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이윽고 언어가 사라졌다’…작가의 숨은 뜻은?

 

[더구루=오승연 기자] 기자의 눈으로 사회의 부조리 및 혐오를 지켜보던 이가 활동가에서 소설가로 변했다.

 

최이아의 첫 소설집 ‘이윽고 언어가 사라졌다’는 8년간 경제지 기자로 일하면서 ‘자신이 뱉는 말의 영향력을 숙고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언어를 빼앗고 싶었다는 은밀한 반항을 이 작품집에서 응집시켰다.

 

‘이윽고 언어가 사라졌다’는 무분별하게 언어를 사용할 때 사회가 어떤 식으로 일그러지는 변화를 담고 있다. 언어의 틀에 갇힌 편견이 얼마나 잔인한지, 신념이라는 단어로 포장된 학살이 얼마나 아무렇지 않게 일어나는지 들춘다.

 

최이아의 ‘이윽고 언어가 사라졌다’는 언어의 소멸로 인해 언어의 순기능마저 사라진 역설을 부각시키며, 그 자리에 무엇이 들어갈지 함께 고민하고자 하는 소설집이다.

 

소설가 구병모는 ‘이윽고 언어가 사라졌다’에 대해 “작은 소망에 불과했던 욕망에 집착할수록 그것은 커다란 파도로 변해 등장인물들의 세계를 쓸어버린다”라며 “이 소설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욕망의 그림자에 가려진 사람들을 주목한다”고 평했다.

 

여기에 소설가 정보라는 “SF인 줄 알고 읽기 시작했는데 첫 작품부터 무섭게 시작해서 끝까지 정말 현실적으로 너무 무서웠다”라며 “인간은 유한하고 연약한 존재이기에 타인의 피를 마셔야만 하고, 의사소통을 갈망하는 사회적 존재이기에 자신의 뇌를 통해 의사소통의 근간인 언어를 오염시킨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이아 작가는 근미래 한국 농촌 SF ‘제니의 역’으로 2023년 제6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우수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