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도담 기자] SK온·에코프로와 전구체 파트너십을 맺은 중국 거린메이(格林美·GEM)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확장, 대규모 상용화에 나선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반도체 A주 상장 기업 39개 중 30개가 올해 상반기 흑자를 낼 전망이다. 미국 수출 통제의 반사이익을 얻은 중국 반도체 장비 회사들은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반면 집적회로(IC) 설계·패키징 기업들은 울상이다. 가전·모바일 수요 침체로 부진한 성적표를 거뒀다. 6일 증권일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A주 상장 반도체 기업 39개 중 30개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8개 기업은 실적 전망치가 상향됐다. 호실적을 내는 기업은 대부분 반도체 장비 회사다. AMEC은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09.5%~120.2% 급증한 9억8000만 위안(약 1700억원)~10억3000만 위안(약 1860억원)으로 추정된다. 식각(에칭) 장비 주문이 늘었다. 완예기업(万业企业)도 상반기 순이익이 316% 뛰어 약 1억1800만 위안(약 210억원)에 달한다고 예측했다. 장비 업체들이 좋은 성적표를 낸 배경은 미국의 수출 규제에 있다. 미국은 작년 10월 △18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14나노 이하 로직 칩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에 반도체 장비 수출을 사실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시청각 양식을 지배하고 있는 숏클립 시장이 소비문화의 변화도 주도하고 있다. 전통적인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점유율이 떨어지는 가운데 숏클립을 앞세운 틱톡 등이 소비문화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6일 코트라 난징무역관의 '숏클립이 뜬다, 영상 보고 쇼핑하는 중국의 신 소비문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쇼핑 문화는 '숏클립'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올해 3월 발표된 중국 인터넷 시청각 발전 연구 보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10억6700만명이다. 이 중 94.8%인 10억1200만명이 숏클립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7800만명이 증가한 수치다. 숏클립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중국인들의 여가 수단이자 온라인 쇼핑의 보편적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중국의 숏클립 플랫폼은 틱톡과 콰이쇼우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틱톡의 일일 활성 유저수(DAU)는 약 4억2100만명이며 콰이쇼우의 DAU는 3억4700만명이다. 이들은 숏클립 트래픽을 활용해 유저들을 전자상거래 유저로 전환시키는 '숏클립 전자상거래' 부문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숏클립 전자상거래는 유저들이 숏클립을 소비하다가 관련된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불화수소 시장이 반도체 업황 둔화의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상반기 수출액이 감소한 가운데 최대 수출대상국인 한국 비중도 축소됐다. 5일 코트라 광저우무역관에 따르면 중국 불화수소 수출액은 2019년 3428만3000달러(약 440억원)에서 2022년 5589만5000달러(약 720억원)로 뛰었다. 최대 수출 대상국인 한국은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잘나가던 불화수소는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 올해 상반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6.4% 감소해 2450만2000달러(약 310억원)에 그쳤다. 한국 비중도 올해 상반기 50.7%까지 하락했다. 반도체 산업의 불황으로 주요 기업들이 감산을 단행했기 때문이다. 일본이 2019년 수출규제 조치를 해제해 불화수소 수출 길을 열며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더는 중국산에 의존할 필요도 줄었다. 반도체 업황 둔화가 불화수소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며 가격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불화수소 가격은 작년 11월 t당 1만2417위안(약 220만원)에서 7월 9090위안(약 160만원)까지 떨어졌다. 불화수소 시장은 예년만 못하지만 중국 내 수요와 공급 모두 안정적인 만큼 당장 한국의 불화수소 수급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오는 9월부터 향후 2년간 무인기와 관련 부품·장비 수출을 통제한다. 국가 안보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무인기의 수출입을 관리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청신리튬이 스위스에 해외주식예탁증서(GDR)를 발행해 리튬 사업 재원을 마련한다. LG화학과 SK온, 포스코퓨처엠 등 국내 고객사들의 리튬 확보를 지원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양극재 기업들이 상반기 부진한 성적표가 예상된다. 중국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까지 생산량을 늘리며 양극재 업체들의 생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업체와 경쟁 관계인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 CNGR이 니켈 정제부터 3원계 전구체에 이르는 배터리 라인업 구축에 나선다. 전기차 대중화로 빠르게 증가하는 니켈 수요에 대응하는 한편 이를 활용한 전구체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규모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알리바바가 분자칩 스타트업 아탄타레스(Atantares)에 투자했다. 반도체와 생명 공학의 결합으로 유전자 합성 등 새로운 바이오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아시아그린펀드는 2일(현지시간) 아탄타레스가 1억 위안(약 180억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프리 A 투자 라운드는 아시아그린펀드가 주도했으며 프리즈 펀드, 치밍 벤처 파트너스, 넥스트 캐피탈, 뉴엑스 캐피탈이 참여했다. 프리 A+ 라운드는 알리바바 헬스가 단독으로 투자했다. 2021년 설립된 아탄타레스는 분자 칩(molecular chips)을 개발해 생명공학 분야를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탄타레스는 높은 처리량을 요구하는 DNA 합성 분야에 우선 집중한다. 유전자 합성 기술에 적합한 시모스(CMOS) 칩을 개발해 DNA 합성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1차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아탄타레스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1세대 숏체인 CMOS칩의 테이프아웃(최종설계)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아탄타레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연구개발, 서비스 운영, 기업 역량 확장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시아그린펀드 관계자는 "반도
[더구루=김도담 기자]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에 중국 정부와 기업들이 자국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자생력 키우기에 나섰다. 반도체 산업 침체기지만 더 적극적으로 투자해 안정적인 수급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궈시안이 미국 배터리 소재 공장의 건설 지연 소문을 일축했다. 1년가량 늦어진다는 현지 매체의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며 빠른 진화에 나섰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EVE에너지가 독일에 이어 태국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태국 전기차 회사와 최소 6GWh의 합작공장을 건설한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