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한미약품의 파트너사인 미국 제약업체 오가논(Organon)이 아르헨티나에 진출하며 남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한미약품은 한국오가논의 코자엑스큐를 위탁 제조하고 있다. 코자엑스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개발된 의약품이다. 23일 인포배(Infobae)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오가논이 아르헨티나 시장에 1000만 달러(약 140억원)를 투자한다. 아르헨티나 시장에 피임약 공급에 나설 예정이다. 오가논은 매년 세계 피임의 날(International Contraception Day)을 맞아 피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캠페인을 펼치는 등 피임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60개 이상의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오가논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주에 있는 도시 필라(Pilar)에 품질 관리 연구소를 운영하며 70명의 직원을 고용할 전망이다. 직원의 54%는 여성으로 채운다. 지난해 남미에 진출한 오가논이 아르헨티나에서도 영향력 확대를 위해 힘쓰는 모양새다. 오가논이 지금까지 남미 시장에 투자한 금액은 4000만 달러(약 560억원)에 달한다. 오가논은 앞서 지난 5월 중순 포르투갈 리스본에 공유 서비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미약품의 파트너사인 미국 제약업체 오가논(Organon)이 포르투갈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유럽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 거점을 삼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오가논은 포르투갈 리스본에 공유 서비스 센터를 열기 위한 준비 작업을 펼치고 있다. 공유 서비스 센터는 올해 중반부터 운영을 시작할 전망이다. 내년에는 200명가량의 풀타임 직원이 이곳에서 일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지난해 6월 머크(MSD)에서 분사되면서 설립된 오가논은 지난해 5000만 유로(약 667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올해는 2.5% 정도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오가논은 지난해 9월 포르투갈에 첫발을 디디며 일찌감치 해외 시장 공략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현재는 70명 정도의 직원이 포르투갈에서 일하고 있다. 리스본에 들어설 공유 서비스 센터는 재무, 인적 자원, 조달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오가논의 국제 규모의 사업 운영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현재 오가논은 이곳에서 일할 사람을 뽑기 위한 채용도 실시하고 있다. 20여명의 사람들이 채용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50여개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 역
[더구루=김다정 기자] 한미약품의 파트너사인 오가논이 캐나다에서 피임 임플란트 '넥스플래논'(Nexplanon)을 출시한다. 오가논은 8일(현지시간) 오는 10일부터 캐나다 퀘백에서 넥스플래논을 판매한다고 발표했다. 퀘백주는 이번에 비보험 의료 혜택 프로그램, 재향 군인 문제를 포함해 공공처방집에 넥스플래논을 등재했다. 앞서 2020년 캐나다 보건부는 넥스플래논을 승인한 바 있다. 프랑스 르둑 캐나다 산부인과 의사는 "계획되지 않은 임신은 여전히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며 "이번 발표로 더 많은 환자가 의도하지 않음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형 피임약에 대한 더 많은 선택권과 접근성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넥스플래논은 최대 3년 동안 임신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게스틴 전용 호르몬 임플란트다. 다만 HIV/AIDS를 포함한 성병(STI)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지 못한다. 임플란트는 팔의 피하로 삽입된다. 특히 넥스플래논은 여성건강 독립회사로 출발한 오가논의 성장세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오가논은 올해 6월 초 머크로부터 분사했다. 오가논은 독립 후 첫 분기에 약 16억 달러(약 1조8845억원)의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넥스프래논과 불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최대 전기차 충전소 기업 'EV고(EVgo)'가 약 31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EV고는 29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금융기관과 2억2500만 달러(약 3100억원) 규모 대출 약정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PF는 일본 대표 금융기관인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이 주관했다. 공동 북러너(투자자 모집기관)로 몬트리올은행, 캐나다왕립은행, ING은행이 참여했다. EV고는 조달 자금으로 북미 지역 1500개 이상 고속 충전소를 확충할 방침이다. EV고의 바다르 칸 CEO는 "신규 자금 유치는 회사의 인프라 확충을 가속화해 전기차 운전자에게 고속 충전 접근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0년 설립된 EV고는 미국 최대 전기차 고속 충전 네트워크로 100% 재생 에너지로 구동된다. 북미 40여개 주 1100개 이상의 고속 충전소를 운영 중이다. 소매업체, 식료품점, 레스토랑, 쇼핑센터, 주유소, 승차공유, 자율주행 등 기업과 협력해 충전 인프라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의 주요 집적회로(IC) 설계 업체들이 하반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을 크게 줄이고 있다. 관세로 인한 수요 증가 효과가 종료되고, 스마트폰과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등의 수요가 예상보다 미미한 회복을 보이는데다 신대만 달러(NDT) 강세에 따른 지속적인 압박이 이어지자 주문 물량을 대폭 축소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3분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량이 2분기 대비 20~30% 감소했다. 이로 인해 성숙 노드 파운드리 시설의 가동률은 상반기 약 70%에서 하반기 60%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 미국이 8월 1일부터 전 세계적으로 상호 관세를 시행함에 따라 웨이퍼 파운드리의 초기 주문 증가 모멘텀은 종료되고, 글로벌 소비재 시장의 지속적인 약세로 인해 성숙 노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약화됐다. 신대만 달러(NTD)의 급격한 강세도 대만 반도체 산업, 특히 파운드리 업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기관 분석과 업계 데이터에 따르면 NTD가 1% 상승할 때마다 파운드리 매출 총이익률은 일반적으로 0.3%에서 0.5% 감소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기업 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