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투자한 노르웨이 'REC실리콘'이 미국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공장 가동을 멈춘다. 높은 전력 비용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탓이다. 14일 REC실리콘에 따르면 이 회사는 몬태나주 뷰트 폴리실리콘 공장을 폐쇄한다. 고객사와 약속한 공급 물량을 소화하고자 약 6~9개월 동안 운영하고 점차 라인 가동을 멈춘다. 인력도 줄인다. 뷰트 공장은 매년 2000톤(t)의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을 생산한다. 현재 약 300명이 근무하고 있다. 커트 레반스 REC실리콘 최고경영자(CEO)는 "뷰트에서 폴리실리콘 사업의 수익성을 회복하고자 최선을 다했으나 통제할 수 없는 높은 전력 비용이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며 이러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셧다운 배경을 설명했다. REC실리콘은 폐쇄 준비에 돌입했다. 향후 세부 사항을 확정해 이해관계자들에 공유할 예정이다. REC실리콘은 뷰트에서 폴리실리콘 생산을 멈추는 대신 특수가스 사업에 매진한다. 칩스법(Chips Act·반도체 지원법)과 함께 성장할 미국 반도체 산업에 대응해 모노실란(SiH4) 가스 공급을 확대한다. 미국은 칩스법 발효 1년 만인 작년 8월 공식화된 반도체 투자 계획만 1660억 달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솔루션이 대주주로 있는 노르웨이 'REC실리콘'이 공장 재개·증설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순항하고 있다. 영국계 스탠다드차티드은행으로부터 400억원 상당의 대출을 받았다. [유료기사코드] REC실리콘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스탠다드차티드은행 뉴욕지점과 3000만 달러(약 380억원)의 대출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솔루션이 전액 보증해 유리한 조건으로 대출을 받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화솔루션은 REC실리콘의 지분 21.34%를 보유하고 있다. REC실리콘은 은행에서 빌린 자금을 활용해 설비 투자에 나선다. REC실리콘은 올해 연말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에 위치한 태양광 폴리실리콘 공장 가동을 재개한다. 내년 2분기 절반을 가동하고, 연말 풀가동할 계획이다. 이 공장은 연간 생산능력이 1만8000t에 달한다. 중국이 미국산 폴리실리콘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REC실리콘의 사업이 어려워지자 2019년 5월 폐쇄됐었다. REC실리콘은 모지스레이크 공장 인근에 20억 달러(약 2조5600억원)를 쏟아 잉곳과 웨이퍼 생산시설을 추가하는 '프로젝트 라이저'를 추진하고 있다. 작년 말 모지스레이크시 그랜트 카운티 위원회로부터 부지 용도 변경
[더구루=오소영 기자] 노르웨이 REC실리콘이 중국 합작사인 '티앤 홍 REC실리콘 머티리얼즈(Shaanxi Non-ferrous Tian Hong REC Silicon Materials Co., Ltd, 이하 율린(Yulin JV))'의 지분을 매각한다. 미래 성장 산업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 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현지 시장 철수를 결정했다. REC실리콘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율린 지분 전량을 매각하기 위한 공개 입찰 내용을 공유했다. 중국은 입찰 전 기업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가격 하한선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3자 기관에서 평가한 율린의 가치는 약 68억 위안(약 1조2610억원)이다. REC실리콘은 지분 15.06%를 보유하고 있어 입찰에 성공할 시 약 10억 위안(약 1850억원)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율린은 REC실리콘과 중국 산시 논페로우스 티앤 홍 뉴에너지가 2014년 7월 설립한 합작사다. 중국 산시성 위린시에 거점을 두고 반도체용 특수가스와 폴리실리콘을 생산해왔다. REC실리콘의 매각 결정은 미·중 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태양광과 반도체 등 미래 성장 산업에서 중국 공급망을 제외하려 하고 있
[더구루=오소영 기자] 하나은행이 한화솔루션이 대주주로 있는 노르웨이 REC실리콘에 대출을 제공한다. 내달 만기가 돌아오는 부채 상환과 폴리실리콘 공장 확장을 지원한다. REC실리콘은 21일(현지시간) 하나은행으로부터 1억1000만 달러(약 1430억원) 규모의 대출을 받는다고 밝혔다. 조달 자금을 활용해 내달 13일 만기인 선순위 대출을 갚는다. 한화솔루션이 보증을 서 유리한 조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는 게 REC실리콘 측의 설명이다. REC실리콘은 채무 상환과 함께 폴리실리콘 공장 재개·확장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한다. 조만간 추가 자금 조달 계획을 확정해 시장에 공유할 예정이다. REC실리콘은 2019년 5월 미국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을 잠정 폐쇄했었다. 미·중 관계 악화로 중국이 미국산 태양광 폴리실리콘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수익성이 급격히 하락해서다. 모지스레이크 공장은 5년 만인 오는 4분기에야 재개된다. REC실리콘은 연간 1만6000t의 폴리실리콘 만들고 생산 물량 전량을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에 공급할 계획이다. REC실리콘은 미국 몬태나주 뷰트에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공장도 증설한다. 몬태나 공장은 현재 연간 2000t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솔루션이 노르웨이 'REC실리콘'과 폴리실리콘 공급에 관한 사전 계약을 맺었다. 10년 공급을 비롯해 세부 조건을 합의하며 본계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기초 소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북미 생산 단지 '솔라 허브'와 시너지를 강화한다. REC실리콘은 한화솔루션과 폴리실리콘 공급을 위한 구속력 있는 텀시트(Term Sheet)를 체결했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밝혔다. 텀시트는 주요 계약 조건을 담은 사전 계약서를 뜻한다. 한화솔루션은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 전량을 10년 동안 공급받는다. 폴리실리콘은 전력 사용량과 원가 절감에 용이한 'FBR'(Fluidized Bed Reactor) 공법으로 생산된다. 가격은 저탄소 제품의 프리미엄이 반영된 시장 지수에 따라 결정된다. 한화솔루션은 REC실리콘과 수개월 안으로 정식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체결 후 즉시 상당한 금액을 선불로 제공해 모지스레이크 공장의 재개를 지원한다. 모지스레이크 공장은 2019년부터 가동이 중단됐다. 미국산 폴리실리콘을 겨냥한 중국의 보복성 관세 부과로 수익이 악화된 여파다. REC실리콘은 작년부터 운영 재개를 모색해왔다. 대외 여건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지분 투자한 노르웨이 REC실리콘이 해커 집단의 공격을 받아 일부 데이터가 유실됐다. REC실리콘은 폴리실리콘 생산과 매출에 타격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주가는 소폭 하락했다. REC실리콘은 19일(현지시간) 오전 정체불명의 해커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사내 전산망이 일시적으로 마비됐다. REC실리콘은 즉각 시스템 복원에 나섰으나 일부 데이터는 유실됐다. REC실리콘은 "생산과 품질, 매출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며 "해커가 여전히 제한된 양의 데이터를 빼갈 수 있으나 이는 중요한 지적재산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어 "향후 추가 사고를 방지하고자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해킹 소식이 전해지며 REC실리콘의 주가는 떨어졌다. 19일 기준 전날 대비 0.47% 빠져 15.52크로네로 마감했다. 1996년 설립된 REC실리콘은 노르웨이 포르네부에 본사를 둔 특수가스·폴리실리콘 생산 업체다. 미국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에서 연간 1만6000t의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몬태나주 뷰트에서 2000t의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공장을 운영해왔다. 미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중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로 2019년 5월부
[더구루=오소영 기자] 노르웨이 REC실리콘의 중국 합작사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상하이 증시 입성에 성공하면 REC실리콘이 보유한 지분 가치가 1억8000만 달러(약 23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산시 논페로우스 티앤 홍 REC실리콘 머티리얼즈(Shaanxi Non-ferrous Tian Hong REC Silicon Materials Co., Ltd, 이하 티앤REC)는 내년 상하이증권거래소의 커촹반(科創板·STAR MARKET)에 상장할 예정이다. 화타이증권과 중신증권이 자문을 제공한다. 티앤REC는 REC실리콘(15.06%)과 산시 논페로우스 티앤 홍 뉴에너지(84.94%)가 2014년 7월 중국 산시성 위린시에 세운 합작사다. 연간 1만8000t을 생산할 수 있는 폴리실리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기업 가치는 11억9000만 달러(약 1조5780억원)로 추정된다. 티앤REC는 상장을 통해 7억 달러(약 9280억원)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조달 자금을 활용해 부채를 상환하고 공장을 업그레이드한다. 티앤REC가 상장에 성공하면 REC실리콘이 보유한 지분은 1억8000만 달러 상당의 가치를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REC실리콘이 한화의 지원에 힘입어 폴리실리콘 사업을 전방위로 확장한다. 미시시피 실리콘으로부터 메탈실리콘을 조달하고 폴리실리콘 공장 재개에 박차를 가한다. REC실리콘은 "미시시피 실리콘과 태양광 원자재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REC실리콘은 미시시피 실리콘이 만든 메탈실리콘을 활용해 태양광 패널의 주원료인 폴리실리콘을 생산한다. 미시시피 실리콘은 2억1400만 달러(약 2870억원)를 쏟아 미시시피주 티쇼밍고 카운티 메탈실리콘 공장을 짓고 2015년부터 가동 중이다. 북미 최초 메탈실리콘 제조사로 자리 잡으며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REC실리콘은 미시시피 실리콘과 협업해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 재개에 나선다. REC실리콘은 중국의 반덤핑 관세 여파로 폐쇄했던 모지스레이크 폴리실리콘 공장을 내년 4분기부터 재가동한다. 2024년까지 가동률을 100% 끌어올릴 계획이다. 연간 생산량은 1만8000t으로 추정된다. REC실리콘은 메탈실리콘부터 폴리실리콘까지 밸류체인을 강화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친환경 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노르웨이 오슬로 거래소 상장사인 REC실리콘이 영국 실리콘 금속 제조업체 페로글로브PLC(이하 페로글로브)로부터 메탈실리콘을 받아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인다. 한화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후 태양광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는 양상이다. 페로글로브는 13일(현지시간) "REC실리콘과 미국 태양광 공급망을 구축하고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탈실리콘부터 폴리실리콘, 태양광 모듈까지 공급망 전반을 공동 개발한다. 2015년 설립된 페로글로브는 유럽과 북미에서 최대 메탈실리콘 공급사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와 앨라배마, 오하이오에 사업장을 두고 메탈실리콘을 생산하고 있다. REC실리콘은 페로글로브로부터 메탈실리콘을 안정적으로 수급해 폴리실리콘을 양산할 계획이다. REC실리콘은 한화로부터 투자를 획득하고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는 지난 2월 지분 12%을 인수했고 한화솔루션은 16.67% 지분을 추가로 매입했다. 한화에서 투자를 받으며 REC실리콘의 폴리실리콘 사업에도 탄력이 붙었다. REC실리콘은 미국 몬태나주 뷰트에서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에서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공장
[더구루=오소영 기자] 노르웨이 오슬로 거래소 상장사인 REC실리콘이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올해 1분기 매출이 늘었다. 모지스레이크 폴리실리콘 공장의 가동 계획도 구체화되며 한화와의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REC실리콘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3460만 달러(약 4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라고 밝혔다. 전분기(4320만 달러·약 530억원) 대비 20%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2810만 달러·약 340억원)와 비교해 23% 증가했다.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360만 달러(약 40억원)로 1년 사이 40만 달러가 빠졌다. 반도체 재료 사업의 매출은 3450만 달러(약 420억원)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2800만 달러(약 340억원)보다 23% 뛰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출하량은 같은 기간 37.2% 증가했다. 주요 제품별 판매량을 보면 폴리실리콘 판매량은 작년 1분기 2억7400만t에서 올해 같은 분기 2억6700만t으로, 실리콘 가스 판매량은 7억8100만t에서 7억6400만t으로 줄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폴리실리콘은 2억1400만t이 감소했으나 실리콘가스는 1400만t이 증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가 개인이 본인의 주거구역 상공을 비행하는 드론을 격추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내용을 담은 법을 만든다. 하지만 연방법은 물론 기존 주법과 상충될 가능성이 커 우려가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플로리다주 상원은 무인 항공기의 비행금지 구역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CS/CS/SB 1422' 법률안을 심사하고 있다. 주택 상공 드론 금지법은 지난 2월 2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상원에 제출된 이후, 소위원회 등의 심사 등을 빠르게 통과했다. 현재 해당 법안은 현재 상원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있으며, 통과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통과 시 법안 발효는 올해 10월부터다. 해당 법안이 발효되면 500피트(약 150m) 이하로 비행하는 드론이 주택 상공에 침입하면, 거주자는 합법적인 방법으로 드론을 파괴할 수 있다. 주택 상공 드론 금지법이 등장한 이유는 드론에 의한 사생활 침해 우려때문이다. 실제 법안에도 "주택 소유자는 드론이 사생활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합리적인 힘을 행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플로리다주 주택 상공 드론 금지법이 통과를 앞두고 되면서 기존 연방법·주법과 상충하는 부분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없이도 구동되는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모델은 메모리 사용량도 극적으로 감소시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최근 AI모델 공유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 등을 통해 20억 파라미터(매개변수)를 보유한 '비트넷 b1.58 2B4T(BitNet b1.58 2B4T)' AI 모델을 공개했다. MS는 비트넷이 메모리 용량과 필요 에너지, 지연시간 등 계산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MS의 비트넷의 가장 큰 특징은 AI모델 구동의 핵심 하드웨어인 GPU를 사용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CPU) 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비트넷이 CPU만으로 AI모델을 구동할 수 있는 이유는 가중치(weights)값이 단순화됐기 때문이다. 비트넷은 AI 모델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가중치 값으로 -1, 0, 1만 사용한다. 이에 연산에 필요한 가중치를 1.58비트로 줄일 수 있었다. 반면 일반적인 AI모델의 경우 16비트 또는 32비트 부동 소수점을 가중치로 활용한다. 기존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