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이 튀르키예산 철근이 미국 철근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며 반덤핑 관세(AD)를 부과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DOC)는 튀르키예산 철근에 대한 반덤핑 관세 심사 예비결과를 발표했다. 상무부는 지난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검토 기간(POR)를 통해 튀르키예산 철근이 미국에서 정상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됐음을 확인했다. 상무부는 튀르키예 철강 공급업체인 캡탄 데미르 셀릭(Kaptan Demir Celik)과 콜라코글루 메타누르지(Colakoglu Metalurji)와 콜라코글루 디스 티카렛(Çolakoğlu DıS Ticaret A.Ş) 등에 덤핑 마진율 1.05%를 책정했다. İÇDAŞ(icdas celik enerji tersane ve ulasim sanayi as)는 정상가로 판매한 것으로 보고 덤핑마진을 0%로 결정했다. 또 딜러 디스 티카렛(DİLER DIŞ TİCARET A.Ş)의 제품은 수입을 취소한다. 상무부의 튀르키예산 철근 관세 부과는 공정한 거래 관행을 보장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미국 상무부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내려졌다.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2위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A.P. Moller-Maersk)가 해상 원자력 시장에 도전한다. '탄소 제로' 에너지원으로 떠오른 해양 원전 기술로 탈탄소화를 앞당긴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는 영국 로이드선급협회(Lloyd’s Register, LR)와 영국 원자력공학시설 코어 파워(CORE POWER)와 함께 차세대 원자력 추진 피더 컨테이너선 공동 개발 프로젝트의 참여를 공식화했다.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공동 개발을 위해서는 해양 자문기관인 LR의 전문 지식과 해양 응용 분야용 첨단 원자력 기술을 개발한 코어 파워의 기술, 그리고 선도적인 항만 당국, 해운 및 물류 분야에서 머스크의 광범위한 경험을 결합한다. 원자력 컨테이너선 규제 연구는 LR과 코어 파워가 수행한다. LR과 코어 파워는 컨테이너 운송에 원자력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운영과 규제 이해도 향상과 함께 업데이트된 안전 규칙에 대한 요구 사항을 조사한다. 규제 연구는 유럽 항구에서 화물 작업을 수행할 차세대 원자력 추진 피더 컨테이너선의 안전성과 규제 고려 사항을 결정한다. LR은 이번 공동 연구가 해양 산업에서 원자력의 잠재력을 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 인도네시아 합작사인 크라카타우 포스코(KRAS)가 여성의 역량과 건강을 증진하는 사회적 책임(CSR) 프로그램을 전개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지난 10~11일(현지시간) 이틀 동안 그라하 포스코 지역사회학습센터(CLC) 찌완단(Ciwandan)에서 '위대한 여성' 특화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CLC 찌완다는 포스코가 찔레곤시 승격 23주년을 맞아 기념해 기증한 지역사회 학습센터이다. 찌완단 지역 쿠방사리 마을에 위치했다. CLC에서 진행한 위대한 여성 특화 프로그램은 찔레곤시 발전에 있어 여성의 역할을 강조한다. 프로그램은 △디지털 마케팅 교육 △건강 체조 △무료 건강검진 △지역 특산품 바자회 등으로 진행됐다. 사망그라야 마을(Samangraya Village), 쿠방사리 마을(Kubangsari Village), 테갈라투 마을(Tegalratu Village)의 여성 농민 단체, 폐기물 은행 공동체, 지역사회 보건소 홍보, 마을 홍보, 청년단체 등 여성들이 참여했다. 아구스 아리야디(Agus Ariyadi) 인니 찌완단 지역대표는 크라카타우 포스코가 14년 동안 지역사회, 특히 찌완단 지역에서 사회공헌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옛 대우조선해양 시절 싱가포르 BW그룹 산하 BW LNG로부터 수주한 LNG 운반선의 세 번째 선박 건조에 돌입했다. BW LNG는 1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게시물을 통해 지난달 24일 한화오션이 17만4000㎥ LNG 운반선 중 한 척(선체 번호 2544)의 강재 절단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강재 절단식은 선박 건조에 사용될 강재를 절단해 본격적인 선박 건조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이다. 신조선에는 덴마크 만(MAN) B&W의 MEGI 이중 연료 엔진과 더욱 고도화된 재액화설비가 탑재된다. 또 선박 추진 엔진 축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인 축발전기모터시스템(SGM)과 선박 바닥 면에 공기를 주입해 마찰 저항을 줄이는 공기윤활시스템(ALS)도 적용돼 연료 효율은 높아지고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의 배출량은 줄어든다. 한화오션이 건조를 시작한 선박은 BW LNG로부터 수주한 LNG 운반선 중 세 번째 선박이다. 한화오션은 총 4척의 LNG 운반선을 수주했다. 확정 물량 2척과 옵션 물량 2척을 건조한다. 확정 물량 2척은 이미 납품했다. BW LNG는 지난해 'BW ENN Snow Lotus'와 'B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완하이라인이 HD현대와 삼성중공업 등 한국 조선소에 1만5000TEU급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최근 HD현대삼호와 대만 CSBC 조선소와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신조 건조를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한 데 이어 발주 규모를 확대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완하이는 HD현대와 삼성중공업과 1만5000TEU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을 건조 협의 중이다. 신조 규모는 4척에서 10척 사이로, 연료 유형은 결정되지 않았다. 선가는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선은 척당 2억 2000만 달러(약 3000억원)를 초과하는 반면 메탄올 이중 연료 선박은 최소 2억 달러(약 2700억원)로 거래될 전망이다. 총 10척의 컨테이너선을 발주할 경우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의 건조 비용이 든다. 완하이는 컨테이너선 고운임 기조와 환경규제를 겨냥해 신조선 발주를 늘리고 있다. 선대 업그레이드를 통해 운항 효율성을 높이고, 장거리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최근에는 HD현대삼호와 대만 CSBC 조선소에 20척의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발주를 위한 건조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LOI는 정식 발주 전 단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 인도네시아 합작사인 크라카타우 포스코(KRAS)가 일관제철소가 있는 현지에서 포스코 기업시민 정신을 실행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지난 6~8일(현지시간) 반텐주 찔레곤시 버스 정류장의 수리 작업을 수행했다. 수리 작업은 △그랜드 모스크(Grand Mosque) △마타하리 라마(Matahari Lama) △마디유아나(Mardiyuana) 등 세 곳의 버스 정류장에서 진행됐다. 회사는 정류장의 청소와 페인팅, 정보게시판 인포그래픽 게시 등으로 노후 시설을 개선했다. 버스 정류장 수리 작업은 찔레곤시 정부를 지원하며 찔레곤 공공시설 이용에 있어 대중의 편안함을 높이기 위한 크라카타우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2019년 6월 인도네시아어로 '파이팅 합시다'라는 의미의 '아요 스망앗'(Ayo Semangat) 봉사단을 발족한 뒤 △드림 스쿨(마을학교 대상 봉사활동, 인근 초등학교 노후 시설 개선) △드림 로드(교통안전 개선) △드림 키즈(보육원 대상 한국어 교육) △드림 파크(지역사회 분리수거 시스템 구축) 등의 프로젝트를 전개했다. 한편, 현지에서는 크라카타우 포스코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미포가 이집트 기반 석유운송회사 '아랍 마리타임 페트롤리움 트랜스포트(Arab Maritime Petroleum Transport, AMPTC)'으로부터 중형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미포는 AMPTC으로부터 4만5000㎥ 중형 LPG 운반선 신조선 2척을 수주했다. 총 수주 금액은 2195억원이다. 신조선은 울산 HD현대미포 사업장에서 건조돼 오는 2027년 4월까지 선주사에 인도된다. AMPTC는 HD현대미포의 주문으로 중형 가스 운반선 사업에 처음 진출한다. 그동안은 그리스 가스 운송 업체인 베네룩스 오버시즈(Benelux Overseas)와 LPG 사업 파트너십을 맺고 협력해왔다. 그러나 몇 년 전에 협력이 끝나면서 AMPTC는 자체 LPG 운반선 확보에 나섰다. AMPTC는 운용 함대의 절반 가까이를 HD현대에 주문하고 있다. AMPTC는 14척의 유조선과 가스 운반선으로 구성된 선대를 보유하고 있다. AMPTC는 지난해 HD현대중공업에 9만1000㎥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신조선 2척을 척당 1억 3500만 달러(약 1839억원)에 발주했다. 이보다 앞서 2021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인도네시아에서 철강산업 인력을 키운다. 인니 국영기업 크라카타우스틸과 세운 합작사 '크라카타우 포스코'의 주도로 족자카르타 특성화고(SMK-SMTI Yogyakarta)에서 전문 교육을 진행한다. 오는 20일 반뜬석유화학 기술대학교에서도 동일한 교육 과정을 개강하며 첫해에만 40여 명을 양성한다. 14일 인니 산업부와 산업부 산하 산업인력개발청에 따르면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족자카르타 특성화고에 '철강 산업 기술 과정'을 개설했다.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철강 지식을 전수하고 한국어 교육을 진행한다. 현장 실습 기회도 제공해 평가를 거쳐 우수 학생을 우선 채용한다. 총 3년 과정 중 1년은 실습으로 채워진다. 첫해 20여 명이 수강한다. 이번 교육 과정 개설은 크라카타우 포스코와 인니 산업인력개발청이 체결한 업무협약(MOU)에 따른 것이다. 양측은 작년 8월 철강산업 인력 육성에 손잡았다.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과 현장 실습을, 인니 산업부는 인력과 예산, 교육 인프라를 제공해 이듬해 7월까지 산업부 산하 기술대학과 특성화고에 전문 과정을 만들기로 했었다. 이후 교육 과정을 시행할 학교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노르웨이 추진·조종 시스템 공급업체 브룬볼(brunvoll)로부터 DP2(Dynamic Positioning System 2) 셔틀탱커에 대한 추진 장비를 공급받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브룬볼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삼성중공업과 DP2 셔틀탱커에 대한 추진 패키지 납품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선박 1척에 대한 장비 계약이며, 옵션으로 2척을 추가할 수 있다. 브룬볼이 제공하는 장비는 △3개의 개폐식 방위각 추진기 △2개의 터널 추진기 △3개의 작동 위치가 있는 추진·추진기 제어 시스템인 브루콘(BruCon) PTC로 구성됐다. 모든 추진기의 총 출력은 약 1만7000kW이다. 브룬볼의 장비는 삼성중공업이 그리스 차코스 에너지 네비게이션(Tsakos Energy Navigation Ltd, 이하 차코스)로부터 수주한 15만4400DWT 수에즈막스급 셔틀탱커에 장착된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월 차코스로부터 1억4900만 달러(약 1990억원) 규모의 셔틀탱커 신조선 1척을 수주했다. 신조선은 오는 2026년 8월까지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차코스는 4대의 DP2 셔틀 탱커를 운항 중이고 3대가 건조 중이다. 모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삼호가 대만 해운선사 완하이라인(이하 완하이)로부터 8700TEU급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할 전망이다. 완하이는 HD현대삼호와 대만 CSBC 조선소에 최대 24척의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삼호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완하이와 8700TEU급 메탄올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4척에 신조 건조를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LOI는 정식 발주 전 단계로 최종 계약으로 이어진다. 완하이가 주문한 선박의 가격은 척당 1억1350만 달러(약 1550억원)에서 1억3341만 달러(약 1820억원)로 책정될 예정이다. 4척의 총 거래 금액은 4억5400만 달러(약 6200억원)에서 5억2164만 달러(약 7120억원)로 추정된다. 선박은 HD현대삼호 전남 영암 작업장에서 건조돼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HD현대는 지난 2013년 수주한 5만톤(t)급 메탄올 추진 PC선을 시작으로 2021년 8월 세계 최초로 메탄올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수주하는 등 대체 연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같은 날 완하이는 CSBC와 8000TEU급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자동차 운반선(PCTC) '글로비스 코스모스(GLOVIS COSMOS)'에 100% 바이오 선박유를 도입했다. 친환경 연료 사용을 확대하며 글로벌 해운 탈탄소화에 일조한다. 13일 싱가포르 해양바이오연료 공급업체 '토탈에너지스 마린 퓨얼스(TotalEnergies Marine Fuels)'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현대글로비스의 글로비스 코스모스에 B100 바이오연료 700미터톤(mt)을 공급했다. 현대글로비스가 받은 선박유는 해양 바이오 디젤 연료 'UCOME' 기반 폐식용유 메틸 에스테르다. B100 바이오연료는 동남아시아에서 확보한 2세대 폐기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국제 친환경 인증 'ISCC'도 확보했다. 토탈에너지스 마린 퓨얼스는 B100 바이오연료를 사용할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80~9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토탈에너지 마린 퓨얼스는 이번에 처음으로 완전 바이오연료를 납품했다. 이전에는 최대 30%의 UCOME 기반 바이오연료와 혼합된 초저유황중유(VLSFO)를 주로 공급했었다. 현대글로비스를 시작으로 저탄소 바이오연료 판매를 지속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비스 코스모스는 지난 2015년 건조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조선 3사가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 수주량 기준 상위권에 랭크됐다. HD현대와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상반기 수주 잔량 '톱 30'에서 2~4위를 기록했다. 국내 조선소들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석유제품선, 친환경 연료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 집중하며 이익률을 높인 결과이다. 9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상위 30개 조선소의 반기별 수주 순위가 나왔다. 톱 30에는 △중국 기업 17개 △ 한국 기업 5개 △일본 기업 4개 △유럽 기업 4개가 각각 차지했다. 이들 중 상반기 누적 수주량이 가장 많은 조선소는 중국선박중공업집단(CSIC)이다. CSIC는 상반기 누적 수주량 732 CGT로 1위에 올랐다. HD현대중공업은 422 CGT를 기록, 뒤를 이었다. 3위는 131 CGT를 수주한 삼성중공업이 차지했다. 4위는 116 CGT를 수주한 한화오션이 기록했다. 이어 중국 양쯔장조선과 코스코조선, 뉴에라조선소(New Era Shipbuilding), 중국선박공업그룹(CSSC) 등 5~8위를 차지했다. 올 상반기 신규 수주한 조선소 명단에서는 CSSC, HD현대, 뉴에라조선 등이 '톱3' 조선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비보(Vivo)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쿠(iQOO)가 소형 플래그십 태블릿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이쿠의 참전으로 애플과 샤오미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 태블릿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아이쿠가 플래그십 사양을 갖춘 8.3인치 소형 태블릿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CS는 아이쿠가 해당 테블릿을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지만, 내부 사정으로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CS에 따르면 아이쿠의 새로운 태블릿은 퀄컴의 최신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시가 2026년으로 연기될 경우 차세대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DCS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외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는 아이쿠가 고성능을 앞세워 기존의 강자인 애플 아이패드 미니와 샤오미 패드 미니 등과 직접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고있다. 샤오미 패드 미니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레드미 K 패드의 글로벌 판매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카트켄(Cartken)이 사업의 중심축을 '라스트 마일 배송'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카트켄은 기존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은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에 발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트켄은 최근 쿠리어(Courier) 6륜 식품 배달 로봇을 산업 현장 자재 운반용 로봇으로 투입하고 있다. 크리스처 버쉬(Christian Bersch) 카트켄 최고경영자(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를 통해 "배송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산업 현장 수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트켄은 2019년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보 스타트업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로봇을 주로 공급해왔다. 카트겐의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으로는 그럽허브와 스타벅스, 우버이츠 등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쿠리어를 이용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카트켄의 사업 전환은 2023년 독일의 제조 회사인 ZF 라이프텍(ZF Lifetec)과 첫 산업 고객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ZF 라이프텍은 공급받은 쿠리어를 자재 운반용으로 투입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