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오션이 브라질 공급사와의 네트워킹 행사에서 조선소 투자 계획을 내비쳤습니다. 조선 인프라가 발달한 리우데자네이루주 니테로이(Niterói)에 현지 조선 거점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해양플랜트 수요에 대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오션이 브라질 공급사와의 네트워킹 행사에서 조선소 투자 계획을 내비쳤습니다. 조선 인프라가 발달한 리우데자네이루주 니테로이(Niterói)에 현지 조선 거점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해양플랜트 수요에 대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PC의 성능을 '1000배' 끌어올릴 기술을 개발했다. 발전이 정체되고 있는 반도체 기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노스이스턴대학교 연구팀은 양자 물질의 전자 상태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게재됐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연구팀은 이황화탄탈럼(1T-TaS2)이라는 양자물질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황화탄탈럼은 상온에서는 전기가 잘 흐르는 도체이지만, 200K(켈빈, 섭씨 -73.15도) 이하의 극저온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부도체가 되는 금속이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한 열 소멸(thermal quenching)이라는 기법을 이용해 이황화탄탈럼을 상온에 가까운 210K(섭씨 영하 63도)에서 부도체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또한 수개월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까지 했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이황화탄탈럼의 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상전이가 가능해졌다고 소개했다. 즉 도체와 부도체 상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가 카이로스 파워와 4세대 원전 상용화에 3차원(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했다. 차세대 원전 건설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증명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ORNL에 따르면 산하 실증 시설인 MDF(Manufacturing Demonstration Facility)는 카이로스 파워, 바너드 건설과 헤르메스(Hermes) 실증로 건설에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먼저 3D 프린터로 거대한 틀인 폴리머 콘크리트 주형(Composite Form)을 제작했다. 이후 현장으로 옮겨 이 틀에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기둥을 완성했다. 이 기둥은 원자로와 주변 설비에서 방사능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차폐벽에 해당한다. ORNL은 주형을 통해 수주가 걸린 구조물 시공 기간을 14일로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3D 프린팅을 활용하면 복잡한 곡선이나 기하학적 구조물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산업용 3D 프린팅 회사 AES(Additive Engineering Solutions)와 소재 기업 아키텍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