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200조원 규모로 성장이 기대되는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을 두고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하반기 임상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자체 개발은 물론 기술이전 물질에서도 주요 임상 결과 발표가 줄줄이 예정돼 K-바이오의 기술력과 상업화 성과가 맞물리는 시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다음달 한국형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3상을 마무리하고 연말 톱라인(Top-line)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이다. 위장관 부작용을 크게 줄였다는 점과 '한국인 맞춤형 약물'이라는 차별성을 앞세워, 최초의 국산 GLP-1 수용체 작용제(RA) 계열 비만 치료제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 출시가 유력하다. 아울러 한미약품은 차세대 비만 치료 삼중작용제(GLP/GIP/GCG) 후보물질 'HM15275(개발코드명)'의 고용량 장기 투여 임상2상 진입을 준비 중이다. 1상 결과에서는 최대 10.6%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또 다른 후보물질 'HM17321'도 임상1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지방을 줄이면서 근육량을 늘리는 기전으로 기존 비만약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
[더구루=김명은 기자] 중동이 높은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식음료(F&B) 시장의 중요한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는 가장 크고 매력적인 시장으로 꼽히고 있다. 무엇보다 식료품 수입 의존도가 높아 전 세계 주요 F&B 브랜드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사우디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가이드가 글로벌 F&B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사우디 식품 서비스 시장 규모는 올해 301억2000만달러(약 41조8000억원)에서 오는 2030년 446억7000만달러(약 62조64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8.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우디는 올해 7월 기준으로 인구 약 3500만명, 1인당 국내총생산(GDP) 약 2만8800 달러(약 4000만원) 이상으로, 도시화율은 84%를 넘어섰다. 고소득 국가에 젊은층을 중심으로 외식 문화가 확산되며 소비력이 증가하고 있다. F&B 브랜드들이 사우디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선 일단 할랄 인증과 현지 파트너
[더구루=진유진 기자] 국내 패션 기업들이 내수 소비 위축을 돌파하기 위해 해외 시장 공략과 수입 브랜드 강화를 병행하는 '따로 또 같이' 전략 카드를 꺼내 들었다. 브랜드 정체성은 유지하되 시장은 다변화하며 외형 성장과 소비층 확대를 동시에 노리는 양면 전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스토홀딩스와 코오롱FnC는 각각 중화권 진출 확대와 글로벌 브랜드 유통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내수 부진 속에서도 브랜드 경쟁력과 시장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복합 전략으로 풀이된다. 미스토홀딩스는 지난달 자사 프렌치 캐주얼 브랜드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의 중화권 1호 매장을 중국 상하이 신천지에 오픈했다. 매장 개장과 함께 DIY 에코백 만들기, 포토부스, 럭키드로우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중국 인기 배우 서약함의 깜짝 방문으로 SNS를 통한 입소문 효과도 얻었다. 회사는 상하이를 시작으로 항저우, 베이징 등 핵심 도시에 추가 매장 3곳을 오픈할 계획이다. 입점지는 각 도시 대표 쇼핑몰(iapm·IN77·타이쿠 리 등)로 구성해 현지 고소득층과의 접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미스토홀딩스는 마리떼 외에도 △마뗑킴 △레이브 △레스트&레크리에이션 등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주요 기업들이 올 상반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전시 박람회 기업이 수익 2위를 차지해 눈길을 끈다. 10일 베트남 호치민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수익 상위 10개 기업 중 7곳이 은행인 가운데 베트남 전시 박람회 센터가 2위에 올랐다. 베트남 전시 박람회 센터는 올 상반기에만 19조8100만 동(약 1조원)의 세전이익을 올렸다. 전년 대비 약 8% 성장한 수치다. 지난 2011년 설립된 베트남 전시 박람회 센터는 베트남의 삼성으로 불리는 최대 민간기업 '빈그룹'의 자회사다. 빈그룹이 8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가 10%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 회사는 빈그룹의 후광을 안고 각종 전시사업을 많이 주최한 덕분에 수익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도시 개발과 주상복합단지 건설 같은 부동산 사업도 함께 하고 있어 많은 수익을 거두고 있다. 올 상반기 실적 1위 기업은 비엣콤뱅크가 차지했다. 이어 △비엣틴뱅크(3위) △BIDV(4위) △밀리터리뱅크(5위) △테크콤뱅크(6위) △VP뱅크(7위) △ACB(8위) △빈그룹(9위) △빈홈즈(10위) 순이었다. 상위 10위 중 7곳이 은행, 나머지 세 곳은 빈
[더구루=김나윤 기자] 베트남과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전기오토바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국은 2023년 인센티브 전환 기간 동안 신규 전기오토바이 등록 수가 205% 증가하며 전기 모빌리티 전환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아시아의 디트로이트'로 불리는 태국은 아세안(ASEAN)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50%를 담당하는 제조 강국이다. 이 같은 산업 기반과 잘 구축된 공급망을 바탕으로 전기 모빌리티 부문으로의 전환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태국에서는 오토바이가 가장 대중적인 교통 수단으로 수천만 대가 유통되고 있다. 따라서 이 부문의 전기화는 단순한 산업 전환을 넘어 국가 환경 정책과 에너지 효율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태국의 전기차 확산 전략 중심에는 국가전기차정책위원회(NEVPC)가 설정한 '30@30' 비전이 있다. 203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량 중 30% 이상을 전기차 등 무공해 차량으로 채우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전기 자동차 72만5000대, 전기 오토바이 67만5000대 생산 목표를 설정했다. 30@30 비전 실현을 위해 태국 정부는 직간접 재정 지원 패키지를 출시했다. EV 3
◇메타보라게임즈 메타보라게임즈가 보라(BORA) 생태계에 블록체인 플랫폼 카이아(Kaia)의 '합의 기반 유동성 프로토콜(Consensus Liquidity, 이하 CL)' 연동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CL은 카이아 체인 기반의 검증자 스테이킹(Validator Staking)과 유동성 공급에 대한 동시 참여를 지원하는 혁신적 인프라 프로토콜이다. 메타보라게임즈는 카이아의 CL 기술을 보라 생태계에 연동하며 △공동 유동성 풀 조성 △가스비 대납 구조인 '가스 앱스트랙션(Gas Abstraction)' 적용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 적용 등을 통해 외부 체인과의 기능적 연계를 본격화한다. CL 구현이 완료됨과 동시에, 메타보라게임즈와 카이아 재단은 공동 유동성 공급 계획을 마련하고 지난 5일 약 200만 달러 상당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이후 단계적인 추가 공급을 통해 보라 생태계의 활성화 및 토큰 가치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당 유동성 풀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에 소각 메커니즘을 적용해 보라 토큰으로 실현되는 수익의 일정 비율을 소각해 디플레이셔너리(Deflationary) 토크노믹스를 강화한다. 소각 비율 및 주기는 시장 상황 및 수익 규모 등을
[더구루=김나윤 기자] 베트남이 아프리카 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중국, 유럽연합(EU), 미국 등 전통적인 주요 수출국의 교역 환경이 악화되면서 시장 다변화를 통한 수출 활로 확보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아프리카는 높은 인구 성장률과 낮은 기술 진입 장벽,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이 어필되는 시장으로 베트남 차원의 경제외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수개월 동안 베트남은 아프리카 주요 국가들과의 경제 외교를 강화했다. 쩐 탄 만(Tran Thanh Man) 베트남 국회의장은 세네갈과 모로코를, 부홍 탄(Vo Hong Thanh) 국회 부의장은 코트디부아르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공식 방문했다. 특히 응우옌 신 녓 떤(Nguyen Sinh Nhat Tan) 산업통상부 차관은 세네갈과 모로코의 고위 인사들을 만나 가공식품, 농업기계, 필수 소비재 등 베트남의 수출 주력 품목을 중심으로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세네갈은 베트님이 주목하는 핵심 신흥시장 중 하나다. 쌀, 커피, 후추, 캐슈넛 등 베트남 농산물은 이미 해당 지역에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실제로 세네갈을 방문한 자리에서 베트남은, 연간 10만t의 쌀을 세네갈에 공급하기
[더구루=김명은 기자] 일본 담배회사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대규모 투자를 통해 루마니아에 신규 공장을 건설한다. 기존 시설을 대체해 최첨단 기술과 대규모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을 신설함으로써 루마니아를 글로벌 공급망에서 더욱 중요한 위치로 격상시키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JTI는 루마니아 수도 부쿠레슈티 외곽에 약 7000만 유로(약 1130억원)를 투자해 첨단 생산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현재는 앞서 지난 1994년 세워진 파이페라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노후화된 기존 공장을 대체해 신기술과 대형 설비를 갖춘 새로운 공장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JTI의 루마니아 내 사업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현재보다 생산능력을 3배 이상 확대하고 글로벌 수출 역량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신설 공장은 부쿠레슈티 인근의 슈테퍼네슈티 데 조스에 위치할 예정이며, 루마니아의 주요 고속도로인 A0와 A3 교차점 인근에 자리잡는다. 총 면적은 약 6만㎡로, 기존 파이페라 공장의 3배 규모다. 생산, 포장, 원자재 저장, 완제품 창고, 기술 장비 구역 등으로 구성되는 18.3헥타르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이집트 국영 항공사와 손잡고 항공권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연계한 TV 판촉 캠페인을 전개한다. 가전 구매와 여행을 결합한 새로운 고객 경험을 통해 현지 시장 점유율 확대와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노린다는 전략이다. 9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집트법인은 최근 이집트에어(EgyptAir)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공동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2025년형 △QLED △올레드(OLED) △네오(Neo) QLED △더프레임 TV 제품군 구매 고객에 이집트에어 항공권 최대 50% 할인 또는 무료 항공권을 제공한다. 고객은 삼성전자 이집트법인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 제품을 구매할 때 이집트 핀테크 업체 '밸루(VALU)'를 통한 12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선결제·이자·수수료 모두 0%)을 받을 수 있다. 항공권 할인 및 무료 티켓 혜택은 구매하는 TV 모델에 따라 상이하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15일부터 사전 예약 판매와 프로모션을 시작했다. 항공권은 오는 9월 15일부터 사용 가능하다. 삼성전자 이집트법인은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최신 TV 제품 판매 촉진과 더불어 현지 소비자들에게 가전 구매와 여행 혜택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별화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PC의 성능을 '1000배' 끌어올릴 기술을 개발했다. 발전이 정체되고 있는 반도체 기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노스이스턴대학교 연구팀은 양자 물질의 전자 상태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게재됐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연구팀은 이황화탄탈럼(1T-TaS2)이라는 양자물질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황화탄탈럼은 상온에서는 전기가 잘 흐르는 도체이지만, 200K(켈빈, 섭씨 -73.15도) 이하의 극저온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부도체가 되는 금속이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한 열 소멸(thermal quenching)이라는 기법을 이용해 이황화탄탈럼을 상온에 가까운 210K(섭씨 영하 63도)에서 부도체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또한 수개월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까지 했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이황화탄탈럼의 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상전이가 가능해졌다고 소개했다. 즉 도체와 부도체 상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가 카이로스 파워와 4세대 원전 상용화에 3차원(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했다. 차세대 원전 건설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증명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ORNL에 따르면 산하 실증 시설인 MDF(Manufacturing Demonstration Facility)는 카이로스 파워, 바너드 건설과 헤르메스(Hermes) 실증로 건설에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먼저 3D 프린터로 거대한 틀인 폴리머 콘크리트 주형(Composite Form)을 제작했다. 이후 현장으로 옮겨 이 틀에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기둥을 완성했다. 이 기둥은 원자로와 주변 설비에서 방사능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차폐벽에 해당한다. ORNL은 주형을 통해 수주가 걸린 구조물 시공 기간을 14일로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3D 프린팅을 활용하면 복잡한 곡선이나 기하학적 구조물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산업용 3D 프린팅 회사 AES(Additive Engineering Solutions)와 소재 기업 아키텍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가 아시아와 중동에 이어 중남미 냉난방공조(HVAC) 컨설턴트 초청 행사를 열었다. 데이터센터용 솔루션과 친환경 제품으로 중남미에서 HVAC 사업을 확대한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신흥 시장인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지역에서 HVAC 사업을 확대하며 컨설턴트와도 네트워킹을 강화한다. 9일 LG전자에 따르면 지난달 15일(현지시간) 파나마시티에서 'LG LATAM 컨설턴트 클럽(LG LATAM Consultant Club 2025)'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브라질과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칠레, 파나마 등 주요 중남미 국가에서 HVAC 컨설턴트 30여 명이 참석했다. LG전자는 HVAC 최신 트렌드와 응용처별 솔루션을 소개했다. 특히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열관리 솔루션을 강조했으며, AI 기반 에너지 관리 플랫폼 '비컨(BECON)'을 비롯한 '비 하드웨어(이하 Non-HW)' 사업 계획을 알렸다. 또한 중남미에 성공적으로 HVAC를 공급한 사례를 공유했다. 브라질 광산과 멕시코 칸쿤 리조트에 칠러 등 현지 맞춤형 HVAC 솔루션을 공급했다고 홍보했다. R32 냉매를 적용한 시스템 에어컨 '멀티브이아이'의 출시
[더구루=김예지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텍사스 중부 바스트롭에 위치한 자사 시설을 약 800만 달러(약 107억원) 규모로 확장한다. 빠르게 성장 중인 위성통신 사업 '스타링크(Starlink)'와 반도체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텍사스 허가 및 규제부(TDLR)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텍사스주 허가 및 규제부(TDLR)에 기존 바스트롭 시설의 80000평방피트(약 7400㎡) 증설 계획을 등록했다. 공사는 오는 24일 착공해 2026년 1월 초 완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바스트롭은 최근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주요 기술 기업들이 모여들며 '머스크 테크벨트'로 주목받고 있다. △스페이스X 외에도 △스타링크 운영 센터 △보링 컴퍼니 △X(구 트위터)의 기술 사무소 등이 밀집해 있다. 새롭게 확장되는 스페이스X 사무실은 FM 1209 도로 858번지에 위치해 기존 스타링크 및 관련 기업들과 인접해 있다. 기술 간 연계와 시너지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스페이스X의 이번 확장 계획은 텍사스 주정부의 전폭적인 재정 지원과도 맞물려 있다. 그렉 애벗 주지사는 지난 3월, '텍사스 반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기의 인텔(Intel)이 새로운 경영진을 임명하며 상황 반전에 나섰다. 이번 인사에 대해 '기술의 인텔'로 회귀하겠다는 각오를 보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인텔을 8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 엔지니어링, 파운드리 부문을 이끌 새로운 경영진을 발표했다. 인텔은 이번 인사를 통해 "핵심 사업을 강화면서 신뢰할 수 있는 파운드리를 구축하겠다"며 "회사 전반에 걸쳐 엔지니어링 문화를 육성하겠다"고 의지를 전했다. 인텔은 글로벌 팹리스 기업 Arm의 솔루션 엔지니어링 총괄인 케보크 케치치안(Kevork Kechichian)을 영입, 데이터센터 그룹 총괄로 임명했다. 케보크 케치치안은 1990년부터 엔지니어로 경력을 쌓아왔으며 퀄컴, NXP, Arm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서 엔지니어링 부문 총괄로 활동했었다. 데이터센터 그룹은 인텔의 데이터센터용 중앙처리장치(CPU) 제품군인 '제온(Xeon)' 프로세서과 클라우드·기업용 서버 사업 전반을 총괄한다. 짐 존슨(Jim Johnson)을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CCG)의 총괄로 정식 임명했다. 짐 존슨은 지난해 10월부터 임시로 CCG를 총괄해왔다. 짐 존슨은 대표적인 인텔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