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보험사, 현대차·기아 보이콧…'절도 챌린지' 탓

유튜브 ‘절도 챌린지’ 동영상 삭제 요청
검찰 ‘도난 방지 기술 미흡’ 현대차 기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내 차량 절도 범죄 확산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보안 장치인 이모빌라이저 부재와 ‘절도 챌린지’ 동영상 확산으로 차량 절도 범죄의 주요 타깃이 되면서 현지 보험사들의 자동차 보험 가입 거부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여기에 현지 검찰은 ‘차량 도난 기술 미흡’을 이유로 현대차·기아를 기소했다. 

 

◇ 美 보험사, 현대차·기아 보이콧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대형 보험사를 중심으로 현대차·기아 모델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현지 대형 보험사인 스테이트 팜(State Farm)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는 일부 지역에서 현대차·기아 차량에 대한 보험 가입을 거부하고 있다. 가입 제한 지역은 오하이오주 컬럼버스와 콜로라도주 덴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등으로 이들 지역을 지난해 현대차·기아 차량 대상 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는 공통분모가 있다.

 

프로그레시브는 자료를 내고 "현대차·기아가 판매하는 특정 모델이 지난해부터 차량 절도범들의 주요 타겟이 되고 있다"며 "절도 범죄 빈도수에 따라 지역별 승인 조건을 조정, 자동차 보험 신규 가입을 거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가입 승인을 받아도 문제다. 기존 보험료보다 훨씬 높은 금액이 책정된다는 점에서 운전자들의 부담이 배가 된다. 이미 네이션 와이드 빌딩 소사이어티(Nationwide Building Society)와 게이코(Geico), 오스발도 아길라(Osvaldo Aguilar) 등 일부 보험사는 현대차·기아 차량 대상 보험료를 인상하기로 했다. 

 

◇ ‘절도 챌린지’ 삭제 요청…유튜브에 서한 전달 

 

미국 차량보험범죄국(NICB)과 보험사기반대연합(Coalition Against Insurance Fraud·CAIF), 국제특별수사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pecial Investigative Units·IASIU)는 최근 수잔 보이치키(Susan Wojcicki) 유튜브 최고경영자(CEO)에게 공동 성명문을 보내고 현대차·기아 차량 불법 절도 영상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절도 방법 등을 담은 영상 등 개인과 범죄 조직들의 활동이 일반에 여과 없이 노출됨에 따라 불법행위가 급증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현대차·기아 차량 도난율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 차량 대상 절도 건수는 3958건으로 전년(273건) 대비 1450% 급증했다. 뉴올리언즈 지역에서 도난당한 차량 4대 중 1대가 현대차·기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릴랜드 주 등 지역 전체 도난 차량의 과반이 현대차·기아 차량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로스앤젤레스의 경우 절도 차량 20%가 현대차·기아로 집계됐으며,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선 현대차·기아 차량 도난율은 전체 도난 건수의 38%(현대차 2105대, 기아차 1943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비드 글라위(David Glawe) NICB 사장은 "차량 절도 방법을 담은 영상은 범죄자들의 일종의 참고서 역할을 하는 가운데 미국에서 현대차·기아 차량을 구매한 소비자들이 희생양이 되고 있다"며 "불필요한 피해로부터 무고한 피해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차량 절도가 보험 사기 등으로 이어지면서 보혐료 인상 등에 따른 현대차·기아 구매자들의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매튜 스미스(Matthew Smith) CAIF 전무이사는 "보험 사기는 구매자 모두가 대가를 치르게 되는 범죄"라며 "단순 차량 도난으로 그치지 않고 다른 범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 보험 사기가 가장 관련이 깊다"고 강조했다.

 

현재 일부 영상이 내려가기는 했으나 아직 유튜브는 해당 영상들에 대한 조치를 완벽하게 취하지는 않은 상태다. 이들 단체는 유튜브에 더욱 적극적으로 영상 삭제를 요청할 예정이며 동시에 향후 틱톡 등 더 많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범죄 영상이 번지지 않게 만들기 위해 다른 조치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이모빌라이저’ 부재 원인…美 검찰 기소

 

절도범들이 현대차·기아 차량을 대상으로 범죄를 벌이는 이유는 ‘이모빌라이저’의 부재다. 이모빌라이저는 차량 도난을 막기 위해 시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보안장치다. 자동차의 고유 보안 암호를 자동차 키에 심어, 시동을 걸 때마다 암호를 확인한다. 현대차·기아는 현지 생산된 2011∼2021년형 모델과 2015∼2021년형 모델에 이 기능을 탑재하지 않았었다. 미국에서는 지난 2021년 11월 전까지 해당 보안장치가 기본 탑재가 아닌 선택 사양으로 설정돼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미국 검찰까지 '차량 도난 기술 미흡'을 이유로 현대차·기아를 기소하면서 브랜드 신뢰도는 더욱 하락하고 있다.

 

미국 시애틀시(市) 앤 데이비슨(Ann Davison) 검사는 공소장을 통해 "현대차·기아는 고객의 안전보다는 비용 절감을 선택했다"며 "그 결과 현지 차량 절도 범죄가 급증하면서 세금으로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대차·기아는 공공 안전 위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러한 절도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하는 등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이비슨 검사는 지난해 7월 시애틀 지역에서만 접수된 현대차·기아 차량 도난 건수가 전년 대비 620% 세 자릿수 늘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았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