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메타버스 기업 애니모카브랜즈가 일본의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코인체크(CoinCheck)'와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애니모카브랜즈는 코인체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또한 애니모카브랜즈는 코인체크에 대한 투자도 진행했다. 투자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란 애니모카브랜즈는 콘텐츠, 지식재산(IP) 개발을 주도한다. 일본 내 배포하고 유저를 모으는 것은 코인체크가 담당하게 된다. 일본 내 웹3 채택을 가속화하기 위해 제작자와 유저를 위한 커뮤니티 구축도 모색한다. 또한 올해 1월 발표된 오아시스 도쿄에서도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오아시스 도쿄는 코인체크가 애니모카브랜즈의 메타버스 샌드박스 내 구축하고 있는 메타버스 도시다. 애니모카브랜즈는 이번 코인체크와 파트너십 확대로 일본 내 입지를 확장하고 향후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얏 시우 애니모카브랜즈 회장은 "우리는 여러 오픈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통해 깊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했다"며 "향후 긴밀히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블록체인 기술 기업 크립타이드가 전자상거래 핀테크 기업 포에버8을 인수했다. 크립타이드는 새로운 핀테크 포트폴리오로 신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크립타이드는 최근 포에버8 인수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 포에버8은 전자상거래 비즈니스를 위한 재고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객이 비즈니스를 시작할 때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수 있도록 공급업체 조건과 제품 위험성 등을 평가해준다. 이 과정이 끝나면 포에버8은 고객이 영업, 마케팅, 제품 라인 확대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본 확보를 대신 진행해준다. 고객의 비즈니스 시작 단계부터 마무리 단계까지 원스톱 지원을 해주는 셈이다. 포에버8은 아마존과 쇼피파이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크립타이드는 포에버8 인수를 통해 기존 강점인 블록체인 기술과 핀테크 기술 간 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게 됐다. 당장 4분기부터 신규 기술 개발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노리는 상황이다. 브라이언 맥패든 크립타이드 최고경영자(CEO)는 “포에버8은 금융 기술 분야의 미래 리더가 될 기업으로, 우리에겐 새로운 수익을 가져다 줄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3 보안 전문회사 브로우피쉬(Blowfish)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사업확대에 나선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브로우피쉬는 최근 패러다임이 주도한 펀딩을 통해 1180만 달러(약 167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에는 드래곤플라이, 유니스왑 랩스 벤처스, 하이퍼스피어, 0x 랩스과 다수의 앤제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브로우피쉬는 암호화폐를 통한 악성 사기 등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트랙잭션을 스캔, 검증해 피싱, 하이재킹 공격 등으로부터 유저들의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현재까지 브로우피쉬의 기술로 1억2500만 건 이상의 거래를 스캐했으며 1만1000건의 피해를 막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브로우피쉬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이더리움, 솔라나, 폴리곤 등에 적용된 엔진을 업그레이드하는데 투입한다. 또한 기존 블록체인 외에 새로운 블록체인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추가 고용도 진행할 계획이다. 브로우피쉬와 협력하고 있는 팬톰 관계자는 "브로우피쉬는 수천 명의 유저를 악의적인 사기 범죄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됐다"며 "그들의 API는 사용하기 쉽고 안정적이다. 우리는 사기꾼보다 한발 앞서 나가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메타버스 기업 애니모카브랜즈가 NFT(대체불가토큰) 프로젝트 '쿨캣츠'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두 기업은 향후 공동 NFT 프로젝트 등을 진행, 메타버스 생태계를 확장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애니모카브랜즈는 쿨캣츠에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 애니모카브랜즈는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쿨캣츠가 글로벌 NFT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쿨캣츠는 켄 크론 회장이 설립한 NFT 전문기업이다. 켄 크론은 게임, 미디어 부문에서 경력을 쌓아왔으며 지난 2년간 애니모카브랜즈 이사회 멤버로도 활동했다. 이번 전략적 투자도 얏 시우 애니모카브랜즈 회장과 켄 크론 회장과의 오랜 인연 속에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쿨캣츠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NFT 콜렉션으로 9999개의 고양이 캐릭터 NFT로 구성돼 있다. 쿨캣츠는 캐릭터 외에도 만화, 게임, 앱, 애니메이션 등 몰입형 스토링텔링을 통해 커뮤니티 중심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애니모카브랜즈도 쿨캣츠의 향후 사업 진행을 지원하며 글로벌 NFT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쿨캣츠 관계자는 "애니모카브랜즈와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고 그들의 게임에 대한 전문성을 활요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사 '미시컬게임즈(Mythical Games)'가 자체 토큰을 발행하는 등 웹3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미티컬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는 다수의 국내 게임사들도 참여한다. 미시컬게임즈는 5일(현지시간) 웹3 생태계 구축을 이끌 미토스 재단을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미토스 재단은 향후 게임 경제 구축과 블록체인 게임 개발자들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미토스 재단이 중점을 둔 개발영역은 △크로스체인 인프라·NFT(대체불가토큰) 전송 △게임개발자, 퍼블리셔를 지원하는 NFT·게임경제 발전 △게임 길드, 길드 커뮤니티 통합·지원 △웹3 e스포츠 시장 성장 △기존 게임 플랫폼과 협력관계 구축과 차세대 게임 지원 정책 수립 등이 있다. 미시컬게임즈는 미토스 재단 설립과 함께 기본 유틸리티 토큰 역할을 할 미토스 토큰(MYTH)를 공개했다. 해당 토큰을 통해 미티컬 마켓플레이스에서 거래가 가능해진다. 미토스 재단은 설립과 함께 생태계 발전을 이끌 초기 파트너들도 공개했다. 게임 개발사로는 크래프톤, 마브렉스(넷마블), 컴투스,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등 국내 게임사들과 유비소프트, CM게임즈, 퍼블루, 쓰리카인드 게임즈, 포스트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부문 전문 투자사인 해시드가 인도의 암호화폐 기반 뱅킹 플랫폼 '주노(JUNO)'에 투자했다. 주노는 인도 암호화폐 생태계를 확장하는데 자금을 투입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주노는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1800만 달러(약 255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은 파라파이 캐피탈 그로쓰 펀드가 주도했으며 해시드, 점프 크립토, 언콜리레이트 펀드, 그레이크로프트, 미스릴, 앤트러 글로벌, 식스맨 벤처스, 앱스트랙트 벤처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주노는 2019년 설립됐으며 디지털 뱅킹,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로열티 프로그램 등을 주요 제품군으로 보유하고 있다. 주노의 디지털 뱅킹 솔루션은 유저에게 암호화폐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계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체크카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주노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디지털 뱅킹 제품군 확장과 토큰화된 로열팀 프로그램을 출시하는데 투입할 계획이다. 주노 관계자는 "우리는 암호화폐와 웹3를 핵심으로 해 당좌 예금 계좌를 재구축하고 있다"며 "주노는 회원들이 급여의 일부를 암호화폐를 벌어들이고 이를 일상적인 거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카이위버 등을 개발한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호라이즌 블록체인 게임즈(Horizon Blockchain Games)'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호라이즌 블록체인 게임즈는 4일(현지시간)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4000만 달러(약 57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브리반 하워드 디지털과 모건 크릭 디지털이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 폴리곤, 유비소프트, 엑솔라, 이니셜리지드 캐피탈, 비트크래프트 벤처스, CMT 디지털, 퀀트스탬프, 라운드13 캐피탈 등 글로벌 게임 개발사들과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에 투자를 유치한 호라이즌 블록체인 게임즈는 게임 외에도 다양한 웹3 기술을 개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호라이즌 블록체인 게임즈는 지난 2월 8일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 스카이위버를 출시했으며 이를 운용하기 위해 디지털 지갑 플랫폼인 '시퀀스'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수집품 거래를 위한 마켓플레이스인 '니프티스왑.io'를 출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호라이즌 블록체인 게임즈의 마켓플레이스에서는 준대체가능토큰(semi-fu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웹3 플랫폼 기업 스마트미디어 테크놀로지(SmartMedia Technologies, 이하 스마트미디어)가 종단 간 웹3 생태계 구축 등을 위해 3개 기업을 한 번에 인수했다. [유료기사코드] 스마트미디어는 4일(현지시간) 스위스의 블록v 솔루션, 호주의 제로니모, 영국의 오스텔라 등 3개 기업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인수된 블록v 솔루션은 NFT(대체불가토큰)에 특화된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이며 제로니모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다. 오스텔라는 XR장치를 활용한 몰입형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화돼 있다. 스마트미디어는 이번 3개 기업 인수를 통해 종단 간 웹3, 메타버스, NFT 제품군을 아시아태평양, 유럽 전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는 평가다. 스마트미디어 관계자는 "우리의 목표는 웹3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제공하는 진보된 기업 참여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이번 인수는 우리 팀의 인재를 크게 늘리고 플랫폼 기능을 확장하며 궁극적으로는 웹3의 힘을 활용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를 만드는 능력의 성장을 빠르게 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웹3 전문 스타트업 와이웨일스(yWhales)가 웹3 커뮤니티를 통한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와이웨일스는 최근 500만 달러(약 72억원)를 조달했다. 와이웨일스는 이번 펀딩을 통해 8000만 달러(약 115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번 펀딩이 기존 펀딩과 달랐던 것은 벤처캐피털 등 전통적인 투자자들이 아닌 글로벌 웹3 커뮤니티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기 때문이다. 와이웨일스는 암호화폐 겨울 속 기존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자금 조달이 쉽지 않게됐다. 이에 글로벌 웹3 커뮤니티를 통해 투자자들을 모아 자금을 조달하는데 성공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와이웨일스는 일반 개인들의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대신 웹3가 향후 미래를 바꾸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글로벌 CEO, 비즈니스 리더, 기업가들을 모아 독점적인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있다. 와이웨일스는 웹3 기업가들의 커뮤니티를 구축,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 기존 비즈니스가 웹3 환경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와이웨일스 관계자는 "우리의 자본 조달 성공은 웹3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클레이튼'이 옴니체인 스마트계약 플랫폼 '제타체인(ZetaChai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클레이튼은 이번 파트너십으로 멀티체인 연결 기능이 강화한다. 제타체인은 3일(현지시간) 클레이튼과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제타체인의 스마트 계약 플랫폼이 클레이튼에 통합된다. 제타체인은 브리지나 래핑 토큰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클레이튼도 제타체인 플랫폼을 통합함으로써 이더리움, 폴리곤, BSC는 물론 비트코인, 도지코인과 같은 비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과도 연결된다. 이를 통해 클레이튼에서 연결된 모든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가치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크로스체인 스왑, DEX, 멀티체인 NFT 등과 같은 크로스체인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클레이튼은 멀티체인 생태계 구축을 통해 이전보다 풍부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됐을 뿐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의 자본 효율성도 가져올 수 있게 됐다. 클레이튼 유저는 파트너십 발표와 함께 제타체인 테스트넷을 사용할 수 있다. 클레이튼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는 2022년 글로벌 가상자산 채택 순위에서 베트남을 2년 연속 1위에 선정했다. 베트남이 가상자산 시장에서 앞서가고 있는데는 금융과 게임이 있었다는 분석이다. 3일 코트라 호치민무역관의 '글로벌 가상자산 채택 순위 1위 베트남의 암호화폐 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가상자산 시장이 폭발적으로 관심을 받은데는 은행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해외송금 수단이라는 점과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 P2E) 게임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베트남은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으로 인해 외국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많은 나라로 뽑힌다. 그러면서도 금융 시스템이 아직 잘 정비돼 있지 않아 금융기관 이용 비율이 낮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 송금수수료보다 적은 수수료로 빠르게 해외에서 송금할 수 있는 암호화폐는 빠르게 인기를 끌게 됐다. 또한 게임을 하면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P2E 게임이 있었다. 베트남인들은 글로벌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 따라잡으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P2E 게임의 대두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켰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P2E 게임인 '엑시인피니티'를 개발한 베트남 기업 '스카이마비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속가능한 비트코인 채굴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의 채굴업체 '아스펜크릭 디지털 코퍼레이션(Aspen Creek Digital Corporation, 이하 ACDC)'이 추가 자금 조달에 성공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ACDC는 최근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800만 달러(약 115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은 갤럭시 디지털과 폴리체인 캐피탈이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CMT 디지털, 룩소르 테크놀로지스, 마나 벤처스, 개인젤스, 쿠퍼 리버 에너지 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ACDC는 지속가능한 암호화폐 채굴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저장, 운영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10MW 용량의 태양광 발전소를 콜로라도 서부에 구축, 운영을 시작했다. 올 가을에는 87MW 태양광 발전소를 가동한다. 이후에는 200MW 태양광 발전소의 가동도 시작할 예정이다. ACDC는 태양광외에도 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통해 2025년까지 전력 공급량을 3GW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ACDC 관계자는 "채굴업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망에 새로운 재생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운영될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