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구글 웨이모를 비롯한 자율주행 기업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상대로 단체 행동에 나섰다. 트럭 등 대형 자율주행차 사업을 허용하고 관련 제도를 확립해달라고 촉구했다. [유료기사코드] 웨이모 등은 지난 27일(현지시간)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주 주지사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개 서한을 보냈다.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오로라·코디악 로보틱스, 물류 회사 UPS·DHL·우버프레이트를 비롯해 각 카운티 상공회의소 등 34개 관계 기관이 동참했다. 현행법상 캘리포니아주에서 무게가 1만1파운드 이상인 자율주행차는 도로에서 시범운행 등을 할 수 없다. 캘리포니아주 차량국(DMV)은 2015년 자율 트럭 운행을 금지했다. 자율주행차 산업 확대 기조에 맞춰 2019년 1만1파운드 미만의 배송용 자율주행 경차는 도로주행을 허용하는 등 일부 규제를 완화했지만 여전히 대형 자율주행 트럭 테스트는 불가하다. 캘리포니아주와 달리 텍사스, 애리조나, 뉴멕시코, 루이지애나, 네바다, 콜로라도주 등 미국 내 주요 자율주행 사업 거점 지역은 자율주행 트럭도 허용하고 있다. 공동 서한에 이름을 올린 업계 관계자들은 캘리포니아주가 승용차 기반의 로보택시에는 강점이 있지만 장기적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차그룹이 투자한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오로라가 상장을 앞두고 수익성 확대 전략을 공유했다. 기존 자율주행 트럭에 로보택시까지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고객사 확보에 사활을 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스털링 앤더슨 오로라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지난 30일(현지시간) 개최된 공개 행사 '오로라 일루미네이티드(Aurora Illuminated)'에서 "자율주행 트럭을 통해 수익성 있고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다"며 "이는 로보택시의 추가 개발에 자금을 지원하고 하드웨어 비용을 낮춰줄 것"이라고 자신했다. 오로라 일루미네이티드는 고객사와 미디어, 애널리스트, 투자자, 정부 관계자 등을 초청해 회사의 기술력을 뽐내는 행사다. 미국 텍사스주 팔머 소재 사우스 댈러스 터미널에서 열린 행사 참석자들은 오로라의 자율주행 트럭을 타고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시스템 '오로라 드라이버'를 체험했다. 오로라는 오는 2023년 말 완전 자율주행 트럭을 출시하고 1년 뒤인 2024년 로보택시를 출시할 계획이다. 차량 호출·공유 사업의 경우 우선 고수익을 내는 상업 비즈니스 중심의 항공 분야에 초첨을 맞춘다. 자율주행 트럭은 상업화와 수익성 확보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차그룹이 투자한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오로라가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기업가치 15조원을 목표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통한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로라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스팩 리인벤트 테크놀로지 파트너스 와이(Reinvent Technology Partners Y)와 합병 계약을 맺었다. 오로라는 이번 거래를 통해 20억 달러(약 2조304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합병기업의 가치는 130억 달러(약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했다. 두 회사는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합병 후 4년간 양측 설립자 주식에 대해 보호예수(락업)를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리인벤트 테크놀로지는 링크트인 공동창업자 레이드 호프만과 온라인 게임회사 징가 설립자 마크 핀커스가 이끄는 회사다. 현재 호프만은 오로라 이사회에 참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로라 공동 창립자인 크리스 엄슨 최고경영자(CEO)는 공식 성명을 통해 "우리의 목표는 상품과 사람의 이동을 보다 공평하고 생산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결정적으로 훨씬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리인벤트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성 인터넷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인도에서 '박리다매'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용자풀을 빠르게 늘리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일단 스타링크는 인도 서비스 출시를 위한 승인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이코노믹타임즈(ET)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인도 서비스 출시 초기 월 사용료를 10달러(약 1만4000원) 미만으로 책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스타링크의 미국 월 사용료가 약 100달러인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코노믹타임즈는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출시 초기에 이용자를 1000만명까지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박리다매 정책을 꺼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월 사용료가 낮더라도 이용자풀을 빠르게 확장한다면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에 이어 원웹과 릴라이언스 지오, 글로벌 스타 등의 위성 통신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파격적 가격 정책으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스타링크의 월 사용료가 저렴하게 책정되더라도 수신 접시 등 키트의 가격이 접근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나트리온(Natrion)'이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리막 판매를 개시한다. 첫 미국산 활성 분리막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자립과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나트리온은 27일(현지시간) 자사의 첫 번째 플래그십 활성 분리막 '젠-1(Gen-1)'을 공식 출시하고 조건부 선주문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 업스테이트 지역에 위치한 생산시설에서 대량 생산 준비를 마치고 기가스케일 규모 양산을 진행 중이다. 젠-1 활성 분리막은 회사가 자체 개발한 특허기술인 리튬 고체 이온 복합체(Lithium Solid Ionic Composite, LISIC) 기술을 적용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국산 배터리 분리막이다. 기존 분리막이 단순히 전극 간 물리적 격리와 액체 전해질 보유 역할만 했던 것과 달리, 나트리온의 활성 분리막은 액체 없이도 이온 전달이 가능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한다. 나트리온이 공개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젠-1 활성 분리막이 적용된 리튬이온 파우치셀은 동일 조건에서 기존 분리막 대비 이론 용량을 10~15% 더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에너지 밀도가 크게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