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올 여름 영국 런던 노선에 '하늘 위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보잉 747-8i 기종을 투입한다. 성수기 시즌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좌석 공급을 확대하고, 승객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4일 항공 데이터 분석 회사 ‘시리움(Cirium)’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7월 25일부터 8월 30일까지 주4회(월·수·금·토요일) 인천과 런던을 오가는 노선에 보잉 747-8i 기종을 배치한다. 나머지 주3회(화·목·일요일)는 보잉 777-300ER 기종으로 운항된다. 대한항공이 런던 노선의 운항 항공기 기종을 변경하는 것은 여름 휴가철 급증하는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보잉 747-8i의 좌석 수는 총 368석으로 기존 런던 노선을 모두 책임졌던 보잉 777-300ER(277~291석) 대비 최대 91석 많아 공급 확대 효과가 기대된다. 오는 8월 31일부터는 보잉 777-300ER가 다시 주7회 운항한다. 인천~런던 노선에 보잉 747-8i가 투입되는 것이 처음은 아니다. 대한항공은 지난 2017년부터 런던 노선에 보잉 747-8i 활용하고 있다. 작년에도 6월부터 10월까지 매일 보잉 747-8i로 런던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항공동맹 스카이팀(SkyTeam)이 올해 25주년을 맞아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과 슬로건을 공개했다. 스카이팀은 창립 25주년 기념 신규 브랜드 캠페인 '최우선은 바로 당신(The Priority is You)'을 진행한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고객을 더욱 배려하고, 고객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스카이팀은 기존 슬로건 '당신을 위한 더 나은 배려(Caring More About You)'의 의미를 25주년을 맞아 더욱 확장·강조하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25주년 기념 행사는 오는 6월 22일 개최될 예정이다. 스카이팀은 고객 여행 경험 향상을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1월 로열티 혜택 계산기(Loyalty Benefits Calculator)를 출시, 고객이 비행 전에 어떤 혜택이 적용되는지 미리 계산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우선 체크인부터 라운지 이용, 신속한 수화물 처리까지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해 고객에게 더 많은 여행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에브게니아 스타르코바 스카이팀 마케팅·지속 가능성 담당 부사장은 "스카이팀은 지난 25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 HMM이 이라크 해운 물류의 첫 발을 내디뎠다. 한국과 이라크를 잇는 새로운 해운 노선을 개설해 중동 운송 서비스를 확대한다. 21일 이라크 항만청에 따르면 최근 1만6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HMM 다온(DAON)'호가 이라크의 움카스르(Qasr) 항구에 도착했다. 파르한 무흐신 알-파르투시(Farhan Al-Fartousi) 이라크 항만청장은 "움카스르 항구에 처음으로 HMM의 컨테이너선 '다온'호가 도착하면서 새로운 해상 노선이 개통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항해는 이라크와 한국 간의 새로운 무역 파트너십 개발의 시작을 의미한다"며 "앞으로 이라크 항구를 통한 상품과 물자의 흐름이 더욱 활발해져 이라크의 무역 활성화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움카스르항은 이라크에서 가장 크고 가장 활발한 상업 항구 중 하나이다. 바스라 남쪽에 위치하며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 출발한 대부분의 화물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자발 알리(Jabal Ali)항을 거친 다음 움카스항을 통해 이라크로 들어온다. 움카스르항의 물동량은 2020년 기준으로 약 25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중국 국영 항공기 임대업체 '중국항공기리스(CALC)'와 처음으로 손을 잡았다. 에어버스 'A330-200'을 추가 도입해 기재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고, 중·장거리 노선 운용 최적화를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CALC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A330-200 1대를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양사 간 첫 거래로, CALC는 이달 대한항공에 항공기 인도를 완료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문제로 인한 항공기 도입 지연에 따라 CALC 항공기 리스를 결정한 것"이라며 "투입 노선과 시기 등은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이 중국계 리스사와 계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에는 에어캡, 에어리스코퍼레이션(ALC) 등 대형 리스사와 주로 거래해 왔다. CALC와의 협력은 항공기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글로벌 리스사와의 협력을 확대해 기재 운영의 유연성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대한항공이 임대한 A330-200은 비즈니스석과 이코노미석으로 구성된 두 개의 클래스를 갖추고 있다. 대한항공은 기존 A330-200 운용시 2-4-2(이코노미 기준) 형태의 좌석 배열을 적용
[더구루=김은비 기자] 보잉이 신임 최고 안전책임자를 교체했다. 잇따른 항공기 안전 사고를 겪은 보잉이 안전 분야에 새로운 사령탑을 통해 분위기 쇄신과 하락한 신뢰도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18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돈 루만(Don Ruhmann)을 새로운 최고 항공우주 안전 책임자(CSO)로 선임했다. 루만 CSO는 향후 보잉의 안전 문화와 관행을 강화하고 전사적 차원에서 안전 관리 시스템(SMS)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맡게 된다. 항공 안전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업계와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 1989년 보잉에 입사한 루만 CSO는 동체 정비엔지니어 출신으로 항공기에 대한 이해가 뛰어난 인물이다. 그는 보잉 상업용 항공기 부문에서 항공기 개발 부사장을 맡으며 737 맥스와 777-9의 설계·인증을 주도해왔다. 특히 보잉 777과 787 등 상업용 항공기의 유지보수 및 부품 공급을 담당하는 엔지니어링 리더로도 활동해왔다. 이번 인사는 항공기 안전 책임을 강화하고 고객 신뢰를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앞서 보잉은 잇따른 항공사고로 인해 안전과 품질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지난해 1월 알래스카항공 소속의 보잉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이 해상 교착 지점을 만드는 국가의 선박 입항을 금지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해 해운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외국 컨테이너 선박이 전 세계 여러 운송 지점에서 '병목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국가의 선박은 미국 항구 입항을 차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어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선박 규제 기관인 연방해사위원회(Federal Maritime Commission, FMC)는 미국 대외 무역에서 운송에 불리한 조건을 조성할 수 있는 운송 제약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다. FMC는 조사를 위해 정부 당국과 컨테이너 운송 이해 관계자, 벌크화물 이해 관계자, 선박 소유주, 개인 및 그룹의 의견을 오는 5월 13일까지 접수받는다. FMC는 조사에서 국제 해상 교착 지점의 통과 제약, 특히 외국 정부의 법률·규정 또는 관행과 외국 국적 선박의 소유자·운영자의 관행이 교착 지점의 운송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조사 대상 항로는 △영국 해협 △말라카 해협 △북해 해협 △싱가포르 해협 △파나마 운하 △지브롤터 해협 △수에즈 운하 총 7곳이다. FMC가 조사하는 항로는 국제 해운 네트워크의 초크포인트(Choke Po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이 사우스캐롤라이나 시설 확장을 위해 미국 건설업체 HITT와 글로벌 엔지니어링사 BE&K와 손을 잡는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생산시설을 확장해 '787 드림라이너'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HITT와 BE&K와 함께 찰스턴 카운티에 있는 787 드림라이너 항공기 제조 시설을 확충한다. HITT와 BE&K은 합작법인을 구성해 수주에 성공했다. 미국 20대 종합 건설업체 중 하나인 HITT가 프로젝트의 건설 관리자로, 항공·우주건설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BE&K는 건축 설계자로 참여한다. 건설은 올해 말에 시작될 예정이며 2027년 초에 완공된다. HITT의 공동 대표인 에반 안토니데스(Evan Antonides)는 "보잉의 시설투자는 보잉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찰스턴 카운티 지역의 경제적 영향과 일자리 창출을 주도할 프로젝트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프랭크 홀리(Frank Holley) BE&K 최고경영자(CEO)는 "HITT와 보잉과의 성공적인 협업으로 이 프로젝트가 주변 지역 사회와 전 세계 보잉 고객에게 가져올 긍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영국 도심항공교통(UAM) 시장에 진출한다. [유료기사코드] 조비는 17일 "영국 항공사 버진애틀랜틱(Virgin Atlantic)과 영국에서 항공택시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양사는 우선 런던 히스로공항·맨체스터공항과 인근 도심을 연결하는 항공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후 영국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조비는 앞서 지난 2022년 7월 영국 민간항공청(CAA)에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인증을 신청했고, 현재 인증 절차가 진행 중이다. 조비는 UAM에 활용되는 전기항공기의 최장 비행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획득한,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조비가 개발 중인 eVTOL 기체 S4 모델은 조종사와 승객 4명을 태울 수 있는 모델로, 한 번 충전에 240㎞를 운항할 수 있다. 최고 속도는 시속 320㎞다. 올해 상용화가 목표다. 조비는 현재 미국과 아랍에미리트(UAE), 일본 등에서 에어택시 서비스 출시를 준비 중이다. 또 우리 정부가 추진하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 조선소와 해운사가 영국에서 해상 탈탄소화를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영국 탈탄소 기술 연구기관을 방문해 해양 탈탄소화를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해양 탄소중립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에너지 연구기관 PNDC는 5일(현지시간) 주한 영국 대사관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 해운사와 조선소 관계자를 초대했다. 이번 방문에는 HD현대중공업과 HD 현대삼호,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소와 HMM, 현대글로비스, 팬오션 등 해운사가 함께 했다. 이들은 스트라스클라이드(Strahclyde) 대학교의 최첨단 연구와 산업계, 학계와의 글로벌 협업을 통해 해양 탈탄소화 발전 방안을 배우고 결과를 공유했다. 정부설립 연구개발 허브인 PDNC는 2013년에 영국 명문대학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에 설립됐다. 다양한 협업 모델과 오픈 액세스를 통해 새로운 에너지 및 운송 기술 개발과 배포를 가속화해 넷제로(Net Zero) 실현에 기여한다. 현재 영국 해양 탈탄소화를 촉진하는 '씨체인지(SeaChange)' 프로젝트를 연구 중이다. 한국 해운사와 조선소는 PNDC 방문을 통해 해운업계의 미래를 위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브랜드 리뉴얼과 함께 프리미엄 서비스 혁신을 본격화한다. 신규 CI(Corporate Identity) 공개에 이어 국내외 주요 공항 라운지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글로벌 '톱'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8월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인천국제공항과 미국 뉴욕 JFK 공항·로스앤젤레스국제공항(LAX) 내 신규 프리미엄 라운지를 순차 오픈할 예정이다. 규모와 서비스 품질을 대폭 강화해 고객에 전에 없던 라운지 경험을 선사한다는 목표다. 우선 오는 8월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T2)에 △프레스티지(비즈니스) 라운지 △마일러 클럽 라운지 등 2개의 새로운 라운지가 문을 연다. 내년 4월에는 퍼스트·프레스티지 라운지가 대규모 업그레이드를 거쳐 재오픈한다. 이에 따라 오는 8월부터 내년 4월까지 퍼스트 클래스 전용 라운지는 운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대한항공은 신규 퍼스트·프레스티지 라운지를 구축하기 위해 올 8월 현재 운영 중인 프레스티지 라운지와 퍼스트 클래스 라운지를 폐쇄한다. ‘뉴’ 퍼스트 클래스 라운지에서는 파인다이닝 콘셉트로 식음료를 제공하는 등 5성급 호텔 콘셉트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유아이헬리콥터가 브라질 UAM(도심항공교통) 전문기업 '이브 에어 모빌리티'와 협력에 나섰다. 한국의 첨단항공 모빌리티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유료기사코드] 이브 에어 모빌리티는 13일(현지시간) 유아이헬리콥터와 한국의 AAM(미래항공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 첫 번째 단계로 이브 에어 모빌리티는 자체 개발한 UAM 시장 조사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유아이헬리콥터의 한국 현지 경험과 시너지를 발휘, 협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두 회사는 각사의 전문성을 결합해 eVTOL(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 운영에 필요한 기술, 운영, 생태계 요구 사항을 한국 정부와 업계에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기술 전문성과 인프라 및 생태계 개발에 집중해 한국의 AAM 산업 발전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유아이 그룹을 항공모빌리티 분야에서 대체 불가능한 선도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임성의 부회장의 의지와 맞닿아 있다. 임 부회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헬리콥터 유지보수 정비 사업을 넘어 임무장비의 체계통합 능력 향상과 무인기 개발 착수 등의 발전을 이룰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처음으로 '프리미엄 이코노미’ 좌석 도입을 확정했다. 보잉 777-300ER을 시작으로 기종을 순차 확대하고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은 장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배치해 수익성을 끌어올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유종석 대한항공 오퍼레이션(Operation)부문 부사장 겸 안전보건 총괄은 지난 11일 신규 CI 공개 기념 외신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보잉 777-300ER 11대에 퍼스트 클래스석을 없애고 프리미엄 이코노믹석을 도입할 것"이라며 "올해 중반부터 시작돼 오는 2026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이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의 구체적인 도입 계획을 공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 2023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프리미엄 이코노미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보잉 787-10 항공기를 활용하는 방안을 언급했으나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보잉 777-300ER 항공기는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도입으로 △비즈니스 △프리미엄 이코노미 △이코노미 세가지 클래스로 좌석을 운영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보잉 777-300ER을 시작으로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점차 확대 적용
[더구루=길소연 기자]SK머티리얼즈가 투자한 미국 실리콘 음극재 기업 '그룹14 테크놀로지(Group14 Technologies, 이하 그룹14)'가 미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 출신의 전문 인력을 보강해 실리콘 배터리 소재 제조 역량 확장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27일 그룹14에 따르면 제럴드 존슨 전 GM 글로벌 제조부문 부사장은 그룹14 이사회에 합류해 실리콘 배터리 소재 제조 역량을 확장하고 대규모의 자동차급 운영 우수성을 보장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다. 그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 지속 가능성 및 노동 관계 분야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GM에서 글로벌 제조 및 지속 가능성 부문의 부사장으로 근무하면서 13개국에서 약 9만5000명의 직원을 거느리고 운영, 제조 엔지니어링, 노사 관계 및 지속 가능성 노력을 감독했다. GM에서 부사장으로 재직하기 전에는 북미 제조 및 노사 관계 담당 부사장을 역임했고, 회사의 우수 이니셔티브를 이끌며 프로세스 규율, 지속적인 개선, 낭비 감소를 통해 전사적인 문화 혁신을 주도했다. 작년 12월에 GM에서 퇴직했다. 케터링 대학교에서 산업 행정학 학사 학위를, 매사추세츠 공과대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노르웨이 스타트업 '1X 테크놀로지스(1X Technologies, 이하 1X)'와 손잡고 가정용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을 개발한다. 엔비디아와 1X는 향후 수천 시간의 데이터를 추가 학습시켜 성능을 개선하고 수백~수천 가구를 대상으로 네오 감마 실사용 테스트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기술과 1X의 로보틱스 역량을 결합,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1X에 따르면 1X의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네오 감마'는 엔비디아의 휴머노이드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아이작 GR00T N1(이하 GR00T N1)'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양사는 데이터 수집·분석부터 훈련·검증까지 개발 전 단계에 걸쳐 협력했다. 엔비디아와 1X 간 협업 성과는 지난 17일(현지시간)부터 닷새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2025'에서 공개됐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키노트에서 네오 감마가 자율적으로 집안일을 정리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별도 공개된 영상에는 네오 감마가 젠슨 황의 시그니처 룩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