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나윤 기자] 중국 손해보험사들의 상반기 실적이 큰 개선세를 보인 가운데 현대해상화재보험의 합작사인 현대재산보험이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이 회사는 4년째 적자를 기록 중이다. 이대로라면 5년 연속 적자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22일(현지시간) 중국 매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86개 중국 손해보험사 중 78개사가 흑자를 달성했고 전체 순이익은 530억 위안(약 10조6500억원)에 달했다. 반면 8개사만 손실을 기록했고 손실 규모는 총 1억8700만 위안(약 380억원)으로 집계됐다. 적자 기업 중 신장전해연합재산보험이 5100만 위안(약 100억원) 손실로 1위, 현대재산보험이 4400만 위안(약 90억원) 손실로 뒤를 이었다. 선능재산보험, 쑤저우동오재산보험 등 신설 법인을 제외한 나머지 84개 손보사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2%나 증가했다. 룽거 대외경제무역대학 혁신·리스크 관리 연구센터 부주임은 손보사 실적 개선 요인으로 △자동차보험 인수비용 최적화 △대형 재해보험 손실 감소 △투자수익 개선 등을 꼽았다. 현대재산보험은 4년 간 흑자도 못 낼 정도로 손실 규모가 크다. 순손실 규모는 2021년 1억4200만 위안(280억 원), 202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콜버그 크래비스 로버츠(KKR)가 컨테이너선 임대·금융 플랫폼을 출범했다. 글로벌 물동량 회복, 친환경 선박 교체 등으로 컨테이너선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조현준 효성 회장이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전사적으로 적극 동참할 것을 주문했다. 효성은 ‘2030년까지 2018년 배출량 대비 14.5% 이상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사업장별 제품 생산량,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하고 연도별 감축사업 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22일 효성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그린경영 Vision 2030’을 제시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효성은 각 사업장의 효과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의 모니터링을 위해 2011년부터 IT 기반의 '탄소자산관리시스템(Carbon Asset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효성은 탄소자산관리시스템을 활용, 각 사업장의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배출량산정계획에 따른 배출시설 및 활동자료별 온실가스 모니터링을 통해 체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한다. 또한 제품 전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시스템을 지난 2022년 6월 구축했다. 효성은 국내외 생산현장에 스마트 팩토리 도입으로 최적화된 생산환경을 유지해 에너지 소비를 줄여
[더구루=이꽃들 기자] 휴젤이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Letybo, 국내 제품명 보툴렉스)'의 중국 시장 진출 5주년을 맞았다. 레티보의 입증된 효과와 안전성을 앞세워 유통망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주력해온 결과다. 휴젤은 중국 진출 5주년을 기념해 21일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코뮨 바이 더 그레이트 월 호텔(Commune by the Great Wall)'에서 대규모 브랜드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레티보의 지난 성장 여정과 미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에는 중국 내 주요 KOL(Key Opinion Leader)과 중국성형협회 관계자 등 25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학술 세션에서는 중국 대형 의료미용그룹인 에스터(AIST) 그룹의 리친(Li Qin) 대표 원장과 한국 클림의원 김현옥 원장이 참여해, 중국 내 레티보 시술 트렌드와 글로벌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임상 인사이트를 나눴다. 초이하이얜(Cui Haiyan) 상하이 동제대학교 부속 동제병원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 세션에선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 진단 및 발전 방향과 의료진의 역할 변화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휴젤은 2020년 국내 기
[더구루=정등용 기자] GS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의 대규모 신도시 개발 사업인 ‘다흐야 알푸르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가운데 사업 주체인 사우디 주택공사(NHC)도 기대감을 나타냈다. 모하메드 알바티 사우디 주택공사(NHC) 최고경영자(CEO)는 21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을 통해 "GS건설의 참여는 글로벌 전문성과 모범 사례를 사우디 시장에 전수해 외국인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며 “업계 효율성 제고와 제품 다각화를 통해 주거 프로젝트 최고 수준의 품질과 지속가능성을 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작업은 사우디 비전 2030 목표에 부합하도록 주요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양질의 투자를 유치해 왕국 각지에 고품질 주택 프로젝트를 설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이를 통해 지역 부동산 부문에서 NHC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GS건설 부동산개발법인인 ‘GS REDC’는 지난 20일 마제드 알 호가일 사우디 지방자치·농촌·주택부 장관의 방한에 맞춰 NHC와 다흐야 알푸르산 프로젝트 주택 공급 관련 MOU를 체결했다. MOU에는 허윤홍 대표와 허진홍 신사업실 실장 등이 참여했다. <본보 2025년 10월 21일
[더구루=이연춘 기자] 제일약품은 지난 21일 서울 JW 메리어트호텔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자큐보정 출시 이후 1년간 축적된 임상시험 및 실제 진료 현장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로, 인천과 부산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도 순차적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22일 제일약품에 따르면 이번 서울 심포지엄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정훈용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1세션에서는 건국대학교병원 김정환 교수, 2세션에서는 서울아산병원 김도훈 교수가 강연을 진행했다. 강연에서는 빠르고 지속적인 위산 억제를 기반으로 한 P-CAB 계열 치료 전략의 임상 근거와 자큐보정의 임상 적용 가능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김정환 교수는 “기존 PPI 치료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위산 분비와 관련된 증상이 여전히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P-CAB 계열 약물이 새로운 치료 전략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P-CAB은 강력하고 신속한 위산 분비 억제 효과를 통해 초기 치료 단계부터 위궤양 환자에게도 유효한 옵션으로 고려될 수 있다”며 “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노르웨이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Equinor)의 1조 3800억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 사업을 사실상 따냈다. 에퀴노르가 신조 계약을 통해 선박 사양과 인도 일정 등을 확정하게 되면 한화오션은 건조에 착수한다. 22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에퀴노르는 용선 선대 확대와 증선에 필요한 LNG선 신조선 건조를 위한 조선소 선정 범위를 좁혔다. 지난달 입찰요청서(RFP)를 발송한 에퀴노르는 현재 2단계 입찰 절차를 진행 중이다. 에퀴노르는 장기 용선 계약 만료를 앞둔 노후 선박을 교체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조선소를 상대로 신조 발주를 검토해왔다. 노후 톤수를 대체하고 성장하는 LNG 포트폴리오를 지원하기 위함이다. <본보 2025년 9월 11일 참고 韓 조선업체 2곳, 노르웨이 에퀴노르와 LNG선 4척 건조 협상 착수> 최종 후보에는 중국 조선소도 있었지만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등 대중국 제재를 강화하고 있어 중국 대신이 아닌 우리나라 조선소에 선박을 발주한다는 방침이다. 한국 조선소 중에서는 한화오션의 수주가 가장 유력하다. 에퀴노
[더구루=진유진 기자]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2025 뉴포트비치 영화제(Newport Beach Film Festival·NBFF)'에서 예술 공로상을 받았다. 이번 수상은 한국 문화의 세계화와 글로벌 예술 산업 간 교류 확대에 기여한 리더십을 국제 무대에서 높이 평가받은 결과다. 22일 NBFF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뉴포트비치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아트 챔피언상(Art Champion Award)'을 수상했다. 영화제 측은 "그는 글로벌 미디어에서 동서양을 연결하고, 교육과 산업 이니셔티브를 통해 예술을 지원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고 설명했다. 이 부회장은 수상 소감에서 "30년 전 CJ가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여정을 시작했을 때, 서로 다른 문화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며 창작자들의 꿈을 지원할 수 있어 감사했다"며 "올해는 '부고니아'와 '어쩔수가없다'처럼 서로 다른 문화권의 이야기에 영감을 받은 두 편의 영화 개발에 참여하게 돼 뜻깊다"고 말했다. 이어 "예술은 단순한 창조가 아니라 연결이며, 이야기와 인간성을 통해 우리 모두를 하나로 묶는 힘"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999년 첫 개최
[더구루=이꽃들 기자] 동아에스티의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MetaVia)가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DA-1726'의 임상 1상 결과를 공개한다. 동아에스티의 대사질환 파이프라인이 미국 임상단계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기 시작한 것으로 읽힌다. 22일 메타비아에 따르면 다음달 4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에서 열리는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5'에서 2건의 발표를 맡는다. 이날 발표 주제는 △제1상 임상시험에서 옥신토모듈린 유사체 DA-1726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옥신토모듈린 유사체 DA-1726: 비만 및 관련 대사 장애에 대한 유망한 치료제 등이다. 임상 1상 다중 용량 증량(MAD) 시험에서 DA-1726의 32mg 용량군은 체중 감소·혈당 조절·허리둘레 감소 등 주요 지표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해당 결과가 비만 치료제 후보 중에서도 계열 내 최고 의약품(Best-in-Class) 잠재력을 보여주는 초기 신호로 평가했다. 전임상 연구에서는 마우스 모델을 통해 세마글루타이드(Wegovy) 및 코타두타이드(cotadutide) 대비 향상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또 티르제파타이드(Zepboun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대만 해운사 에버그린마린(Evergreen Marine, 이하 에버그린)으로부터 2조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컨테이너선 7척을 수주했다. 에버그린의 컨테이너선 건조 이력이 있는 삼성중공업은 친환경 기술력과 디지털 트윈, 인공지능(AI)등 신기술을 활용해 신조선 건조에 집중한다. 22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에버그린으로부터 1만4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네오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 7척의 건조 일감을 확보했다. 에버그린이 한국과 중국에 28억 달러(4조원) 규모의 대형 LNG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14척을 분할 발주했는데 삼성중공업과 중국선박공업(CSSC)의 자회사 광저우조선(GSI)이 각각 7척씩 나눠서 건조한다. 선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의 총 거래 금액이 14억 달러(약 2조원) 정도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에버그린은 1만4000TEU급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를 위해 한국과 중국 조선소와 협상해왔다. 지난 8월 말 국제입찰을 마감하고, 건조사를 확정했다. 에버그린은 삼성중공업과 수주 인연을 맺어온 단골 선사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영국의 행동주의 헤지펀드 ‘팰리서 캐피털(Palliser Capital)’이 LG화학의 이사회 교체와 자사주 매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를 통해 LG화학의 주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임스 스미스 팰리서 캐피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13D 모니터 액티브 패시브 투자 서밋(13D Monitor Active Passive Investment Summit)’ 행사에 참석해 LG화학을 언급했다. 스미스 CIO는 “LG화학의 현재 시가총액이 140억 달러(약 20조원)에 이르지만 본래 가치는 530억 달러(약 76조원)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LG화학의 기업 지배 구조에 대한 신뢰 부족과 주주와의 이해관계 불일치, 부실한 자본 배분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LG화학 이사회는 첨단 소재, 전기차, 생명과학 등 LG화학의 사업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새롭게 구성돼야 한다”며 “현재 이사들은 경영 전문성과 자본 배분 경험이 부족한 학계 출신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 LG화학 이사진 7명 중 4명은 모두 교수다. 조화순 연세대 정외과 교수, 이현주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미국 방산업체 에어로바이런먼트(AeroVironment, 이하 AV)와 중형 무인항공기 시스템(MUAS)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대한민국 국방 무인체계 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 연구개발과 국내 생산 기반 마련을 골자로 한다. 22일 AV에 따르면 이번 MOU는 전날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체결됐다. 양사는 AV의 JUMP 20 수직이착륙(VTOL) 고정익 무인기 플랫폼을 한국 국방 요구에 맞게 통합·적용하는 데 협력할 계획이다. 또한 현지 생산 협의를 위한 논의도 이어간다. JUMP 20은 탁월한 체공시간과 작전 범위, 다중 페이로드 적재 능력을 갖춘 플랫폼이다. 정보 수집, 감시, 정찰(ISR) 임무에 최적화돼 있다. 최근 덴마크와 이탈리아 등 NATO 동맹국과 유럽 각국에서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그룹 3급 무인기 시스템 중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대한항공은 이번 협력을 통해 현지 연구개발 및 생산 능력을 강화하며, 국방부가 추진하는 무인시스템 인프라 확대와 국내 제조 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양사는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술 혁신을 위
[더구루=홍성일 기자] 판매 부진을 겪고 있는 아우디(Audi)가 신차를 앞세워 반등을 노린다. 아우디는 전기차(EV)에 과도하게 의존했던 기존 전략을 수정하고, 내연기관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출시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펼칠 예정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코카콜라 vs 펩시'의 양강 구도가 40년 만에 깨졌다. 코카콜라에 밀려 '만년 2위'로 불리던 펩시가 닥터페퍼에 밀리면서 미국 탄산음료 시장에서 3위로 주저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