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와 미국 수소 회사 플러그파워의 합작사 '하이비아(HIVIA)'가 수소연료전지 공장을 가동한다. 수소 상용차부터 충전소까지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춰 시장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그룹은 프랑스 플랑 소재 르노의 '리팩토리' 공장 내 위치한 하이비아의 수소연료전지 모듈 조립·생산라인 가동에 돌입한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올해 말까지 연간 연료전지 1000개 생산능력을 갖추고 추후 증설한다. 하이비아 신공장에서는 수소연료전지 모듈 조립과 테스트를 진행한다. 고출력 컨트롤러와 컨버터, 공기 필터, 압축기, 가습기, 냉각수 시스템 등 연료전지 핵심 구성 부품을 조립할 수 있는 라인을 구축했다. 이 곳에서 생산된 30kW급 연료전지는 하이비아가 작년 12월 공개한 △마스터 밴 H2-테크 △마스터 섀시 캐빈 H2-테크 △마스터 시티버스 H2-테크 등 수소 상용차 3종에 탑재된다. 연내 1MW급 전해조를 설치해 녹색수소도 생산한다. 전해조는 녹색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설비다. 하루 최대 450kg 수소를 생산해 수소충전소의 저장탱크에 공급한다. 르노와 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수소 회사 플러그파워 최고경영자(CEO)가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와의 합작사 '하이비아(HIVIA)'의 사업 계획을 공유했다.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녹색수소 시장에서 확고한 리더십을 구축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앤디 마시 플러그파워 CEO는 최근 미국 투자 전문매체 벤징가(BENZINGA)의 유튜브 라이브에 출연해 "(하이비아가) 올해 상업 고객과 함께 10가지 중요한 개발 성과를 배포할 것"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시장 점유율 3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르노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배터리 전기 상용차 회사로 수소차는 상업용 부문에서 먼저 두각을 드러낼 것"이라며 "플러그파워는 단순 공급업체가 아니라 파트너로서 합작사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고 이 점이 플러그파워를 차별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하이비아는 작년 12월 △마스터 밴 H2-테크 △마스터 섀시 캐빈 H2-테크 △마스터 시티버스 H2-테크 등 수소 상용차 3종을 공개했다. 이르면 내년부터 신차를 판매한다. 5분 내 충전 가능한 급속 충전소도 보급, 충전 인프라 조성을 지원한다. <본보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배터리 제조사 파나소닉이 전기차(EV)의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무음극(anode-free)' 배터리 출시 계획을 공개했다. 파나소닉의 핵심 파트너사인 테슬라의 전기차 성능이 향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2027년 말까지 무음극 배터리를 상용화한다고 발표했다. 파나소닉은 세계 최고 수준의 무음극 배터리를 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나소닉이 개발하고 있는 기술은 말 그대로 음극재를 없애거나 극소량의 리튬을 적용한 완전 새로운 개념의 배터리다. 음극재는 배터리를 충전할 때 양극에서 나온 리튬 이온을 받아 저장하는 저장한다. 배터리를 사용할 때(방전 시)는 리튬 이온을 양극으로 돌려보내 전기를 만들어낸다. 이에 음극재는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 충전 속도 등을 결정한다. 음극재에 얼마나 많은 리튬 이온을 저장할 수 있느냐가 에너지 밀도(용량)를 결정하며, 얼마나 빨리 받아들일 수 있느냐가 충전속도를 결정한다. 또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충전과 방전 시 구조 변형이 최소화돼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현재 음극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자사의 소셜미디어 스레드(Threads)를 홍보하는데 10대 여학생들의 사진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해당 사진이 성인 남성에게만 집중적으로 노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메타가 아동을 성적대상화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에서 메타가 '어린 여학생이 등교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을 스레드의 홍보 프로모션 이미지로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논란은 런던에 거주하는 37세 남성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어린 소녀들이 교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담긴 스레드 홍보글이 지속적으로 노출됐다고 유력일간지 가디언에 제보하면서 시작됐다. 해당 이미지에는 소녀들의 얼굴은 물론 이름이 포함된 경우도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제보한 남성은 가디언을 통해 "이전에 유사한 이미지를 게시하거나 '좋아요'를 누른 적이 없었다"며 "광고에는 남학생 사진은 전혀 노출되지 않았다. 의도적인 성적 대상화가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제보자에게 노출된 사진 중 일부는 부모들이 자녀의 새 학기 시작을 기념해 인스타그램에 올린 게시물이었다. 메타는 이를 별도의 동의 과정 없이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