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더블유스코프(W-SCOPE)의 프랑스 분리막 공장 설립 프로젝트가 첫 삽을 뜨기 전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부지 후보군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무사히 착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노르주 젠라인(Jenlain) 코뮌 농부 단체 '영 파머스(Young Farmers)'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더블유스코프 공장 설립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젠라인은 온나잉(Onnaing) 코뮌과 함께 공장 부지로 거론되는 지역이다. 영 파머스 소속 회원들은 약 50대의 트랙터를 앞세워 시청을 향해 행진했다. 트랙터 전면에는 '나는 노동자가 아닌 농부가 되고 싶다', '우리는 배터리를 먹지 않는다' 등의 슬로건을 내걸었다. 다만 주민들이 공장 설립 프로젝트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생산시설이 농경지에 들어서는 것에 반대의 뜻을 표명하고 있다. 영 파머스는 농경지가 아닌 근처 황무지 등을 이용하라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분리막 공장 건설로 인해 생활 터전인 농지와 주거 환경이 파괴될 것을 우려했다. 젠라인 주민들은 글로벌 청원 플랫폼인 '체인지(Change.org)'에 '젠라인 공장 설립 반대'라는 제목의 청원도 진행하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더블유스코프(W-SCOPE)의 프랑스 분리막 공장 설립 프로젝트가 가시화되고 있다. 조만간 부지 위치를 확정하고 착공할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내달 6일 북부 노르주 케르시테인(Quercitain) 코뮌의 정부 커뮤니티 시설에서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장 관련 공개 설명회 겸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주민들의 궁금증과 우려를 해소시킨다는 방침이다. 공청회를 거쳐 젠라인(Jenlain)과 온나잉(Onnaing) 코뮌 중 부지를 확정한다. 온나잉 코뮌에는 토요타의 프랑스 자동차 조립 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더블유스코프는 프랑스 화학기업 알테오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용 분리막 공장을 짓는다. 총 6억 유로(약 8401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며, 오는 2026년 양산 목표다. 신공장은 50헥타르 부지에 들어서며 최대 16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알테오는 분리막용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프랑스 기업이다. 고순도 알루미나는 전기차 배터리 주요 소재로 안전과 직결된 분리막 코팅제의 재료로 쓰인다. 알테오의 부슈뒤론(Bouches-du-Rhône) 공장에서 생산한 특수 알루미나를 가져와 합작 공장에서 분리막에 통합하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더블유스코프(W-SCOPE)가 프랑스 정부의 러브콜에 화답, 현지에 이차전지 분리막 공장을 설립한다. 헝가리에 이어 프랑스에도 생산 거점을 구축, 유럽 전기차 배터리 소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프랑스 산업부는 20일(현지시간) 더블유스코프, 화학기업 알테오와 함께 유럽 최대 규모 전기차 배터리용 분리막 생산 공장 건설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총 6억 유로(약 8401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며, 오는 2026년 양산 목표다. 구체적인 공장 위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내년 초 확정한 뒤 공개할 계획이다. 다만 산업부가 이 공장에서 생산된 분리막이 미래의 프랑스 배터리 기가팩토리에 공급될 것이라고 밝힌 것을 감안했을 때 북부 오뜨 드 프랑스(Hauts-de-France) 지역이 유력하다. 오뜨 드 프랑스 지역은 최근 새로운 '유럽 배터리 밸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스텔란티스-ACC 합작공장 △엔비전AESC-르노 합작공장 △베르코어 공장 등 3개의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가기팩토리가 들어설 예정이기 때문이다. 총 투자액은 25억 유로(약 3조5005억원)에 달하며 2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알테오는 분리막용
[더구루=정예린 기자] 더블유씨피(WCP)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러브콜을 받은 가운데 내달 본격 협상에 돌입한다. 현지 화학기업과 함께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 유럽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16일 모회사 더블유스코프(W-SCOPE)에 따르면 더블유씨피는 오는 10월 프랑스 산업부, 알테오와 함께 2차전지 소재 산업 단지 구축 프로젝트에 관한 3자 간 투자 협약을 진행한다. 조건 등을 검토한 뒤 빠른 시일 내에 최종 계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프랑스 정부는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한 대규모 2차전지 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2차전지 분리막 생산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더블유씨피에 해당 산업 단지 입주를 제안했다. 함께 언급된 알테오는 분리막용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프랑스 기업이다. 고순도 알루미나는 전기차 배터리 주요 소재로 안전과 직결된 분리막 코팅제의 재료로 쓰인다. 프랑스는 정부 주도로 전기차와 2차전지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올해 초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리튬 등의 금속 소재의 공급망을 확대하기 위해 10억 유로를 조달·투자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올해부터 5년 동안 300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에너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그리스가 한국의 잠수함과 전투기, 군용 차량까지 아우르는 '방산 풀 패키지'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 장보고-III(KSS-III) 잠수함부터 유무인복합운용체계(MUM-T), 군용 차량 공동까지 육·해·공 전력 전반에서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폴란드와 루마니아 등에서 인정받은 'K방산'이 유럽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이카티메리니(Ekathimerini)와 아미나(AMYNA) 등 그리스 외신에 따르면 그리스 당국은 한화오션의 KSS-III 잠수함 구매를 모색하고 있다. 한화와 협상을 시작하는 단계로 그리스는 품질을 호평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부 조건으로 현지 조선소를 활용하고 현지 방산업체의 참여율 25%를 보장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리스 당국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MUM-T 개발 협력도 희망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한국형 KF-21 전투기와 함께 운용할 무인기 개발을 추진하며 로열 윙맨(Loyal Wingman)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거론됐다. 로열 윙맨은 유인 전투기의 지휘 아래 정찰과 적 대공사격 흡수 등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전투기다. 호주 공군의 F/A-18 전투기, F-35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글로벌웨이퍼스(GlobalWafers)가 애플의 미국 반도체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참가한다. 애플의 6000억 달러(약 830조원) 규모 미국 제조업 투자 프로그램(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MP)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웨이퍼스 미국법인(GlobalWafers America LLC, GWA)은 7일(현지시간) 애플과 12인 실리콘 웨이퍼 공급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GWA는 계약에 따라 텍사스 셔먼공장에서 생산된 12인치 실리콘 웨이퍼를 애플의 반도체 생산 파트너사에 공급한다. 웨이퍼 생산 원재료는 코닝 헴록 세미컨덕터 등 미국 내 기업에서 공급받는다. GWA 텍사스 셔먼공장은 지난 5일 공식 가동을 시작했으며, 구축에는 35억 달러(약 4조8500억원)가 투입됐다. 애플에 따르면 GWA에서 생산되는 웨이퍼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TSMC 공장과 텍사스 셔먼에 위치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공장으로 공급된다. 해당 공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미국과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될 아이폰·아이패드용 칩을 생산한다. 이번 계약으로 애플은 향후 4년간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