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진에어가 지방발 일본행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 진에어가 일본행 하늘길을 다시 여는건 일본으로 향하는 여행객의 수요가 증가해서다. 국내 여행지의 물가가 급격히 오른 반면 일본은 엔저 현상에 더해 비행시간도 짧아 방문 선호도가 높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진에어는 오는 10월 29일부터 '부산-오키나와' 노선을 매일 1회 운항한다. 해당 노선에는 189석 규모의 B737-800 항공기를 투입한다. 운항기간은 동계시즌인 10월 29일부터 내년 3월 30일까지다. 운항 스케줄은 김해국제공항에서 매일 오전 8시 출발해 오키나와 나하국제공항에 오후 10시 5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오전 11시 5분에 오키나와에서 출발해 부산에 오후 1시 5분에 도착한다. 진에어 관계자는 "지역민 교통 편의 확대와 이용 여객 수요 예상에 따라 복항한다"고 밝혔다. 진에어는 8월 휴가철 맞아 인천발 오키나와행 노선도 늘렸다. 주 7회 운항하던 인천∼오키나와 노선에 이달에만 임시편 4편을 추가해 주 11회로 증편했다. 한편, 진에어는 현재 △인천~나리타 △인천~오사카 △인천~후쿠오카 △인천~삿포로 △인천~오키나와 △인천~기타큐슈 △부산~후쿠오카 △부산~삿포로 운항 중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새로 도입할 보잉 787-10 기종과 기존에 보유한 777-300ER에 새로운 비즈니즈석을 선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미국 교통부에 신규 비즈니스 클래스 미니 스위트 도입 계획 서류를 제출했다. 좌석 접근성과 관련된 규제 서류로, 가까운 시일 내에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을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대한항공은 비즈니스 클래스 상품을 새로 도입하는 보잉 787-10 기종에 탑재할 예정이다. B787-10은 오는 10월부터 인도돼 11월부터 취항한다. 새로운 비즈니스석은 대한항공이 보유하고 있는 기존 25대의 보잉 777-300ER 중 일부 기재에도 도입된다. 기존 8석의 일등석을 제거해 스위트 비즈니스석으로 새롭게 개조한다. 대한항공은 신규 도입할 비즈니스석을 새로운 '비즈니스 클래스 스위트 좌석'이라고 설명하면서도 미국 교통부에 제출한 서류에는 경쟁상의 이유로 좌석 모델명을 삭제했다. 다만 서류에 좌석에 대한 추가 설명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교통부가 이미 익숙한 제품으로 추정된다. 좌석 배치도는 리버스 헤링본 좌석 1-2-1 배열 혹은 좌석이 엇갈리게 배치된 델타항공의 비즈니스클래스 델타 원 스위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제주항공이 '엔저' 영향에 힘입어 일본행 여행객이 늘자 지방발 일본 노선을 늘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오는 9월 6일부터 부산~도쿄(나리타) 노선을 매일 1편 증편한다. 기존 데일리 운항에 1편을 추가해 매일 2편을 운항한다. 사용 기재는 189석 보잉 737-800이다. 기존 오후편에 오전편을 더해 여객의 편의성을 돕는다. 추가되는 일정은 김해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 20분에 출발해 나리타국제공항에 오전 10시 35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나리타공항에서 오전 11시 35분에 출발해 부산에 오후 2시 5분 도착한다. 기존 스케줄은 부산에서 오전 11시에 출발해 나리타에 오후 1시에 도착한다. 돌아오는 항공편은 오후 2시에서 출발해 부산에 오후 4시 35분에 도착한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시장 상황에 맞춰 탄력적인 노선 운영을 하고 있다"며 "부산발 나리타행 증편 운항은 동계스케줄(10월 30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항공이 최근 유튜브에서 공개한 BTS 래핑 항공기의 메이킹 영상은 조회수 117만회를 기록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방탄소년단의 데뷔 10주년을 기념하는 '2023 BTS FESTA'에 공식 파트너사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양산형 모델의 시험 비행에 돌입했다.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매물로 나온 에이치엠엠(HMM)이 중고 대형 벌크선에 이어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을 인수한다. 사업 다각화를 위한 투자로, 컨테이너선을 넘어 유조선 사업까지 강화해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HMM은 홍콩의 오리엔탈쉬핑앤인베스트먼트로부터 선령이 6년 된 30만톤(t)급 HD현대중공업 건조 유조선 '브이 트러스트(V Trust)를 구매한다. 매입가는 9000만 달러(약 1200억원) 이하이다. 선박은 현재 ' 유니버셜 아너(Universal Honor)'로 이름을 변경했다. 유니버셜은 HMM의 VLCC 시리즈이다. HMM의 중고 유조선 매입은 경쟁력 있는 선대 운용과 원유 운송 장기계약을 통한 안정적인 영업으로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HMM은 1976년 3척의 VLCC로 탱커 사업을 시작한 이후 현재 유조선, 석유제품선, LNG 운반선 등 다양한 선단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외 정유사와 트레이더와의 장기화물 운송계약 및 장기 대선계약을 기반으로 중동, 서아프리카, 카리브해에서 극동, 미국, 유럽으로 원유를 수송하고 있다. 특히 스크러버(Scrubber)가 장착된 에코(Eco) VLCC 선대를 통해 환경 이슈에 대응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미국법인인 '슈퍼널'이 미래 항공우주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인증 획득에 나선다. 경쟁사들과 비교해 상용화 목표 시기를 2년 여 늦춘 만큼 철저한 준비를 토대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슈퍼널은 오는 12월 미 연방 항공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에 전기 수직 이착륙장치(eVTOL) 인증 신청서를 제출한다. 특별 연방 항공 규정(SFAR)에 맞춰 eVTOL 조종사 훈련 및 운영에 대한 새로운 규칙도 정립한다. 이는 아담 슬레피안(Adam Slepian) 슈퍼널 최고사업책임자(CCO)가 최근 워싱턴 DC에서 열린 허니웰 AAM(Honeywell AAM) 서밋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다. 허니웰 AAM 서밋은 eVTOL 부문 핵심 관계자들이 모여 미국 AAM 시장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리이다. 슈퍼널은 인증 신청서 제출 이후 2024년 본격적인 eVTOL 시험 비행을 시작, 오는 2028년 도심 운영에 최적화된 완전 전동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모델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이어 2030년에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차세대 항공기인 에어버스 'A321-200 NEO(네오)' 6호기를 도입했다. 1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기술시스템(ATIS)에 따르면 대한항공이 도입하는 A321네오는 지난달 21일 독일 함부르크 에어버스 공장을 출발해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를 경유, 23일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대한항공이 지난 6월 5호기를 도입한 후 한 달 만에 6호기를 도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A321네오 6호기가 도입되고 올해 하반기에 4대 더 들어올 예정"이라며 "A321네오 도입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A321 네오를 운용해 서비스 경쟁력을 높인다. 일본이나 동남아시아 등 중단거리 국제선에 A321네오를 투입할 계획이다. A321네오는 대한항공이 에어버스 항공기 중 처음으로 도입한 협동체다. 협동체는 1개의 복도로 구성된 소형 항공기를 말한다. 동급 기종 대비 연료 효율이 25% 높고, 탄소배출량은 25% 적다. 6시간 내외 단거리 노선운영에 최적의 기종으로 꼽힌다. 대한항공은 에어버스와 2025년까지 A321네오 항공기 30대 확정주문과 20대의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 A321네오는 넓은 좌석과 첨단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공군에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를 납품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우주위성 데이터 기업 스파이어글로벌(Spire Global)이 유럽우주국(ESA)과 손잡고 위성 기반 항공기 감시·추적 시스템을 개발한다. 기술이 상용화되면 항공기 사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프랑스 건설회사 등과 폴란드 신공항사(CPK·Centralny Port Komunikacyjny)의 지분 참여를 협상 중이다. 26일 주한 폴란드 대사관에 따르면 마르친 호라와(M. Horala) 기금지역정책부 차관 겸 신공항특명전권대표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프랑스 건설회사 빈치(Vinci)와 익명의 기업 한 곳을 포함한 3개 기업과 CPK의 지분 참여 협상을 진행 중이다. 지분 참여사는 CPK의 지분 49%를 인수할 예정이다. 인천공항은 전략적 투자자(SI)로 지분 12.5% 참여를 제안받았다. 폴란드 신공항 사업은 기존 관문인 바르샤바 쇼팽 공항을 대체하는 중동부 유럽 최대 규모의 공항 건설을 목표로 한다. 철도, 도로, 도시개발 등 광범위한 인프라 개발을 포함한 복합운송허브(STH)에 대한 구상을 진행 중이다. 사업 규모는 약 10조원(74억 유로)에 달한다. 폴란드는 신공항 건설로 2개의 평행 활주로와 터미널로 운영하게 된다. 2028년 개장 시 연간 4000만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 2060년까지 3개의 평행 활주로와 터미널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부지 면적은 3900 ㎡로 확장되며, 연간 6500만명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일본행 여객 수요가 늘어나자 '일본의 하와이' 미야자키 노선 운항 재개에 나선다. 코로나19로 운휴한지 3년 만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9월 27일부터 '인천~미야자키'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 주3회(수, 금, 일) 일정으로 사용 기재는 에어버스 A321-200 혹은 A321네오(NEO)가 투입된다. 운항 스케줄을 살펴보면 수요일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오전 10시10분에 출발해 미야자키공항에 오전 11시50분에 도착한다. 금요일은 인천에서 오전 10시15분에 출발해 미야자키에 11시50분에 도착한다. 일요일은 오후 4시10분에 출발해 미야자키에 오후 6시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수, 금요일은 미야자키에서 오후 1시에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에 오후 2시40분에 도착한다. 일요일은 미야자키에서 오후 7시 10분에 출발해 인천에 오후 8시50분에 도착한다. 미야자키 노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3월 8일부터 운휴중이다. 올 1월부터 1월부터 전세편의 운항을 실시했지만, 정기편 운항 재개는 3년 반만이다. 미야자키는 일본 규슈 지역 남쪽에 위치해 연평균 기온 17도 이상의 온화한 날씨를 자랑한다. 태평양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엘엔지해운이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선대를 전량 처분한다. 자산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필요한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VLGC를 매각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엘엔지해운은 액화천연가스(LPG) 화물 운송을 위해 구매한 4척의 VLGC를 매각한다. 8만4605㎥급 VLGC 에이치엘에스 앰버(HLS Amber)와 8만6000㎥급 에이치엘에스 블루 사파이어(HLS Blue Sapphire)호, 에이치엘에스 시트린(HLS Citrine)호, 에이치엘에스 다이아몬드(HLS Diamond)호를 매물로 내놓았다. 4척의 매각 제안은 오는 28일까지 제출될 예정이다. 선정된 구매자는 다음달 23일까지 판매자에게 확정 제안을 하기 전 선박을 검사하기 위해 초대된다. 매각가는 1억500만 달러(약 1344억원)에서 1억1000만 달러(약 1408억원)범위로 관측된다. 현대엘엔지해운은 올 1분기에 현대삼호중공업으로부터 VLGC '에이치엘에스 다이아몬드호', '에이치엘에스 블루사파이어호'와 '에이치엘에스 시트린호' 등을 인도받았다. 이 선박들은 액화석유가스(LPG)와 초저유황연료유(VLSFO)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 추진엔진이 탑재됐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