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말레이시아 에어아시아그룹의 지주회사 '캐피털A'가 2025년부터 전기 수직 이륙 항공기 'VX4' 상용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캐피탈A는 2025년 VX4 에어택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이번 달 쿠알라룸푸르에서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에어택시 상용화 서비스를 위한 시기와 일정 등 구체적인 구상을 논의한다. 전기 수직 이착륙기 사업을 시작하려면 에어택시 형식 증명서와 함께 특수 항공 규칙, 이·착륙과 주차 인프라가 필요하다. 영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가 유럽에서 형식 인증 획득 과정에 있다.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이르면 이달부터 시험 비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리옹톈링(Liong Tien Ling) 에어아시아 안전부문 최고책임자는 "도심항공교통은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생태계를 만들고 활성화하는 것과 미래의 개발과 성장을 위한 빌딩 블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캐피탈A가 운용할 VX4는 영국의 항공기 스타트업 버티컬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 중인 전기 수직 이착륙기이다. 다른 나라에서 선보인 드론 택시와 달리 1명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 '원웹(OneWeb)'이 프랑스에 위성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원웹은 이탈리아에 기반을 둔 유럽 우주 시스템 업체 텔레스파지오와 위성 배포 계약을 맺고 프랑스 틀루즈에 저지구 궤도(LEO) 서비스를 배포했다. 텔레스파지오 자회사 텔레스파지오 프랑스는 제품 시연을 위해 자사 구내에 여러 터미널을 배치했다고 발표했다. 텔레스파지오는 유럽의 리더이자 위성 솔루션 분야의 세계 주요 업체 중 하나이다. 진 마크 가딘(Jean-Mark Gardin) 텔레스파지오 프랑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계약으로 텔레스파지오의 전문 기술과 원웹의 LEO 위성 서비스가 결합해 새로운 고성능 통신 서비스를 탄생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 결합은 텔레스파지오 자회사 텔레스파지오 프랑스와 원웹이 지난 2월 맺은 유럽 전역에 위성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통 파트너십 계약에 따른 것이다. 양사는 새로운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성을 개선하며 최종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품질, 성능, 예산 측면에서 고객의 기대치를 충족시키는 데 긴밀히 집중하기로 했다. 특히
[더구루=길소연 기자] 수상 비행기 업체 테일윈드 에어(Tailwind Air)가 모바일 앱으로 승객을 모집, 뉴욕 시내와 보스턴을 연결하는 단거리 항공편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테일윈드 에어는 모바일로 더 많은 여객 수요를 모집해 단거리 운항을 추가, 에어택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앨런 램 테일윈드 에어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맨하튼의 보스턴 팬 피어 마리나에서 매사추세츠주 케이프코드(Cape Cod)에 있는 프로빈스타운까지 직항편을 추가할 계획"이라며 "도킹까지 35분 소요된다"고 말했다. 테일윈드 에어의 세스나 카라반 EX(Cessna Caravan EX) 수륙양용기는 각각 8개의 좌석을 가지고 있다. 승객들은 무게가 20파운드 미만인 가방 한 개를 허용하고, 그 가방은 마주 보는 좌석 아래나 뒷짐칸에 보관한다. 테일윈드 에어는 수상비행기 외에도 걸프스트림과 팰컨 제트기에서 킹에어, 필라투스 터보프롭스까지 17대의 육상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40명의 조종사로 구성된 승무원은 10명의 수상기 기장과 부조종사를 포함한다. 특히 테일윈드는 최근 여객 모집을 위해 모바일 앱을 출시했다. 여행자들이 일일 비행 일정을 스캔하고 탑승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탈리아 국적 항공사인 ITA 항공(ITA Airways)이 에어버스와 손잡고 유럽 컨소시엄의 '시티에어버스 넥스트젠(CityAirbus NextGen)'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에어 택시를 개발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ITA 항공은 에어버스와 협력해 이탈리아의 도시 항공 모빌리티(UAM) 개발 기회를 확장한다. 에어버스는 제로 배출 시티 에어버스 넥스트젠으로 eVTOL 시장에 참여 중이다. ITA 항공은 에어버스와 협력해 이탈리아에서 광범위한 에어 택시 운영 개시를 준비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양사는 기존 관계를 고려해 도심항공교통(UAM)과 시티에어버스 넥스트젠 eVTOL을 사용해 에어택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한다. ITA 항공과 전신인 알리탈리아는 오랫동안 대형 전통 항공기로 에어버스 비행기를 구매·운영하고 있다. 에어버스는 2014년부터 크고 작은 전기 동력 비행기를 연구해 왔으며 현재 버전의 항공기가 2025년 말까지 유럽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에서 에어택시와 기타 UAM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확장한다. 알프레도 알타빌라(Al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중공업이 7200억원에 달하는 필리핀 해군의 원해경비함(OPV) 6척 건조 사업을 확보한다. 델핀 로렌자나(Delfin Lorenzana) 국방부 장관은 지난 5일(현지시간) 필리핀 해군(PN)의 기술실무그룹(TWG)이 해상초계함(OPV) 프로젝트 건조사로 현대중공업(HHI)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현대중공업이 필리핀 해군이 쓰는 2척의 프리깃함과 2척의 코르벳함 건조사라 해군 OPV 건조를 맡겼다"며 "초계함이 동일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유지 보수가 필요하면 한국 사람들이 쉽게 올 수 있다는 것에서 현대중공업을 택했다"고 강조했다. 시스템 유사성에서 신형 군함의 유지보수나 수리가 쉽다는 게 선택 이유다. 델핀 로렌자나 장관은 이번 달에 계약이 마무리되고 서명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델핀 로렌자나 장관은 "대통령 임기가 끝나기 전인 6월까지는 계약 됐으면 좋겠다"며 "건조가 예산은 300억 페소(약 7272억원)으로 6척의 OPV에 대해 120억 페소(약 2908억원)을 더 원하거나 신규 군함을 6개에서 5개로 숫자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OPV는 한국을 포함해 △프랑스 △스웨덴 △일본 △터키 △인도의 조선소들이 OPV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터키 이스탄불 노선을 1년 만에 살린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7월 '인천~이스탄불' 노선 운항 재개를 검토한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2020년 12월9일부터 대한항공의 인천-이스탄불, 인천-델리 노선 폐지를 허가했다. 노선 폐지는 코로나 팬데믹 과정에 따른 조치다. 통상 항공기 운항 스케줄은 동·하계 반년 단위로 허가를 받아야 한다. 비행기가 뜨지 못한 기간이 6개월을 넘어갈 경우 항공사는 운휴나 폐지를 선택한다. 대한항공은 이스탄불 노선 비운항 기간이 6개월 이상을 넘기면서 폐지를 선택했다. 다만 사업 철수는 아니어서 운항 재개 여지를 남겨뒀다. 대한항공이 운항 재개를 검토한 건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여행 수요 회복을 기대해서다. 실제 한 여행사가 판매한 '대한항공 터키 직항 단독 전세기 상품'이 예약이 95% 이상 마감되며 흥행을 알렸다. 터키 직항 단독 전세기의 첫 취항 편으로 출발한 고객 수는 총 216명으로 만석을 기록했고, 나머지 운항 편 역시 약 95% 이상의 좌석 예약이 마감됐다. <본보 2022년 4월 29일 참고 노랑풍선, 대한항공 터키 직항 단독 전세기 꽉 찼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그리스 선사가 케이조선(옛 STX조선해양)을 상대로 아프라막스급 석유화학제품선(PC선) 6척을 발주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나비오스 마리타임 파트너스(Navios Maritime Partners)는 케이조선에 11만5000DWT급 PC선 6척을 발주한다. 확정 물량 4척에 옵션분 2척이 포함된다. 특히 해당 거래에는 추가 기능과 개선 사항에 대해 420만 달러를 지불하는 것이 포함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선가는 척당 5850만 달러에 신형 유조선 4척을 사들이기로 합의했다. 수주가는 총 2억3400달러(약 2533억원) 수준이다. 선박은 2024년에서 2025년 1분기 사이에 인도된다. 평균 60개월 동안 용선될 예정이다. 아프라막스급 탱커는 가장 경제적인 유조선 선형으로 약 11만5000DWT급이다. 신조선은 강화되는 선박 배출가스 규제와 관련해 최선의 선택인 LNG를 사용하는 이중연료(DF) 추진 선박으로 건조된다. 또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환경규제인 'Tier III' 기준을 적용해 친환경 선박으로 제작될 전망이다. 나비오스 마리타임 파트너스는 건화물과 탱커선의 국제 소유주이자 운영자이다. 지난해 10월 유조선 소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러시아 영공을 무기한 피한다. 유럽과 미주 노선도 러시아 영공을 피해 우회 노선을 이용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로 러시아 하늘길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인천~러시아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노선 여객과 모스크바 경유 유럽행 화물 노선을 무기한 중단한다. 당초 러시아 노선은 4월 말까지 일시 중단이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현지 공항 운영이 불안정하고, 승객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잠정 운항 중단을 무기한으로 연장한다. 대한항공은 매주 목요일 운항하는 인천~모스크바 노선 운항을 지난 3월 10일부터 약 2주간 중단하다 운항 중단 기간을 연장한 바 있다. 또 격주 화요일마다 운항하던 인천~블라디보스토크 항공편도 중단된다. 모스크바를 경유해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가는 화물 노선과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화물 노선의 경우 모스크바 경유 없이 운항한다. 유럽 노선과 미주 동부 노선 항공편은 러시아 영공을 피해 우회 항로를 이용한다. 미주 동부 노선은 알래스카 태평양을 돌아서 간다. 러시아는 자국에 대해 취한 비행 금지 조치에 대해 영국, 독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브라질 해양플랜트 사업을 수주한 이탈리아 사이펨이 제너럴일렉트릭 변전 사업부(GE Power Conversion)에 전기 모듈을 맡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사이펨은 브라질 페트로브라스(Petrobras) P-79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용 전기 모듈 개발을 위한 GE 변전 사업부와 계약을 체결했다. GE 변전 사업부는 P-79 선박을 위한 고압·저압 배전반, 모터 제어 센터와 고전력 변압기를 제공한다. GE 변전 사업부는 "GE의 전기 모듈은 선박을 제어하는 하우징 장비 외에도 전체 FPSO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모든 분산 에너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플랫폼의 핵심으로 간주된다"며 "전기 모듈의 크기는 3층 또는 4층 건물로 무게 약 2000t, 높이 25m, 폭 22m, 길이 33m"라고 말했다. GE 변전 사업부는 전기 모듈용 전기 장비의 프로젝트 관리, 엔지니어링 및 제조를 책임지고 있다. 전기 모듈은 인도네시아 와스코 조선소에서 조립한 후 대우조선에서 FPSO에 배치될 전기 모듈의 프로젝트 관리, 엔지니어링과 제조를 담당한다. 이후 FPSO 장비가 조립, 설치 그리고 시운전 과정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체 제조사 볼로콥터(Volocopter)가 수백만 금액을 투자해 부지를 확장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볼로콥터는 2일(현지시간) 에어택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브루흐잘 입지를 넓힌다. 브루후잘 인근에 격납고 기공식을 개최한 것. 3000㎡의 격납고에는 볼로시티 에어택시 유지보수, 테스트, 인증을 위한 8개의 공간이 제공된다. 4000㎡ 에이프런을 포함한 홀은 올해 말까지 준비된다. 코넬리아 펫졸드 쉬크 브루흐잘 시장은 "브루흐잘과 지역의 미래를 건설하고 있다"며 "볼로콥터 정착을 위해 시의회와 행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승인 과정에서의 지원도 언급했습니다. 사무실 외 브루흐잘 중심에 있는 트리오 테크노파크(Triwo Technopark)에는 비행 제어를 위한 테스트 시험실과 조종사를 위한 비행 시뮬레이터가 있다. 볼로콥터는 부지 확장을 위해 수백만 달러를 투자했다. 스테판 클럭(Stefan Klocke) 볼로콥터 GmbH 자문 위원회 회장은 "파리 하계 올림픽에 맞춰 2024년 봄에 인증 받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볼로시티는 파리 공항에서, 가급적이면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과 함께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 양대 오프쇼어(Offshore) 야드인 케펠(Keppel Corporation)와 샘코프마린( Sembcorp Marine) 간의 합병이 마침내 성사됐다.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이 조선소 합병을 추진해 싱가포르도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합병 작업에 나섰다 2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유료기사코드] 싱가포르 케펠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산하 케펠O&M(Keppel Offshore & Marine Ltd) 사업부와 샘코프마린 간 기업 결합 계약(definitive agreement)을 체결하고 사업부 통합안을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신규 사업체의 지분 구조는 케펠 56%, 샘코프마린 44%로 구성된다. 싱가포르 국영 투자회사 테마섹 홀딩스(Temasek Holdings)이 33.5%로 최대 주주이다. 케펠 O&M은 기존 리그(rig) 자산과 관련 채권은 영국 자산운용사 에셋(Asset Co)가 90%, 케펠이 나머지 10%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 케펠은 이번 합병을 통해 해양 산업계를 위한 차세대 재생가능에너지와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사업체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케펠은 "기업 결합체 석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대형 조선소와 기자재 제조업체 등이 조만간 생산을 재개할 전망이다. 코로나19 확산과 봉쇄조치로 조선소 가동을 중단한 지 한 지 두 달여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시 정부는 일부 주요 기업에게 생산 재개를 요구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봉쇄조치 여파로 약 2500만명의 인구가 락다운(lockdown) 상태에 처해 있는 가운데 조선소 가동이 임박했다. 생산 재개 주요 기업에는 중국선박공업집단(CSSC) 산하 장난조선소와 코스코 쉬핑(CSHI), 항만 기자재 제조업체 상하이 진화중공업(ZMPC) 등이 포함됐다. 이미 장난조선소는 재가동 준비를 마쳤다. 다만 조선소 재가동 전 모든 조선소 직원들은 코로나19 음성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조선소 진입 후에도 24시간 이내에 다시 검사를 시행해야 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코스코쉬핑 조선부문인 코스코 해운 중공업(Cosco Shipping Heavy Industry)도 본격 가동에 앞서 일부 사업을 시작했다. 중국은 상하이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자 지난 3월부터 대부분의 시민 외출을 엄격하게 금지해 식료품과 생필품 공급난에 시달릴 정도로 고강도 봉쇄정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