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시지바이오(CGBIO)가 자체 개발한 척추 임플란트 ‘노보맥스 퓨전(NOVOMAX FUSION)’이 유럽연합(EU) 의료기기 규정 ‘CE MDR’ 인증을 획득하며, 유럽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인증은 유럽연합이 지정한 공식 글로벌 인증기관인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심사를 통해 발급됐으며, 시지바이오는 BSI와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국내 기업이 척추 임플란트 분야에서 최고 등급(Class III)으로 MDR 승인을 받은 것은 국내 최초다. 26일 시지바이오에 따르면 ‘MDR(Medical Device Regulation)’은 2021년 5월부터 시행된 유럽의 새로운 의료기기 규정으로, 기존 제도인 ‘MDD(Medical Device Directive)’보다 임상 평가, 안전성과 효과 검증, 품질 관리 기준 등이 크게 강화됐다. 이 가운데 Class III 등급은 인체에 장기간 삽입되거나 생명 유지와 직접 관련된 제품에 적용되는 최고 등급으로, 이번 인증은 노보맥스 퓨전이 국제적으로 가장 까다로운 심사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한다. 노보맥스 퓨전은 목뼈 사이 디스크가 손상됐을 때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당초 목표보다 3개월 앞서 '64개 알고리즘 큐비트(#AQ 64)'를 달성했다. 아이온큐는 #AQ 64 달성으로 IBM 등 경쟁사들과의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했다고 분석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중국 현지 뷰티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핵심 브랜드 5개를 앞세워 현지 대형 박람회에 참여하며 K-뷰티 존재감을 강화하고, ESG 성과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서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번 박람회를 계기로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시장 내 장기적 성장 기반을 공고히 다져나간다는 방침이다. 26일 아모레퍼시픽 중국에 따르면 회사는 중국 향료·향수·화장품 산업 협회(CAFFCI) 초청으로 지난 25일부터 사흘간 난징에서 열린 '2025 중국 향료·향수·화장품 산업 연례회의 및 박람회(CAME)'에 참가해 △설화수 △라네즈 △려 △에스트라 △헤라 등 5개 브랜드를 선보였다. 부스는 활짝 핀 동백꽃을 모티브로 5개 브랜드를 꽃잎 형상으로 배치, 기술과 감성을 결합한 뷰티의 미래를 제시했다. 전시 제품은 각 브랜드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혁신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설화수는 60년 인삼 연구 성과를 담은 진생 크림을, 라네즈는 신제품 립 마스크를, 려는 여성 두피 관리 솔루션을 내세웠다. 이 외에도 에스트라의 민감성 피부용 솔루션과 헤라 차세대 에어쿠션 등 다양한 제품이 관람객의 관심을 끌었다. 이번 박람회에서 아모레퍼시픽은 전시뿐 아니라
[더구루=이연춘 기자] 동원F&B가 건강과 실속을 담은 ‘2025 추석 선물세트’ 100여 종을 출시했다. 변화하는 소비 환경에 맞춰 제품 구성, 포장 등을 새롭게 한 선물세트를 풍성하게 마련했다. 26일 동원F&B에 따르면 참치캔 1등 브랜드 ‘동원참치’만으로 구성한 선물세트의 물량을 30% 확대 운영한다. 한 캔(135g)에 성인 단백질 일일 권장량(55g)의 절반 수준인 25g의 단백질이 들어있는 고단백 ‘라이트 스탠다드’를 비롯해 부재료와 함께 다양한 맛을 구현한 가미참치(고추·야채참치 등), 참기름으로 맛을 내 밥에 바로 먹기 좋은 ‘동원맛참’ 등을 조합한 다양한 참치 선물세트를 선보인다. 또한 참치 부위 중 단 1%뿐인 뱃살만 담은 ‘참치뱃살 명작세트’도 이번 추석부터 판매를 시작한다. 동원참치의 브랜드 모델인 방탄소년단 진과 함께한 ‘BTS 진 슈퍼참치 선물세트’도 준비했다. 방탄소년단 진의 사진을 넣은 참치캔으로 구성한 이 제품은 지난 7월 27일 ‘네이버 쇼핑라이브’에서 사전 판매를 진행할 당시 40초만에 1000개가 판매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동원F&B는 이번 추석부터 정식 판매를 시작하며, 향후 고추참치 등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최대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그룹이 독일 전기차 공장에서 생산을 줄이고 일부 라인 가동을 중단한다. 전기차 수요 부진과 글로벌 경쟁 심화 등이 맞물리면서 '판매 부진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롯데그룹이 베트남 투티엠 신도시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다른 현지 건설사들의 비슷한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롯데그룹과 마찬가지로 사업 절차 지연에 따른 토지 사용료 인상이 주 요인으로 꼽힌다. 26일 베트남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투티엠 신도시에 전망대 복합단지를 건설하려던 임페리얼 시티 합작투자회사는 최근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에 추가적인 토지 사용료 납부에 대한 반대 의견서를 제출했다. 공산주의 국가에서 인허가권을 가진 시 당국을 상대로 건설사가 반대의견을 내는 건 이례적인 일이다. 이 회사는 당초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지난 2017년까지 3조6000억 동(약 2000억원)의 토지 사용료를 이미 납부했다. 호치민시가 "추가적인 부담이 더 이상 없다"고 했지만 사업 절차가 지연되면서 8조8000억 동(약 4700억원)의 토지 사용료가 부과됐다. 임페리얼 시티 합작투자회사는 “추가적인 토지 사용료 납부에 동의할 수 없다”면서 “이는 기업과 정부에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베트남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노바랜드’도 불어난 토지 사용료로 인해 13개 프로젝트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회사의 한 프로젝트의 경우 원래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에너지 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Woodside Energy, 이하 우드사이드)가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위치한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LNG 운송을 위해 '최대 7조원 규모'의 LNG 운반선 신조 발주에 나선다. 26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우드사이드는 최소 16척에서 최대 20척의 신조 LNG 운반선 확보를 위해 주요 조선소들과 건조 논의 중이다. 신조선 인도 시기는 2028년부터 2030년이다. 선가는 올해 기준 LNG 운반선이 척당 2억5000만 달러(약 3488억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발주 규모는 최대 50억 달러(약 7조원) 규모다. 우드사이드의 이번 발주는 신조선가와 건조 기술력 외 미 행정부의 중국 조선 견제가 결정적 역할을 한다. LNG 운반선 신조 시장은 한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는데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견제로 중국 조선소가 후보에서 제외되면 한국 조선소가 수주에서 유리해진다. 국내 조선소도 우드사이드의 신조 건조를 위해 2028년 슬롯을 확보해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우드사이드가 신조 발주에 나선 건 개발 중인 미국 루이지애나 LN
[더구루=진유진 기자] SK인텔릭스 헬스 플랫폼 브랜드 SK매직이 성능과 디자인을 대폭 강화한 '원코크 플러스 얼음물 정수기'를 출시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사용 편의성과 위생성을 동시에 높인 이번 신모델은 원조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의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SK인텔릭스에 따르면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는 터치 한 번으로 얼음과 물을 동시에 출수하는 국내 최초 얼음 정수기다. 여기에 제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 신모델 '원코크 플러스 얼음물 정수기'는 제빙 속도와 얼음 크기, 투명도, 강도를 사용자 취향과 환경에 맞춰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단단모드'는 업계 최대 크기(12g)의 단단하고 투명한 얼음을, '넉넉모드'는 빠른 속도로 작은 얼음을 만들며 업계 최대 얼음량(1kg)을 제공해 여름철에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위생성도 업그레이드됐다. 얼음이 보관되는 아이스룸에는 업계 최초로 '아이스룸 트리플 UV케어 시스템'을 적용했으며, 코크 UV케어와 직수관 전해수 안심케어, 유로 순환케어 등 업계 최다 '4중 안심 케어 시스템'으로 오염 경로를 차단한다. 얼음을 생성하는 내부 구조 역시 UV 케어 기능과 함께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DI가 아이에스동서(IS동서)의 자회사 아이에스에코솔루션과 유럽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손잡았다. 헝가리 공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아이에스코솔루션의 폴란드 공장에 전달해 재활용을 추진한다. 성일하이텍에 이어 아이에스동서와의 파트너십으로 재활용 원재료 활용 비중을 높이고 유럽의 규제에 대응한다. 26일 아이에스에코솔루션에 따르면 자회사 BTS테크놀로지는 삼성SDI 헝가리 공장으로부터 배터리 스크랩을 공급받아 재활용 사업에 활용한다. 폴란드 오스와에 위치한 전처리 공장에서 폐배터리를 분쇄해 중간 가공품인 블랙매스를 만든다. 아이에스에코솔루션은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에서 삼성SDI의 배터리 모듈을 분해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회사 측은 "숙련 작업자들이 모듈을 수작업으로 분해해 개별 셀로 나누고 절단 공정을 거친다"며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커버가 세밀하게 제거돼 파쇄 단계로 넘어갈 준비가 끝난다"고 설명했다. 1998년 설립된 아이에스에코솔루션은 국내 최초로 폐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을 시작한 기업이다. 배터리 스크랩을 재활용해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등 핵심 원재료를 추출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7월 아이에스동서로부터 BTS테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설치된 테슬라 에너지저장장치 '메가팩'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큰 피해는 없었지만 화재는 다음날까지 이어지며 피해를 키웠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은행이 미국 금융 서비스 회사인 스톤엑스그룹(StoneX Group)과 국경 간 결제 서비스에 협력하기로 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외국환 역량을 바탕으로 우리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전망이다. 하나은행 런던 지점과 스톤엑스 영국 자회사 스톤엑스 파이낸셜은 26일 국경 간 결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코레스 은행(Correspondent Banking·환거래 중계은행)'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코레스 은행은 외국환 거래에서 발생하는 환거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국가에 영업소를 둔 은행이 상대방 은행을 자국 내의 대리 은행으로 지정해 입출금 등의 금융 업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스톤엑스는 미국에 본사를 둔 금융 서비스 회사다. 6개 대륙에서 80개 이상 지점을 운영 중이다. 5만4000개 이상 기업·기관·결제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26만개 이상 소매 계좌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스톤엑스의 국경 간 외환 결제 플랫폼을 활용해 아시아와 중남미, 중동에서 효율적이고 원활한 현지 통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전 세계 시장에서 사업을 하는 한국 기업의 요구를 더욱 효과적으로
[더구루=김나윤 기자] 영국계 석유·가스 기업 넵튠 에너지가 독일 알한트 지역에서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로 꼽히는 리튬 자원을 확인했다. 넵튠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알한트 지역 평가 결과, 4300만톤의 리튬이 확인됐다"며 "이는 세계 최대급 프로젝트 자원량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지난달에 국제 독립 자원 평가기관 스프라울 ERCE에 리튬 확인량을 의뢰했다. 안드레아스 셰크 넵튠 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평가는 알한트 지역의 지질학적 잠재력을 뒷받침한다"며 "독일과 유럽의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한트 지역은 1969년부터 넵튠이 천연가스를 생산해온 에너지 거점이다. 넵튠은 이곳에서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염수에서 직접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DLE)로 전환을 추진 중이다. DLE 방식은 토지를 대규모로 훼손하지 않고 염수에 포함된 리튬만 선택적으로 분리해내는 친환경 공법으로 기존 증발지 방식보다 환경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넵튠은 기술 파트너 라일락 솔루션과 협력해 지난달 두 번째 파일럿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과정에서 알한트 염수에서 리튬 생산에 성공했고 현재는 흡착 과정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주요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에 나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제품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다. 일각에서는 규제에 의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실드AI(Shield AI)가 차세대 AI 기반 무인 스텔스 전투기를 한국 판매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실드AI는 유사시 한반도 연안 도서를 방어하는데 차세대 무인 수직이착륙(VTOL) 스텔스 전투기 'X-뱃(X-BAT)'의 탁월한 능력이 발휘될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