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마초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판매·기술 플랫폼 업체 알리브스(Alleaves)가 4000만 달러의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리브스는 4000만 달러(52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자금 조달 라운드를 마무리 했다. 이번 라운드는 더 일레븐 펀드(The Eleven Fund)가 2억4000만 달러(약 3150억 원)의 가치로 주도했다. 알리브스는 이번 투자 유치로 고객 기반을 확장하는 한편 포괄적이고 원활하게 종자 판매가 가능하도록 관련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른 대마초 기술 플랫폼 업체를 인수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더불어 알리브스는 업계 선두의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업체들과 함께 방송 광고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지난 2018년 ERP 소프트웨어 전문가 마이크 비들스와 켄 콘드렌이 설립한 알리브스는 대마초 사업자를 위한 실시간 종자 판매·추적 시스템을 제작한다. 특히 알리브스에 적용된 리얼 타임 센서 퓨전(Real Time Sensor Fusion) 기술은 실시간 센서 융합 기술을 채택해 SaaS(
[더구루=정등용 기자] 7나노미터급의 차량용 SoC(System on Chip)를 생산 중인 신칭과기(Siengine)가 10억 위안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칭과기는 지난 19일 10억 위안(1994억) 규모의 라운드A 파이낸싱을 완료했다. 이번 자금 라운드는 세쿼이아 캐피탈(Sequoia Capital)이 주도했다. 이 외에 뉴소프트(Neusoft)·보쉬(Bosch)의 △보위안 캐피탈(Boyuan Capital)과 SMIC의 △차이나 포춘 테크 캐피탈(China Fortune-Tech Capital) △비전 나이트 캐피탈(Vision Knight Capital) △헌드레드(Hundreds Capital)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신규 투자 자금은 기존 제품의 일괄 공급과 함께 R&D의 다음 단계 및 차량용 고성능 칩 배치에 사용될 예정이다. 신칭과기는 지난 2018년 지리 오토모바일 그룹(Geely Automobile Group) 산하 ECARX와 ARM 차이나가 합작 설립했다. 작년 12월엔 중국 최초로 7나노미터급 지능형 콘솔칩인 SE1000을 출시했다. SE1000은 83mm²의 사이즈로 88억개의 트랜지스터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이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생산을 늘려 탄소 배출 감축에 나선다. 친환경 항공유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영국에서 열린 판버러 에어쇼에서 앨더 퓨얼즈(Alder Fuels)와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의 생산을 전 세계로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했다.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보잉은 앨더 퓨얼스에서 파생된 SAF를 테스트하고, 항공 분야에서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앨더 퓨얼스는 첨단 저탄소 운송 연료 산업의 공정 기술과 프로젝트 개발 회사이다. 앨더 퓨얼스의 독점 기술은 풍부하고 지속 가능한 산림 잔류물과 재생 바이오매스를 제트 연료 전환을 위한 저음성 탄소 '녹색 원유'로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앨더 퓨얼스 제품은 SAF로의 전환하기에 적합하고, 장비와 인프라를 갖춘 기존 정유소에서 생산할 수 있다. 오는 2024년 첫 번째 공장이 완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브라이언 세르바코우(Bryan Sherbacow) 앨더 퓨얼스 CEO는 "앨더 퓨얼스 기술은 널리 이용 가능한 지속 가능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엠브라에르(Embraer) 자회사 이브 홀딩(Eve Holding)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의 객실 모형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이브는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영국에서 열린 판버러 국제 에어쇼에서 2인승 eVTOL를 전시한다. 이브는 전시회에서 eVTOL 객실 모형을 공개할 기회를 얻어 풀사이즈 캐빈 모형을 출시했다. 관람객에게 eVTOL 디자인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앙드레 스테인(Andre Stein) 이브 최고경영자(CEO)는 "움직이는 부품이 많지 않고 복잡하기 때문에 날개를 사용해 비행하면서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브가 참가한 판버러 에어쇼는 파리에어쇼, 싱가포르에어쇼와 함께 세계 3대 에어쇼로 꼽힌다. 현대자동차그룹 미국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법인 '슈퍼널'도 참가해 글로벌 에어 택시 경쟁에 함께 했다. <본보 2022년 6월 14일 참고 현대차 슈퍼널, 英 '판버러 에어쇼' 참가…UAM 사업 드라이브> 한편 이브는 영국 원스카이 플라이트 헬리콥터 운용사인 헤일로 에비에이션(Halo Aviation)과 항공 교통 솔루션을 개발하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스라엘 에어(AIR)의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 에어 원(Air One)이 호버 테스트를 완료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는 지난 12일(현지시간) eVTOL 에어 원 시제품에 대해 첫 번째 호버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에어 원은 항공기 시스템이 설계대로 작동했으며 에너지 사용이 2주간의 테스트 기간 동안 예측대로 작동했다고 알렸다. 호버 비행은 시스템 테스트를 완전히 완료하고,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검증함으로써 계획했던 항공기의 상공 비행이 가능하게 한다. 에어는 올해 말에 전체 비행 테스트로 확장할 계획이다. 라니 플라우트(Rani Plaut) 에어 공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중대한 이정표는 개인용 항공 모빌리티 공간에서 에어의 시장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해 매일 비행의 스릴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며 "다음 개발 단계로 진입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에어원은 순수 전기 2인승 eVTOL이다. 기존 상업용 항공 서비스를 위한 수직 이륙 차량이 아닌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되는 전기 구동 비행기이다. 에어 택시 보다 자가용 개념으로 개인 소유주에 마케팅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우주인터넷' 스타트업 원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출시 지연에도 인도에서 위성 서비스를 강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원웹은 인도 스리하리코타 섬(Sriharikota Island)에 있는 인도 스페이스포트 사티시 다완 우주센터(SDSC) 발사 플랫폼에서 나머지 저궤도(LEO)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원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카자흐스탄 핵심 우주기지에 접근할 수 없자 인도에서 발사하기로 한 것이다. 원웹은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의 상업 부문인 뉴스페이스인디아(NewSpace India)와 남아 있는 위성 중 일부를 발사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원웹은 위성 출시 일정이 우크라이나 위기 영향을 받지만 올해 자체적으로 인도 출시 기능을 사용해 최대한 빨리 인도 시장에서 서비스를 제공이다. 원웹은 이미 인도에서 위성 광대역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 장거리 네트워크(NLD) 위성 서비스에 의한 글로벌 개인 이동 통신(GMPCS) 라이센스를 받았다. 또 인도 정부로부터 보류 중인 모든 규제 승인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원웹은 인도 통신부(DoT)로부터 위성이동휴대전화(GM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전기트럭 업체 '하일리온'이 물류업체 NFI 인더스트리(이하 NFI)로부터 수주를 따냈다. NFI가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어 양사 간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하일리온은 최근 NFI와 전기트럭 '하이퍼트럭 ERX' 10대를 주문 받았다. 이는 하일리온의 생산 슬롯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추후 수주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NFI 관계자는 최근 텍사스 오스틴 소재 하일리온 본사를 방문했다. 하이퍼트럭 ERX 시승하는 등 차량을 직접 경험하고 하일리온 관계자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하이퍼트럭 ERX은 1회 충전시 최대 주행거리가 1000마일(약 1609km·순수 주행 거리 75마일)에 이르는 클래스8 트럭이다. 순수 주행 거리가 25마일인 기본 모델 라인업도 있다. NFI는 미국 3대 물류회사로 꼽힌다. 1932년 설립돼 100여년에 달하는 업력을 보유하고 있다. 4600대의 트랙터와 1만3000대의 트레일러, 6000만 평방피트 이상의 창고 공간 등을 보유하고 있다. 오는 2023년 미국에서 최초로 100% 무공해 드레이아지(drayage) 운영을 시작으로 전기트럭 전환 등 탈탄소화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미국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 사족보행 로봇 '스폿'이 일본에서 임업 투입을 위한 테스트를 받고 있다. 산악지 노동력 투입이 여의치 않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스폿은 최근 일본 한 산림에서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이탈리아 매체 '아스카뉴스'(askanews)가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공개했다. 임업에 투입되기 전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스폿은 잔디가 깔린 비탈을 걷고 무작위로 잘린 나무 사이를 통과하는 등 무난하게 테스트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테스트가 끝나는 대로 실제 임업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부족한 현지 노동력을 대신해 업무 효율성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폿은 여러 산업 현장에서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지뢰제거와 폼페이 유적지 보호 임무에 투입되는가 하면 사람을 대신해 위험한 건설 현장에서 순찰을 돌거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선별 작업도 돕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미국 뉴욕 소방청(FDNY)이 스폿 2대를 구매, 소방현장에 투입하며 주목을 받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전자 업계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간 배터리 전쟁과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다. 애플 협력사인 중국 럭스쉐어(리쉰정밀)가 캐처 테크놀로지(이하 캐처)의 영업비밀을 훔친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검찰은 럭스쉐어 임직원 14명을 배임·해외 상업 비밀 유출 혐의로 기소했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캐처의 핵심 기술과 연구개발(R&D) 인력을 빼돌리는 등 불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대만 검찰은 "1년 반 동안의 조사 끝에 럭스쉐어가 애플 생산 체인에 빠르게 진입해 주문을 수주하기 위해 대만 경쟁업체인 캐처를 표적으로 삼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럭스쉐어는 높은 급여를 약속하며 캐처의 중국 기반 R&D팀에 근무했던 직원들이 회사의 영업비밀을 훔치도록 유인해 캐처에 큰 손실을 입혔다"고 밝혔다. 럭스쉐어도 혐의를 인정했다. 럭스쉐어는 성명을 통해 "공장을 빠르게 건설하고 아이폰, 아이패드, 기타 제품용 케이스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이같은 행위를 저질렀다"고 전했다. 대만 검찰에 럭스쉐어 주요 경영진들이 기소된데다 혐의가 대부분 사실로 밝혀져 향후 애플의 공급망에 변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랍에미리트(UAE)의 국영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Emirates Airline)'이 기내식을 위해 수경재배 형식의 수직농장을 개장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에미레이트항공은 두바이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수직농장을 오픈했다. 이는 100개 이상의 항공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대 케이터링 사업 중 하나인 EKFC(Emirates Flight Catering)와 기술 기반 실내 수직 농업의 선두 주자인 크롭원(Crop One)의 합작 투자인 에미레이트 크롭원의 첫 수직 농장이다. 농장은 두바이 월드 센트럴(Dubai World Central)의 알 막툼 국제공항(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 근처에 위치한 33만㎡ 규모로 조성돼 연간 100만kg 이상의 고품질 잎채소를 생산한다.농장은 향후 100만 품종(식물)을 초과해 하루에 3000kg의 생산량을 제공한다. 수직농장은 기존 농업보다 95% 적은 물을 필요로 한다. 농장의 폐쇄 루프 시스템은 물 사용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식물을 통해 물을 순환하도록 설계됐다. 수증기가 기화하면 시스템으로 회수, 재활용돼 동일한 생산량으로 전통적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의 4680 배터리가 완전히 베일을 벗었다. 자체 건식 전극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등 고사양 배터리를 구현, 테슬라의 기술력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테슬라 전문 유튜브 채널 '더 리미팅 팩터(The Limiting Factor)'가 4680 배터리를 분석한 결과 이 배터리는 니켈 함량 81.6%의 NCM( 니켈·코발트·망간) 811 양극재와 흑연 음극재로 구성됐다. 총 용량은 96~99Wh 수준이다. 특히 눈여겨 볼 부분은 건식 전극 공정이 적용된 음극재다. 당초 업계에서는 양극재에 사용되거나 아예 쓰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일반적으로 배터리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10~15%의 실리콘을 추가하는 것과 달리 테슬라의 4680 배터리에는 흑연 음극재만 쓰였다. 4680 배터리셀 무게는 355g이다. 에너지 밀도는 272~296Wh/kg으로 추정된다. 배터리 팩에 힘을 실기 위해 배터리셀 캔에 2170형 배터리보다 두꺼운 강철 인클로저를 적용했으나 자동차 설계 구조에서 무게를 줄이며 배터리 무게가 증가되는 단점을 상쇄했다. 양극재 두께도 2170 배터리(60~70㎛) 대비 20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이색 마케팅 캠페인을 토대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쏘울 신형 모델 인기몰이에 나섰다.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한 최초 TV 광고를 진행한다는 점에서 지난 2009년 화제가 된 '쏘울 햄스터' 광고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미국판매법인(KA)은 지난 16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2023년형 신형 쏘울 광고 캠페인 '빌드 포 후에버 유아'(Build for Whoever You Are) 영상을 공개했다. 30초 분량으로 제작된 이 영상은 DASK(Dead Army Skeleton Klub) NFT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DASK NFT 해골 캐릭터 3종이 쏘울을 함께 타고 드라이브 스루를 이용해 햄버거를 주문하고 야외 테이블에서 식사를 진행하는 등 코믹한 장면이 담겼다. 특히 햄버거를 주문하는 장면에는 실제 활용 가능한 QR코드를 삽입했다. 스마트폰으로 스캔 시 1만100개의 기아 테마 NFT 중 하나를 얻을 수 있게 한 것. 이는 NFT 마켓플레이스 스위트(Sweet) 개인 디지털 자산 지갑에 저장된다. 기아는 이번 캠페인이 과거 쏘울 햄스터 광고와 비슷한 인기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원자력 기업 홀텍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미국 유타주(州)에 소형모듈원전(SMR)을 건설한다. SMR 협력사인 현대건설과의 동반 진출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홀텍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유타 주정부 및 원전기업 하이테크솔루션즈(Hi Tech Solutions)와 SMR 개발 사업에 협력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 홀텍와 하이테크솔루션즈, 유타주는 마운틴웨스트 지역에 SMR을 배치할 계획이다. 하이테크솔루션즈는 미국 워싱턴주에 본사를 둔 원전 기업이다. 이 사업에는 현대건설을 비롯해 미쓰비시전기 등 홀텍의 SMR 파트너들도 참여할 전망이다. 유타주는 앞으로 10년 이내에 전력 생산 능력을 두 배로 늘리는 '기가와트 작전'을 추진하면서 원전 건설 유치를 위해 2000만 달러(약 300억원)의 지원금을 배정하는 등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스튜어트 애덤스 유타주 상원 의장은 "홀텍과 하이테크솔루션즈의 이번 파트너십은 SMR 기술 중심으로 완벽한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유타가 미국 원전 미래를 선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원전은 경제와 국방을 뒷받침하는 AI 시스템, 데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전기차 생산업체 리비안이 미국 일리노이주 노멀(Normal)에 신규 부품 공급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1억1960만 달러(약 1670억원)를 투자한다. 공급망을 공장 인근으로 집약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자국내 생산 거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노멀 공장에 최소 1억1960만 달러를 투자, 인근에 부품 공급업체 유치를 위한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약 1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이 비용은 일리노이 주정부가 추진 중인 '에너지 운송수단 재창조(Reimagining Energy and Vehicles Program, REV)' 프로그램을 통해 일부 조달한다. 일리노이 주정부는 리비안에 총 1600만 달러(222억 6880만 원) 규모 인센티브와 더불어 20년간 세금 간면 혜택(500만 달러 상당)과 자본 보조금 등을 제공한다. 리비안은 현재 노멀 공장에서 픽업트럭 R1T,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1S, 그리고 상업용 전기밴 등을 생산 중이다. 지난 해 초 리비안이 건설을 중단한 조지아주 공장 대신 노멀 공장에서 내년 상반기(1~6월)부터 차세대 전기 SU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