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셀 제소' 美, 동남아 4개국 태양광 제품 반덤핑 조사

태국·베트남·캄보디아·말련 등 4개국산에 최대 271% 덤핑마진 주장
내달 2일 최종 판정…9일 관세 부과 명령 전망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큐셀이 미국에서 제소한 태국과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산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CSPV)의 반덤핑 조사가 진행 중이다. 내달 초 최종 판정이 내려지며 최대 271.45%의 관세율 부과에 이목이 쏠린다.


26일 코트라 워싱턴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 이하 무역위)에 따르면 무역위는 태국과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산 CSPV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한화큐셀과 퍼스트 솔라, REC 실리콘, 미션 솔라, 스위프트 솔라 등 현지에 공장을 보유한 업체들의 제소로 시작됐다. 이들은 지난달 24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CSPV 셀이 공정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4개국이 저가를 앞세워 작년 4분기 미국 패널 수입의 약 80%를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작년 수입액은 125억 달러(약 17조원)로 2021년부터 3년 동안 141%의 성장률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지난 1분기 CSPV 모듈 가격은 전년 대비 50% 이상 하락했고, 현지 태양광 제조사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는 주장이다. 베트남 70.35%, 말레이시아 81.24%, 캄보디아 126.07%, 태국 271.45%를 매길 것을 주문했다. 


무역위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달 2일 최종 판정을 내리고 9일 관세 명령을 발효한다. 시장조사기관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는 판정 결과가 4개국에서 생산된 태양 전지로 만든 모듈 수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봤다.


한편, 전미태양광제조무역연합의 조사 결과 미국은 지난해 이들 4개국으로부터 태양광 모듈 약 34GW를 수입했다. 금액 기준 119억 달러(약 16조원)에 달한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