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꽃들 기자] SK그룹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가 유럽과 아시아 지역 내 핵심 연구 시설이 '마이그린랩(My Green Lab)' 인증을 획득했다. 최고 등급인 '그린(Green)' 인증 2건을 포함해 총 4건의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선도 기업임을 입증했다. 29일 SK팜테코에 따르면 아일랜드 스워즈(Swords) 소재 소분자 유럽 시설과 한국 대전 소분자 아시아 연구소가 '마이그린랩' 최고 등급인 그린 2건과 골드 2건 등 총 4개 인증을 취득했다. 인증을 받은 분야는 품질관리(QC), 공정 연구개발(Process R&D), 분석 연구개발(Analytical R&D) 영역이다. 마이 그린 랩 인증은 UN '레이스 투 제로(Race to Zero)' 캠페인에서 인정하는 실험실 지속가능성 관련 글로벌 표준이다. 그린 인증은 환경 영향 감축과 과학적 우수성을 독립적으로 검증받은 실험실에만 부여되는 최고 등급이다. 골드 인증은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성 성과를 인정받았으며 그린 등급으로 향하는 진전을 보인 실험실에 수여된다. SK팜테코는 앞서 2040년까지 탄소 순배출 제로(Net-Zero)를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약 80%의 거래량을 차지하고 있는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최근 몇 년 동안 직원 보상과 조직 규모가 크게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로에 따르면 두나무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약 550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1%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4.9% 상승한 4200억원이다. 코인로는 "이처럼 수익이 뒷받침되면서 두나무는 직원 보상 강화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두나무 직원의 상반기 평균 급여는 지난 2023년 약 6000만원 수준이었으나 지난 2024년 상반기에는 약 1억3400만원으로 두 배 이상 뛰어올랐다. 이어 올해 상반기 평균은 약 1억5300만원 수준으로 국내 4대 시중은행 직원 평균(약 6400만원)보다도 월등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로라면 직원 연봉은 올해 3억원 이상을 넘을 수도 있다. 다만 IT개발자와 일반 직군 부문별로 연봉 격차가 컸다. 코인로는 "플랫폼 개발팀은 운영 부서보다 평균 15~20% 더 높은 급여를 받는다"고 밝혔다. 임직원뿐 아니라 경영진 보수도 크게 늘었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상반기에만 총 44억
[더구루=진유진 기자] LG생활건강이 일본 대표 편의점 체인 패밀리마트와 손잡고 '힌스(hince)' 감성을 담은 자매 뷰티 브랜드 '하나 바이 힌스(hana by hince)'의 새로운 컬렉션을 선보인다. 자회사 비바웨이브를 통해 전국 패밀리마트 매장에 출시하며, 일본 뷰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K뷰티 감성과 편의점 유통망을 결합한 현지 맞춤형 전략으로, 오프라인 시장에서도 브랜드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29일 비바웨이브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패밀리마트와 공동 개발한 한정 메이크업 브랜드 '하나 바이 힌스'의 홀리데이 컬렉션을 다음 달 7일부터 일본 전국 약 1만4400개 패밀리마트에서 순차적으로 출시한다. 크리스마스 시즌을 겨냥한 이번 컬렉션은 핑크 글리터 콘셉트로, 브랜드 최초의 플럼퍼 기능이 포함된 립 글로스 '립 플럼퍼 글로스 샤인 핑크'와 인기 아이섀도우 신색상 '트리플 아이 팔레트 샤인 핑크'로 구성됐다. 하나 바이 힌스는 힌스의 감성과 품질은 유지하면서도 편의점 소비층에 맞춰 가격을 낮추고 휴대성을 높인 미니 사이즈 포맷으로 출시됐다. 일본 소비자가 편의점에서도 간편하게 K뷰티를 경험할 수 있도록 현지 맞춤형 전략을 강화했
[더구루=이연춘 기자] 11번가가 오는 11월 1일부터 11일까지 연중 최대 쇼핑축제 ‘2025 그랜드십일절’을 열고 파격적인 할인과 적립 혜택을 선보인다. 11번가는 11월 쇼핑대전의 원조답게 지난 5월 진행했던 상반기 ‘그랜드십일절’보다 규모를 확대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다이슨, 로보락 등 국내외 정상급 브랜드 200여개가 함께하는 가운데, 7000여 판매자가 1000만개 이상 상품을 할인가로 쏟아낸다. 이번 ‘그랜드십일절’에서 11번가는 브랜드사들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온라인 최저가 수준으로 인기 상품을 공수했다. ‘로보락’의 2025년 스마트 프리미엄 라인 중 하나인 ‘Q레보 L’을 53% 할인한 50만원 대에, ‘드리미’의 2025년 히트 모델 ‘X40 Ultra’를 역대 최저가 수준인 82만원대에 한정 판매한다. 게이밍 모니터로 인기인 ‘LG OLED evo TV’(42인치, 89만원대), 삼성 그랑데AI 세탁기∙건조기 세트(21kg+17kg)도 한정 수량으로 준비했다. 고물가 시대 합리적인 소비방식으로 각광받는 e쿠폰도 최대 50% 할인가에 만나볼 수 있다. 지난해 ‘그랜드십일절’에서 4일만에 누적판매액 11억원을 돌파한 ‘웨이브(Wavve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전력사들이 자본 지출 ‘슈퍼사이클(초호황기)’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데이터센터의 급속한 확장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프라 투자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모닝스타 DBRS’는 28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모닝스타 DBRS는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미국 전력사들의 전력 인프라 투자 규모는 1조4000억 달러(약 2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본다”며 “이는 지난 10년간 투자액의 두 배에 달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 전력계통 신뢰기관인 ‘NERC(북미 전력계통 신뢰도 관리기구)’의 데이터를 근거로 “향후 10년간 많은 지역에서 전력 수요 증가율이 기존 추정치 6.1%에서 약 11.6%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모닝스타 DBRS는 “전력사들은 데이터센터의 급속한 확장으로 신규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송전·발전 네트워크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며 “전력망 인프라와 함께 탈탄소화,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는 전력사들에게 새로운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은 EEI(에디슨 전기 협회)의 최근 자본 지출 추정치와 일치한다. EEI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웨스팅하우스가 100조원이 넘는 규모의 신규 원자력 발전 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 웨스팅하우스가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핵심 협력사인 현대건설과 두산에너빌리티의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 미국 정부와 웨스팅하우스, 브룩필드자산운용, 카메코는 28일(현지시간) 원전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캐나다 자산운용사 브룩필드와 캐나다 우라늄 기업 카메코는 웨스팅하우스의 경영권을 갖고 있다.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의 핵심은 웨스팅하우스의 AP1000 원전 기술을 활용해 미국 전역에 최소 800억 달러(약 110조원) 규모의 신규 원전을 건설하는 것이다. 미국 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원전 르네상스를 가속화하겠다는 목표로 마련됐다. 웨스팅하우스가 설계한 AP1000 원자로는 개량형 가압경수로 노형으로 미국, 유럽 및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를 받은 3세대+ 원자로 기술이다. 미국 정부는 웨스팅하우스 원전 사업을 위한 자금 조달을 지원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8일 일본 도쿄에서 "일본이 AP1000 원전과 소형모듈원전(SMR)을 포함해 미국 내 주요 인프라 사업
[더구루=이꽃들 기자] 일동제약그룹이 유럽에서 열리는 제약, 바이오 전문 비즈니스 행사에 참가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신약 후보 '파도프라잔(padoprazan)'의 글로벌 파트너링을 모색한다. 일동제약은 오는 28~30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CPHI 2025'와 다음달 3~5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되는 'BIO-Europe'에 참가한다. 대원제약과 공동 개발 중인 P-CAB(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신약 물질 '파도프라잔'을 글로벌 시장에 소개하고, 해외 파트너십 및 기술 수출 기회를 꾀한다는 목적이다. 파도프라잔은 위벽 세포의 양성자 펌프에 작용해 칼륨 이온(K+)과 수소 이온(H+)의 교환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해당 약물은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계열사인 유노비아가 발굴해 비임상 및 임상 1상 연구를 거쳐 대원제약에 라이선스 아웃한 물질로, 현재 국내에서 임상 3상 단계에 진입해있다. 앞서 지난해 유노비아는 대원제약과 파도프라잔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대원제약이 파도프라잔에 대한 임상 2, 3상과 허가 추진 등 후속 개발 작업을 수행하고 한국 내 개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의 중국 전략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일렉시오(EO·ELEXIO)'가 현지 언론의 호평을 받고 있다. 중국 언론은 일렉시오가 현대차의 브랜드 이미지를 재정립하는 모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16일(현지시간) 일렉시오의 사전판매를 개시했다. 정식 출시는 오는 29일로 예정돼 있다. 일렉시오가 사전판매에 돌입하면서 현지 언론의 전망과 평가가 나오고 있다. 중국 현지 언론은 전반적으로 "베이징현대가 중국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했다"며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일렉시오가 높이 평가받는 점은 722km에 달하는 주행거리와 빠른 충전 속도, 고급 옵션의 기본사양 탑재, 세련된 디자인을 갖추고도 15만 위안(약 3000만원)에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가장 저렴한 트림의 경우에는 13만 위안(약 2630만원)부터 판매된다. 이에 중국 언론에서는 "30만 위안급 차량을 15만 위안에 구매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일렉시오는 현대차 중국 R&D센터 주도로 개발된 현지 전략형 전기차다. 160kW급 전기모터와 중국 BYD 자회사 핀드림(FinDream)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집트 만수르그룹이 현지 정부로부터 전기차 공장 부지 임대 승인을 받았다. 상하이자동차(SAIC)와 손잡고 이집트산 전기차 생산에 '신호탄'을 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기차 기업 루시드모터스(이하 루시드)가 생산량 확대를 위해 2교대 근무에 돌입한다. 루시드는 2교대 생산을 통해 연간 2만대 생산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가 북미 상용차 제조법인인 현대 트랜스리드(Hyundai Translead)를 앞세워 미국 대형 트럭 시장을 공략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현대 트랜스리드를 엑시언트(XCIENT) 수소연료전지 트럭 공식 판매처로 선정했다. 이에따라 현대 트랜스리드는 북미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 공식 딜러로 활동하며, 북미 시장 내 판매를 전담하게됐다. 현대 트랜스리드는 북미에서 트레일러 등을 생산·판매하는 현대차 계열사로, 2010년도부터는 북미 트레일러 분야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현대 트랜스리드는 강점을 살리기 위해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과 트레일러를 결합해 판매한다. 이에 현대 트랜스리드에서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트레일러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북미 공식 판매처가 확정되면서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의 북미 시장 공략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캘리포니아주 탄소 제로 프로젝트에 따라 35대,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운영 지원을 위해 21대를 공급하며 미국 대형트럭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캘리포니아 애너하임 컨벤
[더구루=이꽃들 기자] 코닥 어패럴(Kodak Apparel)이 일본 도쿄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로벌 필름 브랜드 코닥의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라인업을 선보이며, 일본 내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8일 코닥 라이선스를 전개하는 하이라이트브랜즈 재팬에 따르면 다음달 6일부터 18일까지 13일간 도쿄 시부야 파르코(Shibuya PARCO) 5층에서 코닥 어패럴 일본 상륙 기념 팝업스토어를 연다. 하이라이트브랜즈는 코닥을 비롯해 말본골프, 디아도라, 시에라디자인, DOD, 프루츠오브더룸 등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아시아 시장 공략을 확대 중이다. 이번 팝업은 인스턴트 카메라와 일본식 스티커 사진 기기로 대표되는 1990년대의 레트로 문화와 현대적 패션 트렌드를 결합해, 세대 간 공감대를 끌어낸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여기에 로고 스웨트 셔츠, 티셔츠, 아우터 등 패션 아이템은 물론, 필름카메라 감성을 시각화한 가방, 모자, 액세서리 등이 전시된다. 코닥의 상징색인 노란색과 빨간색을 활용한 점이 특징이다. 회사는 팝업 기간 브랜드의 한국 본사 및 해외 전개 현황 또한 홍보한다. 코닥 어패럴은 130년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가 군함 건조를 위해 조선소 투자 유치를 추진한다. 호주 오스탈의 조선소가 있는 서호주 헨더슨에 대규모 투자 확보에 나서면서 한화와 HD현대를 주요 파트너 후보로 올렸다. 미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이후 지정학적 안전성과 인프라를 앞세워 동맹국의 '조선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의 AI 검색엔진이 미국 모바일 메신저 스냅챗(Snapchat)에 통합된다. 퍼플렉시티는 이번 통합으로 늘어나는 신규 이용자를 통해 추가 데이터를 확보, AI 모델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