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미국의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ESA) 기술 선도기업인 '카이메타'가 유럽 동맹국들의 방위비 부담 증가에 따라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한다. 유럽 주권국들이 안전한 주권 방위 작전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중에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배포 가능한 통신이 중요시하면서 카이메타의 단말기가 '안성맞춤'이라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카이메타에 따르면 전 세계 정부와 국방부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고시호크 u8'(Goshawk u8)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주문을 접수한다. 안전한 주권 방위 작전을 보장하는 위성 네트워크 유연성과 개방형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유럽 주권국들은 이동 중에도 안전하고 탄력적이며 신속하게 배포 가능한 통신을 중요한 솔루션으로 여기고 있다. 카이메타는 고시호크 u8 단말기로 새로운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중요한 위성 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카이메타의 고시호크 u8은 단일 터미널에서 탄력적이고 유연한 다중 궤도, 다중 네트워크 위성 통신을 제공한다. 저궤도(LEO)와 정지궤도(GEO) 위성 기술과 셀룰러 연결을 결합해 적의 응집력을 무너뜨릴 수 있는 신속하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미국 위성안테나 회사 카이메타가 반도체 기업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dvanced Micro Devices, AMD) 출신 임원을 영입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최근 AMD 컴퓨팅 및 그래픽 비즈니스 그룹의 릭 버그만(Rick Bergman) 전 부사장을 새 최고경영자(CEO)로 임명했다. 릭 버그만 신임 CEO는 다음달 1일부터 카이메타를 이끌게 된다. 릭 신임 CEO는 "카이메타는 뛰어난 역량을 갖춘 글로벌 팀의 지원을 받아 기술 및 시장 리더로 자리매김했다"며 "고객에 대한 헌신, 혁신, 최고 수준의 제품 제공을 바탕으로 카이메타는 글로벌 광대역 통신을 발전시키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카이메타가 릭 신임 CEO를 영입한 배경에는 그의 뛰어난 경력이 바탕이 됐다. 릭 신임 CEO는 혁신적인 기술로 시장 기회를 활용해 지속적인 시장 성장을 이끌어왔다. 릭 신임 CEO는 카이메타 합류 전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본사를 둔 AMD에서 4년간 근무했다. 이전에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대기업인 시냅틱스(Synaptics)의 CEO였다. 20년 이상의 고위 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미국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 기술 선도 기업인 '카이메타'(Kymeta)가 2024년엔 항공용 안테나(aero ESA)를 선보인다. 항공용 안테나를 처음 논의한 지 10년이 지나 현실화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오는 2024년에 상업용 항공 시장을 위한 항공용 안테나를 출시한다. 카이메타는 "카이메타는 3세대 솔리드 스테이트 기술을 활용해 여러 주요 항공기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과 기내 연결 플레이어를 위한 항공 안테나를 구축하고 있다"며 "현재 파트너의 이름을 공개할 수 없지만 솔루션이 상업용과 군사용으로 사용될 것이며 예상 가능한 날짜는 2024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카이메타는 비즈니스·상업용 항공기용 'Ka 항공 안테나'를 개발하기 위해 허니웰(Honeywell)과 인마샛(Inmarsat)과 계약을 체결했다. 또 파나소닉(Panasonic)과는 해상 중심 계약을 체결했다. 카이메타는 인공위성의 신호를 움직이면서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전자식 위성 안테나 전문 기업이다. 오지나 해상 등에서 차량·버스·기차·선박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위성통신 안테나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한화시스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미국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 기술 선도 기업인 '카이메타'(Kymeta)가 글로벌 통신업체와 리셀러 계약을 맺고 새로운 모바일 위성 연결 솔루션을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통신 글로벌 제공업체인 얼티샛(UltiSat)과 정부, 인도적 지원과 주요 인프라 고객을 위한 새로운 모바일 위성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재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얼티샛은 자사의 글로벌 위성 네트워크 서비스를 카이메타의 이동 통신(COTM) 단말기와 결합하게 된다. 차세대 터미널 카이메타 u8 기술은 로우 프로파일 폼 팩터, 소프트웨어 정의 전자 빔 스티어링, 간소화된 전개를 결합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신뢰할 수 있는 고속 통신을 제공한다. 카이메타 안테나에는 기존 정지궤도(GEO) 위성 네트워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ESA(Electronically steerable Array) 기술이 포함됐으며 새로운 저궤도(LEO) 기반 위성 서비스에도 활용할 수 있다. ESA 기술을 통해 카이메타 터미널은 비상 대응 명령 센터와 같은 차량 이동중 모바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u8 터미널 기술과 결합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478억원을 투자한 미국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 기술 선도 기업인 '카이메타'(Kymeta)가 IP 액세스 인터내셔널(IP Access International, 이하 IP 액세스)과 파트너십을 맺고 차세대 통신 솔루션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유무선 위성 솔루션업체 IP 액세스와 협력해 공동 개발 광대역 솔루션 통해 제공되는 모바일 연결 서비스 이용 지원에 나선다. 양사 파트너십은 북미 전역의 응급구조대원을 대상으로 카이메타 터미널, 광대역, LTE 서비스를 사용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공동 개발해 배포하기 위해 체결됐다. 공공 안전과 재난 대응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핵심 모바일 연결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게 목표이다. 카이메타 u8 제품군과 공동 개발한 광대역 솔루션이 제공하는 필수 모바일 연결 서비스를 이제 IP 액세스의 대규모 공공 안전 고객 커뮤니티에서 이용할 수 있다. IP 액세스 인터내셔널은 기업, 공공 안전, 석유 및 가스, 중요 인프라를 위한 VSAT 위성 인터넷 시스템의 비즈니스급 모바일 위성 기술 제공업체이다. 현재까지 IP 액세스는 1700개의 전용 터미널을 포함하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추가 투자한 미국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 기술 선도 기업인 '카이메타'(Kymeta)가 신제품 출시로 단말기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호크 u8(Hawk TM u8) △고스호크 u8(Goshawk TM u8) △오스프리 u8(Osprey TM u8) 등 3가지 u8 단말기 제품을 내놓았다. 카이메타는 군용 '오스프리 u8' 제품 출하를 시작했고, 호크 u8 제품 가격을 크게 낮춰 출시했다. 이들 제품을 통해 단말기 시장과 산업 부문 공략 기회를 확대한다는 게 카이메타의 계획이다. 실제 이동 중 사용할 수 있는 군용 통신 단말기인 '오스프리 u8'은 출시 후 미국 국방부(DoD) 등 전 세계 국방부의 관심을 받고 광범위한 도입을 이끌었다. 네빌 마이어스(Neville Meijers) 카이메타 최고전략책임자는 "카이메타는 연결된 전 세계에서 언제 어디서든 이동 중에 일하고 생활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혁신하고자 한다"며 "꾸준한 성장과 판매, 혁신적 제품의 개발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신제품은 지난주 8400만 달러(약 1040억원) 자금 조달 발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330억원을 투자한 미국 위성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Kymeta)가 'u8 MIL' 단말기 기술력을 향상시킨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위성 지상 단말기 솔루션 개발업체 패스파인더 디지털(PathFinder Digital)와 협력해 u8 MIL 기능를 개선한다. 미국 국방부(DoD)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이동식 위성 지상 단말기(VSAT)의 설계, 제조 , 애프터마켓 지원 전문가인 패스파인터 디지털은 군사 시장을 위해 구축된 카이메타의 새로운 U8 MIL 단말기의 견고화와 생산을 위한 엔지니어링, 제조 서비스를 제공한다. u8 MIL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이동 중인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완벽한 연결 솔루션을 제공한다. 낮은 프로파일과 차량·선박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 표준 상용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글로벌 송신보안(Transec)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카이메타는 지난해 군사용 단말기 u8 MIL 하이브리드를 출시, 군사 통신 혁신을 제공했다. <본보 2021년 9월 2일 참고 '한화 투자' 카이메타, 군사용 신규 단말기 출시> 카이메타와 손잡은 패스파인더는 주로 군사·정부 기관 프로그램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Kymeta)가 아프리카 모빌리티 서비스에 나선다. 카이메타 안테나가 차량과 선박에 쉽게 장착할 수 있어 이동 중 원활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아프리카 인터넷 제공업체 인터샛(InterSAT)과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교통 통신·첨단 기술부 산하 공공법인 '아제르코스모스(Azercosmos)'와 협력해 아프리카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다. 이번 협력으로 인터샛과 아제르코스모스는 인텔셋38로 알려진 아제르스페이스-2(Azerspace-2) 위성을 사용해 카이메타 u8 안테나와 이동 중 통신을 위한 완벽한 연결 솔루션을 제공한다. u8은 카이메타의 혁신적인 사용자 정의형 전자빔 조종 기술이 적용됐다. 높이가 낮고 차량이나 선박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u8 턴키 솔루션은 다양한 터미널 설정으로 제공돼 고객이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연결을 지원한다. 이동성을 특별히 염두에 두고 제작된 세계 유일의 상업용 평판 전자 조종 안테나로 군대, 응급 구조대, 상업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하니프 카쌈(Hanif Kassam)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Kymeta)가 모바일 통신을 위한 위성 지원 5G 연결성 시연에 성공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세계 최대 통합 위성망·지상망 통신사인 인텔셋(Intelsat)과 9일(현지시간) 카이메타의 전자조종방식인 평면 u8 안테나에서 위성 지원 5G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이는 모바일 환경에서 최초로 테스트된 것으로, 인텔셋의 글로벌 통합 위성과 지상파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주요 응용 연구 기관인 프라운호퍼 집적회로 IIS 연구소가 수행한 시연회는 이동성을 위한 5G 위성 통신 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카이메타 본사에서 인텔샛과 협력해 진행됐다. 프라운호퍼 IIS는 유럽 최대 응용 연구 기관이다. 란 스티븐슨(Ryan Stevenson) 카이메타 부사장 겸 수석과학자는 "위성에서 5G 표준 개발을 위한 이 초기 테스트에 참여하는 건 차세대 연결성과 5G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서 중요한 단계"라며 "카이메타 u8 단말기에 5G 파형을 호스팅함으로써 우리 기술을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라운호퍼 IIS의 위성 지원 5G 서비스는 전세계적인 연결을 제공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330억원 투자한 위성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Kymeta)가 군사용 새로운 단말기를 출시, 군사 통신에 혁신을 제공한다. 미국 국방부의 공중, 육지, 해상, 우주, 사이버에 걸쳐 통합된 시스템 개발 및 운영을 제공하기 위한 단계별 보안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군사용 위장이 가능한 카이메타 u8 MIL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출시한다. U8 MIL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정의 전자 빔 스티어링 기술을 사용해 차량과 선박에 장착하기 쉽다. 또 낮은 프로필 단말기를 통해 군사 통신을 변환한다. 이동 중 통신(COTM)과 이동 중 네트워크(NOTM)의 기능을 제공한다. 950mp 모뎀 '아이다이렉트(iDirect)' 라우터를 통합하고, 컴텍(Comtech) 5650B, 비아샛(Viasat) CBM400 등 상용 모뎀과 같은 외부 모뎀을 지원한다. 또 혁신적인 u8 안테나 기술을 기반으로 적용 범위가 넘다. 이번 단말기는 △MIL-STD-810 △MIL-STD-461 표준을 충족하도록 설계됐으며, 하나의 소프트웨어 정의 광역 네트워크(Software-Defined Wide Area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Kymeta)가 미국 국방부의 역점추진 과제인 합동 전영역 지휘통제(JADC2)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한화시스템의 선구안이 빛을 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미국 국방부(DoD)로부터 9억5000만 달러(약 1조932억원) 규모의 합동 전영역 지휘통제(JADC2)에 대한 다중 공급사(IDIQ) 계약을 체결했다. 카이메타는 개방형 시스템 설계와 최신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개발로 JADC2(Joint All Domain Command and Control)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JADC2는 육군, 공군, 해병대, 해군, 우주군 등 각 사령부가 별도로 운용하던 정보수집 센서와 전술통제망을 단일화하기 위한 지휘 통제 연결망 시스템이다. 미국 국방부는 JADC2 구축 기반이 될 개방형 시스템 설계, 최신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9억5000만 달러(약 1조1000억원) 규모 계약 공고를 냈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25년 5월 28일까지. 카이메타는 이달 초 미국 공군의 JADC2 사업 입찰에 출사표를 던졌다. 미국 국방부는 카이메타를 포함해 입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Kymeta)가 미국 국방부의 역점추진 과제인 합동 전영역 지휘통제(JADC2) 사업 수주를 노린다. 1조원 이상 규모의 초대형 프로젝트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미국 공군의 JADC2 사업 입찰 경쟁에 뛰어들었다. 미국 국방부는 카이메타를 포함해 입찰에 참여하는 기업 30곳의 리스트를 지난 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JADC2는 육군, 공군, 해병대, 해군, 우주군 등 각 사령부가 별도로 운용하던 정보수집 센서와 전술통제망을 단일화하기 위한 지휘 통제 연결망 시스템이다. 국방부는 JADC2 구축 기반이 될 개방형 시스템 설계, 최신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9억5000만 달러(약 1조1000억원) 규모 계약 공고를 냈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25년 5월 28일까지다. 미국 국방부는 JADC2 프로젝트에 사활을 걸고 있다. 미 합동군이 땅, 하늘, 바다, 우주, 사이버의 전장환경에 모두 대처할 수 있는 다영역작전(MDO) 군대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는 가운데 JADC2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핵심 시스템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및 주한미군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상하이전기가 한국전력이 참여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태양광 발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한전의 파트너사인 현지 재생에너지 회사 마스다르와 2GW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협력하기로 했다. 시공사가 확정되며 발전소 공사도 곧 진행될 전망이다. 27일 상하이전기에 따르면 이 회사는 이달 초 마스다르와 '사우디 라운드 5 사다위(Sadawi) 발전사업' EPC(설계·조달·시공)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 북쪽 523㎞ 사업장에 설비용량 2GW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프로젝트다. 여의도 면적의 약 14배 크기인 부지에 태양광 패널 370만 개를 깔고 생산 전력을 현지에 25년간 공급한다. 사업비는 1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마스다르와 한전은 작년 11월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수주했으며, 전력판매계약도 체결했다. 이어 EPC 사업자인 상하이전기의 참여로 발전소 공사가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가동 후 연간 60억 kWh 이상의 전기를 생산해 약 70만 가구의 전력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300만 톤(t)이 넘는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우레이 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와 패션 브랜드 레이벤(Ray Ban)이 새로운 디자인의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다. 메타는 실시간 인공지능(AI) 번역 기능을 정식 출시하는 등 스마트 안경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레이벤은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Skyler Shiny Chalky Gray)'라는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다. 메타-레이벤은 해당 스마트 안경이 뉴트럴 톤에 포인트 컬러를 더한 캣아이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실내외 어디에서나 착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메타에 따르면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연한 회색의 안경 프레임'과 변색 기능을 갖춘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가 결합됐다. 또한 1200만 화소 광각 카메라와 오픈이어 스피커 2개, 마이크 5개, 완충 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됐다. 무게는 50그램(g)이다.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는 실내에서는 투명하게, 실외에서는 검정색으로 변해 사용성을 높였다.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핀란드, 노르웨이, 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