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풍력타워 전문기업 씨에스윈드가 폴란드 최초 해상풍력발전의 해상변전소 구축에 속도를 낸다. 폴란드가 해상풍력발전소로 바다 위에서 전력을 생산하는데 씨에스윈드가 해상변전소로 전력을 육지로 전달하는 과정을 돕는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풍력타워 제조업체 발틱인더스트리얼그룹(baltic industrial group, 이하 발틱)은 폴란드 해상풍력발전소인 발틱 파워에 설치될 두 개의 해상변전설비(Offshore Substation System, OSS)의 구조재를 씨에스윈드에 전달했다. 해상변전소 철 구조물로 첫 번째 구조물은 23일(현지시간) 바지선에 적재했고, 두 번째 구조물은 오늘 적재했다. 폴란드 그단스크 제조업체인 GPB(Grupa Przemysłowa Baltic)에서 제작한 구조물은 무게만 약 1300톤이고 크기는 20 X 40 X 40m로 5층 주거용 건물 높이와 같다. 이들은 덴마크로 항해해 올보르(Aalborg)에 있는 씨에스윈드 공장에 전달된다. 씨에스윈드는 구조물로 해상변전소를 제작한다. 해상변전소는 해상풍력 발전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계통전압에 맞도록 전압을 높여 육지로 전달하는 핵심 해상풍력 설비이다. 씨에스윈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서비스 기업 코엔스가 에너지 솔루션 제공업체 OEG 리뉴어블스(Renewables)와 한국 해상풍력 프로젝트 협력에 나선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코엔스는 최근 OEG 리뉴어블스와 한국의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시공·설치는 물론 운영 및 유지관리(O&M)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서명식에는 김영철 코엔스 최고경영자(CEO)와 데이비드 카(David Carr) OEG 리뉴어블스 최고상업책임자(CCO)가 참석해 서명했다. 코엔스는 OEG 리뉴어블스와의 파트너십으로 한국 해상 풍력 시장을 공략한다. 정부는 해상 풍력 발전 용량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최대 100조원을 들여 2030년까지 설비 용량 14.3기가와트(GW)의 해상풍력 발전 시설을 국내 보급할 계획이다. 탄소 중립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에너지 믹스 군형을 목표로 한다. 현재 국내에는 제주와 서남권, 영광 등 소수의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운영 중으로 이들의 누적 설비용량은 124.5MW(메가와트)에 불과하다. 목표치 도달을 위해 14GW(기가와트)가 추가로 설치돼야 한다. 코엔스는 국내 역량과 리소스를 OEG 리뉴어
[더구루=정등용 기자] 노르웨이의 대표 발전사 중 하나인 딥윈드오프쇼어(DWO)가 한국 남해안에서 추진 중인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허가를 획득했다. 서남해안 해상풍력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WO 한국지사는 애드미럴 리(Admiral Lee)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수면 점유 및 사용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애드미럴 리 해상 풍력 프로젝트는 최대 1.5GW(기가와트) 규모의 사업으로 남해안에 위치해 있다. 남해안은 풍력 자원이 풍부하고 수심이 얕아 대규모 산업 부하 센터와 항만·제조 인프라에 근접한 모노파일 터빈을 기초로 비용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한 곳으로 평가 받는다. DWO 한국지사는 지난 2022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부지 독점권을 확보했다. 이후 BP와 협력하여 한국 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존 강 DWO 한국지사장은 “이번 성과는 한국의 재생 에너지 개발을 발전시키려는 우리의 사명에서 중요한 진전”이라며 “이번 허가를 통해 풍력 자원을 평가하고 프로젝트의 성공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해상 라이더 측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DWO는 노르웨이, 영국의 4대 에너지 기업의 공동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반독점 당국인 연방카르텔청이 독일 최대 군수업체 라인메탈과 이탈리아 방산업체 레오나르도 간의 합작법인(JV) 설립을 승인했다. 독일 정부의 승인으로 라인메탈과 레오나르도는 동맹 관계를 바탕으로 사업 협력을 가속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라인메탈에 따르면 독일 연방카르텔청이 라인메탈 AG와 레오나르도 간의 합작회사 설립을 승인했다. 아르민 파퍼거(Armin Papperger) 라인메탈 AG 최고경영자(CEO)는 "연방카르텔의 결정을 환영하고, 지원과 신속한 처리에 대해 매우 감사하다"며 "앞으로 몇 달 안에 이탈리아에서 대규모 주문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라인메탈과 레오나르도는 지난해 10월 50대 50의 지분율을 가진 새로운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각 나라의 경쟁 감독 당국의 승인 절차를 남겨두고 있었다. 최종 규제 승인을 받으면 이탈리아에 합작법인을 두고 이탈리아 육군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새로운 주력 전차와 보병전투차량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들의 합작 투자 주요 목적은 이탈리아 육군의 지상 능력 강화이다. 신형 전차(MBT)와 신형 기계화보병전투체계(AICS)를 위한 라인메탈(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국방부가 올해 국방 예산으로 120억 링깃(약 3조8700억원)을 책정했다. 곡사포와 함대함미사일 등 신무기를 도입해 군 현대화에 나선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FA-50' 도 내년 10월 예정대로 인도받을 예정이다. 경전투기 사업을 바탕으로 'K-방산'의 말레이시아발 훈풍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NST닷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다툭 세리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Datuk Seri Mohamed Khaled Nordin)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올해 첨단 무기 확보를 위해 120억 링깃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는 105㎜ 곡사포와 함대함 미사일, 중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시스템 등을 도입한다. 육·해·공군 모두 무기체계를 현대화하고 전투력을 강화한다. 연내 KAI의 FA-50도 처음으로 공급받는다.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장관은 "KAI의 FA-50M(FA-50의 개량형) 사업 진척률이 48%에 도달했다"며 "2026년 10월께 첫 2대가 인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FA-50은 인도 테자스, 파키스탄 JF-17, 러시아 MIG-35, 튀르키예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튀르키예 수도 이스탄불의 상수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현지 대리점을 통해 고압전자접촉기를 납품했다. 튀르키예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전력기기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달 10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대리점에 12kV 고압전자접촉기를 인도했다. 고압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스위칭 장치다. HD현대일렉은 현지 대리점을 통해 작년 9월 20일 이스탄불 상수도청(İSKİ)과 2만4500달러(약 3500만원) 상당 계약을 체결한 후 3개월 만에 납품했다. 고압전자접촉기는 İSKİ가 총괄하는 상수도 사업에 쓰인다. İSKİ는 멜렌강 수자원을 활용해 이스탄불에 식수를 공급하고자 상수도 인프라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스탄불은 강우량 감소와 인구 증가로 식수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지난 2021년 초에는 이스탄불의 주요 댐들의 저수율이 20% 이하로 떨어져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물 소비를 제한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면 주요 댐들이 메말라 식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튀르키예가 2030년부터 물 부족 국가 반열에 오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정부가 일본 전투기에 사거리 1000km의 공대지 순항미사일(JASSM-ER) 추가 탑재를 허가했다. 일본은 JASSM-ER 확보로 적 지상 기지 공격능력이 향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일본 항공자위대(JASDF)의 F-15와 F-35A/B 전투기에 장착하기 위해 추가 JASSM-ER 순항 미사일의 대외군사판매(FMS)를 승인했다. 3900만 달러(약 568억원) 규모의 패키지에는 16기의 록히드마틴 AGM-158B/B-2 JASSM-ER 외에 더미 공중 훈련 미사일(DATM)과 전파방해 방지용 위성항법장치(GPS), 탄약, 예비 부품 등 다양한 기타 지원 장비·서비스가 포함된다. 일본은 지난 2023년에도 1억 400만 달러(약 1370억원) 규모의 JASSM-ER 패키지를 구입한 바 있다. 당시 패키지에는 최대 50발의 미사일과 함께 전파방해 방지용 GPS, 훈련용 미사일, 예비 부품, 기술 지원 등이 포함됐었다. DSCA는 "이번에 제안된 판매는 일본 항공자위대 전투기(보잉 F-15J와 록히드마틴 F-35A/B)에 대한 첨단 장거리 공격 시스템을 통해 스탠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비전이 북미 최대 유통 박람회 ’NRF 2025’에 참가해 유통 업계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힘입어 소매점 운영 효율성 개선 등을 지원한다. 19일 한화비전에 따르면 북미법인은 지난 12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NRF 2025'에 참여했다. 소매점 보안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솔루션을 소개했다. 한화비전의 솔루션은 AI 기술을 활용한 첨단 카메라 시스템으로, 실시간 도난 감지, 고객 행동 분석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매장 내 레이아웃을 최적화하고 고객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AI 기반 카메라는 고객의 동선을 분석해 매장 내 인기 구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매장의 상품 배치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난 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보안을 강화하며 소매업체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한화비전 북미법인 관계자는 "NRF 2025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우리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소개하고, 소매 유통업계의 변화를 선도할 기회를 제공한다"며 "한화비전은 AI 기반 솔루션이 감시를 넘어 소매
[더구루=정예린 기자] 콜롬비아에서 인프라 현대화와 다양한 산업 프로젝트에 힘입어 굴삭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HD현대건설기계와 두산밥캣, HD현대인프라코어 등 우리 기업들도 주요 플레이어로 꼽히며, 첨단 기술과 친환경 장비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18일 시장조사기관 아리즈톤 어드바이저리 앤 인텔리전스(Arizton Advisory and Intelligence)에 따르면 콜롬비아 크롤러 굴삭기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 3억2310만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작년부터 2030년까지 예상 연평균 성장률은 4.35%에 이른다. 콜롬비아는 정부 주도의 도로, 철도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광업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쏟아지며 크롤러 굴삭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국가 발전 계획과 지속가능한 인프라 개선 작업이 핵심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산업군별 크롤러 굴삭기 수요가 가장 높은 부문은 단연 건설업이다. 작년에는 인프라 개선 작업에 주로 투입되는 중형 크롤러 굴삭기 수요가 가장 높았다. 석탄, 니켈, 리튬 채굴 등을 포함한 대규모 건설·광산 프로젝트에 쓰이는 대형 크롤러 굴삭기가 뒤를 이었다. 콜롬비
[더구루=오소영 기자] HJ중공업이 필리핀 세부 신항만 건설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현지 정부로부터 허가를 얻고 공사에 본격 돌입했다. 적기에 완공해 필리핀 해상 물류 인프라 발전에 기여한다. 17일 포트컬스 등 외신에 따르면 HJ중공업은 지난 6일(현지시간) 필리핀 교통부에 세부 신항만 착공지시서(Notice to Proceed·공사 시작을 허가하는 공식 문서)를 접수해 건설에 나섰다. HJ중공업은 작년 11월 2820억원 규모 신항만 건설 사업을 수주했다. 세부항에서 북동쪽으로 10㎞ 떨어진 콘솔라시온 지역에 대형 항만 구축을 추진한다. 25만㎡ 규모 매립지 위에 2000TEU(1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급 선박 2대를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부두와 운영시설, 진입도로 등을 설치한다. 2027년 12월 공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항구 운영자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필리핀 교통부는 내년 1분기 신항만 운영·유지보수(O&M)에 대한 입찰을 시작한다는 목표다. 신항만은 완공 후 필리핀 해상 교통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은 국가 물동량의 90% 이상을 해상 운송에 의존한다. 7000여 개 섬으로 이뤄진 지리적 특성 때문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방산기업 안두릴 인더스트리(Anduril Industries, 이하 안두릴)가 오하이오 중부에 대규모 군용 드론 제조 시설을 건설한다. 미국의 전투 능력을 강화하고, 증가하는 국제적 위협의 대응 전략으로 하이퍼스케일(초대형) 무기 제조시설을 구축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안두릴은 10억 달러(약 1조4500억원)를 투자해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첫 번째 하이퍼스케일 제조 시설 '아스날 1(Arsenal 1)'을 건설한다. 제조시설은 오하이주 정부 승인이 확보되는 데로 착공에 들어간다. 46만4500만㎡ 규모로 건설되는 아스날1은 군용 드론과 자율 비행 시스템 등을 대량으로 제조한다. 생산을 확장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제조 리소스(인력, 자본, 기계 및 재료)가 제공된다. 크리스찬 브로스(Christian Brose) 안두릴 인더스트리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아스날1 제조시설 구축 후 오는 2026년 7월 이후에는 저가의 군용 드론과 자율 비행체가 생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두릴이 오하이오에 군 드론 제조시설을 구축하는 건 접근성과 인프라, 제조인력이 뛰어나서다. 안두릴은 지난 1여 년간 미국 전역의 위치 평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동의 북미법인이자 트랙터 사업부인 카이오티(KIOTI)가 캐나다 시장에서 새로운 소형 트랙터 모델을 첫 선보인다. 카이오티는 신규 모델을 통해 캐나다 농기계 시장에서 판매량을 확대한다는 각오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오티는 오는 30일부터 내달 1일(현지시간)까지 퀘벡에서 열리는 ‘퀘벡 농업 기계 박람회(SIMAQ 2025)’에서 트랙터 'CS2530'을 첫 공개한다. SIMAQ는 매년 100개 이상 기업 및 1만 명 이상 방문객이 참가, 농업 기계와 관련된 최신 기술, 제품, 서비스 등을 소개하는 주요 농기계 박람회 중 하나다. CS2530은 최대 5에이커(약 2만m²) 부지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모델이다. 25마력 엔진을 탑재했으며 최대 1050파운드(476kg)용량을 적재할 수 있다. 중앙 및 후방 동력인출장치(PTO)도 장착됐다. 특히 CS2530은 일체형 캐빈이 특징이다. 트렉터 프레임에 직접 용적돼, 뛰어난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외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 사계절 내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트랙터 뒤쪽에 장착하는 굴착용 장비인 백호 작업시에는 후면 창을 완벽하게 개폐할 수 있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