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의 소형모듈원전(SMR) 설계 기업 뉴스케일파워의 필리핀 시장 진출 초읽기에 나선다. 미국과 필리핀 정부가 연말까지 미국 원자력 기술의 필리핀 진출을 촉진하는 협정에 서명하면 진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부문장(부사장)이 카자흐스탄 부총리와 만났다. 최근 계약을 따낸 투르키스탄 복합화력 사업을 논의하고 친환경 에너지 부문의 추가 협력을 꾀했다. 23일 카자흐스탄 총리실에 따르면 김 부사장은 지난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로만 스클야르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와 만났다. 양측은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세부 회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복합화력을 포함해 현지에서 진행 중인 전력 인프라 사업에 대한 이야기도 오갔을 것으로 보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5년 310㎿급 카라바탄 복합화력발전소를 따내 2020년 성공적으로 준공한 바 있다. 이 경험을 토대로 지난 3월 카자흐스탄 국부펀드 삼룩카즈나의 자회사인 투르키스탄 LLP와 1조1500억원 규모의 투르키스탄 복합화력 건설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2026년 8월 준공을 목표로 카자흐스탄 남부 공업지역인 심켄트 지역에 1000㎿ 규모로 짓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설계부터 기자재 공급, 설치, 시운전까지 전 공정을 수행한다. 코트라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올해부터 2029년까지 전력 소비량이 연평균 3%씩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공급량은 이를 따라가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사장이 필립 베르투 신임 주한 프랑스 대사와 회동했다. 프랑스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힘입어 원자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규 수주를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주한 프랑스 대사관에 따르면 베르투 대사와 황 사장은 지난 17일 오찬 면담을 가졌다. 프랑스와 한국의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원자력 산업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양측은 베르투 대사가 공식 활동을 시작한 당일 만났다. 베르투 대사는 같은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주한 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예방하고 신임장을 제출했다. 베르투 대사와 황 사장 간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프랑스 신규 원자로 건설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물밑 작업이 이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황 사장은 프랑스 정부의 원전 정책 동향과 산업 현황 등을 살피는 한편 한수원의 기술력을 홍보, 협력 의사를 적극 타진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황 사장이 '세일즈'에 나선 것은 한수원이 루마니아에 이어 프랑스에서 원전 사업을 확보, 유럽 원전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이 담긴 행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롤스로이스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소형모듈원자로(SMR)용 연료 개발에 손잡았다. 대형 원전 시장에서 핵연료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웨스팅하우스의 노하우를 접목해 SMR 상용화에 앞장선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미국 증시 상장 초읽기에 들어갔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원자력 기업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우크라이나 원자력공사(Energoatom·에네르고아톰)와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다. 현대건설의 동유럽 원전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DL이앤씨의 글로벌 SMR 시장 진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현지 IT 인프라 회사 '스탠다드파워(Standard Power)'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공급사로 선정됐다. 미국 오하이오주와 펜실베니아주에 SMR을 지어 데이터센터에 공급할 전력을 생산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체코가 신규 원전 사업 최종 제안서 마감 기한을 또 늦췄다. 이달 말까지 늦춰진 상황에서 프랑스 EDF는 최종 서류 제출 프로세스를 발 빠르게 시작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라파워가 미래형 소형모듈원자로(SMR)로 불리는 '염소계 용융염 원자로(MCFR)' 개발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현지 전력사, 해양원전 개발사와 협력해 테스트에 매진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참여를 타진하고 있는 필리핀 바탄 원전이 이르면 3년 내에 가동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7일 ABS-CBN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국제 에너지 컨설팅 그룹 래디언트 에너지 그룹(Radiant Energy Group)의 설립자 겸 사장인 마크 넬슨(Mark Nelson)은 "세계 최고 전문가들이 바탄 원전을 점검했다"며 "3~4년이면 가동이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바탄 원전 재개에 드는 비용은 10~20억 달러(약 1조3400억~2조6900억원)로 추정된다. 넬슨 사장은 "바탄 원전은 가장 엄격한 안전 기준에 따라 건설됐다"고 강조했다. 가동 후 필리핀에 저렴한 전력 공급원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필리핀 정부는 에너지 수요 증가와 국제 유가의 불안전성에 대비해 바탄 원전 건설을 추진했다. 필리핀 루손섬 남부에 620㎿ 규모로 1976년 착공했으나 1984년 완공 직전에 건설이 중단됐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발생한 데다 마르코스 당선인의 아버지인 페르난데스 마르코스 시니어 독재 정권이 무너져서다. 바탄 원전 사업은 2010년대 후반 재시동이 걸렸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은 전력 수급에 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카자흐스탄 에너지부가 신규 원전 사업 후보로 한국과 중국, 러시아, 프랑스를 재차 거론했다. 네 곳의 제안을 검토하고 심도있는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5일(현지시간) "한수원을 비롯해 4곳과 원전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원전 건설 제안을 받아 심도 있는 협상을 진행 중이다"라고 덧붙였다. 카자흐스탄은 알카티주 울켄에 2800㎿ 규모의 신규 원전 2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2029년 착공해 2035년 완공한다는 목표다. 공급사 후보는 한수원, 중국 원자력공업그룹(CNNC), 러시아 로사톰, 프랑스 EDF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지난달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고려해 국민 투표를 하자고 제안했다. 투표 결과 찬성표가 많으면 원전 건설에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카자흐스탄은 2016년에도 원전을 짓고자 타당성 조사를 진행했지만 중단된 경험이 있다. 이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국민들의 지지가 절실하다고 현지 정부는 봤다. 투표 시기는 미지수나 연내에 열릴 가능성이 높다. 카자흐스탄 정부가 원전 건설에 의지를 보이며 한수원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한수원은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