기차에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탑재한다는 주장이 또 제기됐다. 회사가 한 차례 부인했으나 구체적인 배터리 스펙까지 언급되며 탑재설(說)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유료기사코드] 5일 중국 자동차 인터넷플랫폼 '이처(易车)'에 따르면 비야디는 이르면 내년 2분기 출시 예정인 전기차 '하이어우(海鸥)'에 처음으로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다. 1회 완충시 약 300km를 주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어우는 비야디가 선보일 해치백 전기차 신제품이다. 나트륨이온과 리튬이온 배터리가 각각 장착된 2개 버전으로 출시될 전망이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거리는 약 400km로 추정된다. 가격은 나트륨이온 배터리 모델이 6만 위안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모델(8만 위안) 대비 저렴하다. 비야디는 이달 중 나트륨이온 배터리에 쓰일 재료 테스트를 시작할 것으로 전해진다. 내년 1분기 A·B샘플 시범 생산에 돌입하고, 같은해 6월 예비 결과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공적인 테스트 결과를 확보할 경우 나트륨이온 배터리 기반 하이어우를 내년 2분기 출시한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성능 미달시 일정을 미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올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에틸렌 생산국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중국 내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에틸렌 가격 하락이 우려된다. 4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은 페트로차이나 경제기술연구원(中石油經硏院)에 따르면 올해 중국 기업의 에틸렌 증설 물량은 565만t으로 추정된다. 전체 생산능력은 4933만t으로 미국을 제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지난해 에틸렌 생산능력이 연간 4427만t으로 선두를 차지했었다. 2위인 중국(4368만t)과는 59만t의 차이를 보였으나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증설로 추월당했다. 중국 최대 석유화학사 시노펙(중국석유화학)을 포함해 국유 기업들은 3년 동안 1300만t의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민영 기업들의 증설 물량도 475만t에 달한다. 싼장(三江)화공은 저장성 쟈싱에, 바오펑(寶豊)에너지 3기는 닝샤후이족자치구 인촨에 내년까지 각각 125만t, 50만t을 증설한다. 산둥 위룽(裕龍) 석유화학은 산둥성 옌타이에 2024년까지 300만t의 생산능력을 추가할 예정이다. 해외 기업들도 투자에 적극적이다. 중국해양석유(CNOOC)와 다국적 기업 쉘은 광둥성 후이저우에 연간 150만t의 에틸렌 생산시설을 짓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억만장자인 캘빈 로가 포뮬러1(F1) 투자를 모색하고 있다. 캘빈 로는 신규 팀 창단과 기존 팀 투자를 두고 저울질 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캘빈 로는 영국의 스포츠 전문지 '데일리 스타'와 인터뷰를 통해 F1에 새로운 팀을 만들거나 기존 팀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캘빈 로는 현재 투자 타당성을 평가하고 있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캘빈 로는 세계적인 생명보험 중개업체인 'R.E 리 인터네셔널'의 CEO로 F1의 열렬한 팬으로 알려졌다. 캘빈 로는 투자 방식에 따라 시장에 진입하는 시기가 달라질 것으로 봤다. 기존에 있는 팀에 투자를 하는 방식이라면 당장 2023년부터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신규 팀을 창단해야하는 경우 참가에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모든 절차가 순조롭게 마무리 된다고 하더라도 빠르면 2026년이나 돼야 F1 레이스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캘빈 로가 신규 팀 창단을 결정한다면 가장 큰 난관은 기존 팀들을 설득하는 것이 될 예정이다. 신규 팀 창단은 기존 파이를 더 잘게 쪼개는 것이 되면서 각 팀이 가져가는 파이가 작아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캘빈 로는 이에 대해 기존 팀들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지리자동차가 ‘자동차-드론 결합 특허’를 출원했다. 운전자는 드론을 통해 다양한 각도의 주행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3일 중국 국가특허청에 등록된 지리차의 자동차-드론 결합 특허를 보면, 드론은 엔진 커버의 특수 구획에 위치한다. 열고 닫을 수 있는 두 번째 문이 있는 구획은 드론이 착륙하거나 이륙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의 개폐 메커니즘은 병진형이며 개방 방향은 모터 케이스의 확장 평면과 평행하다. 이를 통해 드론은 차량이 움직이더라도 이착륙이 가능하며 운전자의 시야에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드론은 주행 중 다양한 각도를 통해 독특한 샷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교통 사고와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 보조 카메라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드론은 완전히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최대 90km/h의 속도로 차량을 추적한다. 운전자는 ‘높은 고도 환경 모드’와 ‘스포츠 추적 모드’로 역동적인 주행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촬영이 끝나면 드론은 자동으로 차량에 복귀한다. 운전자는 차량이 정지해 있는 동안 15인치 센터 디스플레이에서 직접 비디오 클립을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다. 앞서 지리차는 올해 3월 차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샤오미가 추진하는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세웠던 계획에 차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 결국 제품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공급망 문제로 전기차 생산을 위한 부품 납품이 지연되면서 당초 계획했던 품질을 달성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였다. 표면적으로는 순항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내부적으로 여러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는 것. 이는 중국 현지 언론이 샤오미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이다. 샤오미의 자율주행 기술 또한 상용화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자율주행 테스트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 내부적으로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라는 설명이다. 익명을 요구한 현지 R&D시스템 관계자는 “샤오미가 공개한 자율주행 테스트 영상을 보면 대부분 편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고액 연봉을 받고 샤오미로 이직해 전기차를 개발하던 직원들이 최근 줄 퇴사하고 있다는 점도 심상치 않다"고 전했다. 샤오미는 오는 2024년 상반기 첫 번째 전기차 모델에 대한 대량 생산을 계획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후지쯔(Fujitsu)가 1만 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터 개발에 착수했다. 후지쯔는 단기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가능한 실용적 양자컴퓨팅 솔루션을 개발하면서, 다이아몬드 스핀 큐비트와 고성능 컴퓨터(HPC) 플랫폼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후지쯔는 2030년 회계연도까지 1만 큐비트급의 초전도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로 했다. 후지쯔는 새롭게 개발할 양자컴퓨터로 재료 과학 분야 등에서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후지쯔의 초전도 양자컴퓨터는 250개의 논리적 큐비트로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큐비트는 물리적 큐비트와 논리적 큐비트로 구분된다. 물리적 큐비트는 양자컴퓨터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는 일반적인 큐비트를 말하며, 논리적 큐비트는 여러 개의 물리적 큐비트를 결합해 양자 오류를 보정하여 더욱 정확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의 큐비트를 의미한다. 이를위해 후지쯔는 자체개발한 STAR 아키텍처를 적용한다. STAR 아키텍처는 초기단계 내결함성 양자 컴퓨팅 아키텍처(early-stage fault-tolerant quantum computing, EFTQC)다. EFTQ
[더구루=김명은 기자] 미국 보건당국이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 개발 사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작된 mRNA 관련 투자와 프로젝트를 재검토한 결과, 추가 개발 비용 대비 기대 효과가 낮다고 판단했다. mRNA 기술은 감염병 대응은 물론, 암, 희귀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의학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의 결정은 글로벌 백신 개발의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보건복지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백신·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이 mRNA 백신 개발 활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BARDA는 공중보건 위협에 대응할 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백신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입했다. 이번 조치에는 모더나(Moderna)의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계약 취소와 정부의 백신 구매 권리 포기도 포함된다. 화이자(Pfizer), 사노피 파스퇴르(Sanofi Pasteur), CSL 시퀴러스(CSL Seqirus), 그릿스톤(Gritstone) 등 여러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