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양자컴퓨팅 전문기업 사이퀀텀(PsiQuantum)이 3년 내 미국 일리노이주(州) 시카고 양자컴퓨터 캠퍼스의 가동을 시작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제레미 오브라이언 사이퀀텀 최고경영자(CEO)는 23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2028년 시카고 양자컴퓨터 캠퍼스를 가동할 계획"이라며 "올해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브라이언 CEO는 "2028년 사이트를 온라인으로 구축하기 위한 매우 공격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양자컴퓨터는 현재로서는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퀀텀은 시카고 옛 US스틸 제철소 부지에 10억 달러(약 1조3800억원)를 투자해 2만8000㎡ 규모 양자컴퓨터 운영 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미국 최초 유틸리티 규모 내결함성(오류에 강한) 양자컴퓨터를 배치할 예정이다. 내결함성은 시스템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오류 발생 시에도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사이퀀텀은 2016년 설립된 양자컴퓨터 스타트업이다. 사이퀀텀은 다른 양자 스타트업과 달리 특수 소재 대신 기존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광자(photonics) 기술을 기반으로 양자칩을 개발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단일 드라이브 기준 업계 최대 용량을 구현한 차세대 엔터프라이즈향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새롭게 선보이며 라인업을 확장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폭증하는 저장 수요에 대응하고, 고속·고밀도 기반의 데이터센터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245.76테라바이트(TB) 용량을 가진 'LC9 시리즈'의 고용량 SSD 신제품을 공개했다. 현재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샘플링 중이며, 내달 5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반도체 전시회 'FMS(Future of Memory and Storage)'에서 전시할 예정이다. 245.76TB 제품은 키옥시아가 지난 3월 발표한 122.88TB 용량의 LC9 시리즈 SSD의 상위 모델이다. 약 4개월 만에 후속작을 선보이는 셈이다. 기본적인 낸드 구조는 공유하지만, 폼팩터 구성 확대와 고밀도 패키징 기술, 보안 기능 등에서 일부 차별화가 이뤄졌다. <본보 2025년 3월 18일 참고 日 키옥시아, '역대 최대 용량' 엔터프라이즈향 SSD 출시...자체 3D 낸드 기술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