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납사크래커(NCC)의 정기보수에 돌입한다. 국제유가 급등과 중국의 수요 부진에 따른 시황 악화에 대응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전남 여수 NCC의 정기보수를 시행한다. 기간은 오는 5월 초부터 6월 중순까지다. NCC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산출된 나프타를 활용해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 기초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다. 롯데케미칼은 여수에서 연간 120만t의 에틸렌을 생산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시황이 둔화된 시기에 정기보수를 수행해 공급량을 줄이고 향후 수요에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회복 기대감과 중동·러시아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국제 유가는 배럴당 80달러대로 치솟았다. 이로 인해 원유를 정제해 만드는 나프타 판매 가격이 오르는 반면 에틸렌 가격은 하락했다.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나프타 가격은 지난 14일 기준 t당 780달러로 10개년 평균 가격(658달러) 대비 18% 높았다. 에틸렌 가격은 같은 날 955달러로 10개년 평균 가격(1099달러)보다 약 13% 낮다. 수익성 지표인 에틸렌-나프타 스프레드는 축소됐다. 에틸렌-나프타 스프레드는 작년 1분기 452달러에서 4분기 377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가 봄철 정기보수를 단행한다. 원유정제설비(CDU)를 일제히 점검해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정유업계의 호황에 대응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SK에너지는 오는 3~4월 한 달간 울산 제1 CDU의 정기보수를 시행한다. 제1 CDU 처리용량은 하루 6만 배럴이다. 현대오일뱅크도 4월 정기보수가 예정돼 있다. 하루 16만 배럴 용량의 대산 제1 CDU를 잠정 폐쇄하고 한 달 동안 진행한다. 정유사들은 통상 수요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봄철에 정기보수를 수행해왔다. 겨울엔 난방 수요가 높고 여름에는 드라이빙 시즌으로 석유제품 수요가 증가한다.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가동 중단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봄에 보수를 추진했다.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는 점검 후 생산량을 끌어올리며 수요에 대응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저조했던 석유제품 수요는 작년부터 반등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백신 접종 규모가 확대되고 오미크론 등 신규 변이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서다. 회복 조짐은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을 뺀 정제마진에도 나타나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미국 셰니에르에너지(Chenierey Energy)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모색한다. 현물 가격이 급등하며 장기 고정 계약으로 LNG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셰니에르에너지와 LNG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2025년부터 10년간 연 40만t 규모로 수입하는 방안을 살피고 있다. 업계는 불과 1년 전만 하더라도 현물 거래를 선호해왔다. 장기 고정 계약보다 가격 측면에서 더 경쟁력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물 가격이 폭등하며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LNG 현물 가격은 1년 전(358.4달러) 대비 149% 뛰었다. 원인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있다. 탄소 중립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증가하는 가운데 전력 불안정성의 우려를 해소할 대안으로 LNG 발전 수요가 늘었다. 러시아의 가스관 폐쇄도 LNG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유럽연합(EU)과 갈등이 심화되자 지난달부터 벨라루스와 폴란드, 독일을 잇는 '야말-유럽 가스관'의 가스 공급을 멈췄다. 공급량이 급격히 줄면서 유럽 시장이 요동쳤다. 유럽 천연가스 지표인 네덜란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가 투자한 일본 친환경 소재 기업 TBM의 현지 라이멕스(LIMEX) 공장이 100% 재생에너지 사용 시설로 탈바꿈했다.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넘어 '카본 네거티브'를 이루겠다는 목표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지오센트릭(전 SK종합화학)이 지분 투자한 캐나다 '루프인더스트리(이하 루프)'가 프랑스에 유럽 최초의 재생 페트(PET)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 프랑스 '수에즈 인바이론먼트(이하 수에즈)'와의 파트너십 일환으로, 공장 부지를 확정하며 첫 발을 내딛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에너지 기업 로열 더치 쉘이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와 손을 잡고 탄소포집·저장(CCS) 개발에 나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남부발전과 한국가스공사, 한화에너지가 수주한 베트남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사업이 수주 석 달 만에 첫삽을 뜬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남부발전과 가스공사, 한화에너지로 구성된 코리아 컨소시엄은 오는 15일(현지시간) 베트남 꽝찌성 정부로부터 수주한 1.5GW 규모 하이랑(Hai Lang) LNG 프로젝트 1단계 건설을 착공한다. 꽝지성 인민위원회는 최근 이들 컨소시엄과 함께 기공식을 열고 투자등록증을 수여하는 등 발전단지 조성을 승인했다. 꽝지성 인민위원회는 "하이랑 LNG 프로젝트는 1단계로 하이랑지구 하이안·하이바 코뮌에 배치된다"고 말했다. 당초 하이랑 LNG 프로젝트는 지난해 말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미뤄져 이달 공사에 나선다. 앞서 남부발전과 가스공사, 한화에너지는 코리아 컨소시엄을 구성해 베트남 가스발전· LNG 터미널 사업을 수주했다. 2019년 베트남 사업기회 발굴을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최종 투자자로 선정됐다. <본보 2021년 11월 24일 참고 남부발전·가스공사·한화에너지, 베트남 LNG 발전소 사업 내달 첫삽> 하이랑 사업은 꽝찌성 동남경제특구에 1.5GW급 가스복합발전소와 LNG 터
[더구루=정예린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드라이브를 건다. 국가 산업 생태계 디지털 혁신에 팔을 걷어 붙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아키아에너지(Archaea Energy Inc)가 세계 최대 재생 가능 천연가스(RNG) 생산시설 가동에 착수했다.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활용해 RNG를 생산하고 탄소 배출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정인섭 한화에너지 대표이사(부사장)가 방한 중인 응우옌 홍 디엔(Nguyen Hong Dien)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회동했다. 수소 투자를 모색하며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진출이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 부사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충남 서산 대산산업단지 소재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에서 디엔 장관을 만났다. 대산 발전소는 부생수소를 활용한 세계 최초의 발전소다. 한화에너지(49%)와 한국동서발전(35%), 두산퓨얼셀(10%)이 공동 출자해 2018년 1월 특수목적법인 '대산그린에너지'를 세우고 작년 7월 발전소를 준공했다. 50㎿ 규모로 충남 지역 약 16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40만MWh의 전력을 매년 생산한다. 두산퓨얼셀이 440kW 부생수소 연료전지 114대를 공급했으며 한화에너지가 운영을 맡고 있다. 디엔 장관은 발전소를 둘러보고 한화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했다. 수소 사업 투자와 기술 이전 등 신에너지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정 부사장은 디엔 장관의 방문에 감사를 표하며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동향을 업데이트하고 탄소 중립 아이디어를 공유하길 희망했다. 이른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의 파트너사 미국 '액시올'(Axiall Corporation)이 콜옵션 행사를 마쳤다. 롯데케미칼 미국법인( LC USA)이 보유한 에탄크래커 합작사 'LACC, LLC'(LACC) 지분은 53.23%로 줄었다. LC타이탄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에 LC USA의 LACC 지분 처분과 관련 "지난달 23일 구매 가격 공식에 대한 중재를 마쳤다"고 보고했다. 이어 "이전 완료에 따라 액시올(Eagle US) 측이 받을 지분에는 변경 사항이 없다"며 "액시올의 지분은 46.77%로 유지되고 나머지 53.23%는 LC USA가 보유한다"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2014년 2월 기본 계약을 체결할 당시 LACC 지분을 절반씩 보유하기로 합의했다. 이듬해 합작 계약을 맺으며 재무 상황을 고려해 롯데케미칼 90%, 액시올 10%로 변경했다. 대신 액시올은 에탄크래커 플랜트의 상업 생산 후 3년까지 합작사 지분을 최대 50%로 증대할 수 있는 옵션을 가졌다. 액시올은 상업 가동을 시작한 지 1년이 안 돼 콜옵션 행사를 결정했다. 롯데케미칼은 2019년 10월 지분 처분을 공식 발표하고 관련 절차를 밟아왔다. LC타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충남 서산 대산 공장 스타이렌모노머(SM)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하향 조정했다. 중국발 공급 과잉 우려로 마진이 약세를 보인 탓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대산 공장 내 SM 생산시설 가동률을 낮췄다. SM은 나프타 분해를 통해 나오는 에틸렌과 벤젠을 원료로 만들어진다. 인화성 액체 물질로 전자제품 내외장재와 건축자재 등으로 쓰이는 폴리스타이렌(PS), 익스펜트폴리스타이렌(E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스타이렌부타디엔러버(SBR) 등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SM은 중국발 공급 확대가 예상되며 마진이 축소됐다. 완화케미칼은 연간 65만t의 생산시설을 가동하고 시노펙 바링은 연간 12만t의 공장을 재개한다. 공급량 증가 우려로 SM의 생산 마진은 6월 초 t당 320달러에서 지난달 10일 207달러로 하락했다. 롯데케미칼은 가동률을 줄여 마진 축소에 대응한다. 앞서 한화토탈도 가동률을 20%포인트 낮춰 80%로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내에서 SM을 생산하는 회사는 롯데케미칼과 한화토탈, LG화학, SK종합화학, 여천NCC 정도다. 롯데케미칼은 연간 57만7000t의 생산량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