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씨젠이 글로벌 무대에서 일상적인 코로나19 PCR 검사 알리기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한다. 진단 테스트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하겠다는 계획이다. 25일 미국 온라인매체 지놈웹(GenomeWeb)에 따르면 씨젠은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코로나19, 인플루엔자A·B,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에 대한 일상적인 PCR 테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생활 속의 PCR(In-Life PCR)이라고 이름을 붙인 해당 캠페인은 공중보건 예방조치를 완화하고 여행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선제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아 각국 정부가 방역 조치를 완화하는 것에 따른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씨젠은 베트남에서 테스트 센터 랩하우스(LabHouse)와 손잡고 호치민과 하노이에서 차량호출 드라이버를 대상으로 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또 전 세계 다른 연구소들과 학교, 직장, 요양원 등 대면이 필수적인 시설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시작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또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는 진단시약 Allplex SARS-CoV-2/F
[더구루=김형수 기자] 씨젠의 협력업체인 미국 바이오 기업 바이오라드(Bio-Rad)가 미국 콜로라도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진단 솔루션업체 바이오데식스(Biodesix)와 손잡고 종양 바이오마커 개발 및 상업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라드는 바이오데식스와 협력해 새로운 미세잔존질환(MRD) 테스트 개발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번 개발 프로젝트는 미국 메모리어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와 맺은 마스터 후원 연구 계약(MSRA)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메모리어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와 바이오데식스가 체결한 계약에는 암 치료 개선을 목표로 하는 다른 진단 테스트에 대한 향후 개발도 포함돼 있다. 종양 바이오마커 개발 및 상업화를 목적으로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인공지능(AI), 머신러닝 역량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초기에는 새로운 ddPCR 플랫폼인 바이오 라드 QX600 ddPCR 시스템 상에서의 고감도 분자 MRD 테스트 개발을 위해 힘을 합칠 예정이다. 씨젠은 지난해 7월 기업 바이오라드와 분자진단 시약과 장비에 대해 미국 FDA 공동 승인 및 유통 계약을 체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바이오 기업 바이오라드(Bio-Rad)가 씨젠과의 협업이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그 중요성을 높이 평가했다. 씨젠은 미국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라드는 최근 개최한 투자자의 날(Inverstor’s day)에서 씨젠과 손잡고 펼치는 사업이 진단 시장 전략의 핵심으로 20억 달러(약 2조5260억원)에 달하는 가치를 지닌 기회라는 입장을 밝혔다. 북미 시장은 전 세계 체외진단 시장의 37%가량을 차지하는 주요 지역으로 꼽힌다. 씨젠은 지난해 7월 바이오라드와 분자진단 시약과 장비에 대해 미국 FDA 공동 승인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가을 양사의 협업에 따른 첫 번째 제품이 임상 시험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씨젠의 미국 현지 법인 씨젠 테크놀로지스(Seegene Technologies)는 미국 시장에 최적화된 제품의 연구 및 개발 등을 수행하는 본격적인 진단회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진단 업계 베테랑 리차드 S. 크리거(Richard Creager)를 CEO로, 글렌 한센(Glen Hansen) 전 미니애폴리스 헤네핀 카운티 메디컬 센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법원이 글로벌 바이오 진단기기 업체 바이오라드(Bio-Rad)가 자신이 보유한 특허를 침해했다며 싸이티바(Cytiva Sweden AB)가 제기한 소송에서 바이오라드의 손을 들어줬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The U.S. District Court for the District of Delaware)은 바이오라드가 싸이티바의 단백질 정제 관련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바이오라드가 예비 단백질 정제 시스템인 NGC시스템을 제조하고 판매하면서 자신들이 보유한 미국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싸이티바 측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이다. 바이오라드는 해당 특허가 발행된 지난 2017년 7월 18일 이후 자신들의 특허가 직접적으로 침해당했다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약식 판결(Summary Judgment)을 내리는 것이 정당하고 주장했는데, 재판부가 바이오라드 측의 의견을 수용했다. 콤 F. 코놀리(Colm F. Connolly) 판사는 의견문을 통해 싸이티바가 특허를 직접적으로 침해한 바이오라드의 특정 사례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했다. 해당 특허는 '시스템 내에 있는 적어도 두
[더구루=김형수 기자]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이 개발한 이동형 현장 분자진단 검사실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이 미국에 진출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심장병리학 솔루션 제공업체 카디오패스(CardioPath)는 씨젠의 모바일 스테이션을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하루 1만5000건의 코로나19 진단 검사 역량을 보유하게 됐다. 씨젠의 모바일 스테이션 한 곳에서 하루 최대 7500건의 검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카디오패스는 씨젠의 모바일 스테이션 2개소를 확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씨젠은 모바일 스테이션이 일상 검사에 획기적인 방역 방법을 제시하는 신개념 이동형 현장 검사실이라고 소개했다. 씨젠만의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형 병원이나 연구소 등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 학교나 공항, 사업장, 군부대, 각종 행사장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 어디에나 설치해 현장에서 PCR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것이다. 오염방지와 감염관리를 위해 ‘생물안전작업대(Bio safety cabinet) Class II Type A2’ 장비와 함께 음압 시설도 갖추고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씨젠만의 독보적인 원플랫폼 검사 시스템을 갖추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이 오미크론 변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한 코로나19 진단 시약 수출 규모를 확대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씨젠은 이번달 이스라엘에 340만명분의 코로나19 진단 시약을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달 29일 전세기를 통해 170만명분의 코로나19 진단시약을 이스라엘에 수출한 데 이어 추가로 수출하는 것이다. 이달 공급될 예정인 코로나19 진단시약 물량이 모두 이스라엘에 전달되면 씨젠이 이스라엘에 수출하는 코로나19 진단시약은 510만명분을 기록하게 된다. 이스라엘 인구가 약 922만명(2020년 기준)인 걸 감안하면 이스라엘 전체 국민의 약 55%가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물량을 씨젠이 공급하는 셈이다.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이 일어나고 있는 이스라엘에서는 확진자 숫자가 가파르게 늘어나면서 코로나19 검사 역량이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다. WHO 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3000명대를 유지했던 하루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는 지난 3일 11만2000여명, 지난 10일 28만8000여명으로 급증했다. 게다가 독감과 코로나19에 동시에 감염된 플루로나(Flurona)
[더구루=오소영 기자]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이 전세기를 활용해 캐나다에 진단키트 34만 회분을 전달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며 증가한 검사 수요에 대응한다. 씨젠은 "코로나19 검사 수요가 급증하는 캐나다를 지원하고자 13일 전세기를 띄워 진단키트 34만 회분을 전달했다"고 17일 밝혔다. 캐나다는 지난달부터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작년 11월 말 3000명대 안팎이던 확진자 수는 지난달 3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3만1386명이 추가로 발생해 누적 확진자는 272만141명에 달했다. 캐나다 공중보건국은 현 추세가 지속된다면 수주일 내 신규 환자가 하루 10만~25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코로나19가 급속도로 번지며 씨젠도 지원에 나선 것이다. 씨젠은 최근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동시진단 키트에 대한 긴급사용승인을 받았다. 승인 제품은 'Allplex™SARS-CoV2·FluA·FluB·RSV Assay'로 한 번의 검사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형 △감기와 중증 모세기관지폐렴을 유발하는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SV) A, B형 등 5종의 바이러스를 검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이노룩스(Innolux)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이노룩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디스플레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미래차 시대의 핵심 기술 공급사로서 입지를 다지는 한편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에서 글로벌 전장 경쟁의 주도권을 거머쥔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룩스는 지난 7일(현지시간) 대만 이노룩스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IPO) 안건을 통과시켰다. 향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까지 마무리되면 이는 이노룩스의 첫 해외 IPO 사례가 된다. 홍진양 이노룩스 회장은 “올해는 이노룩스 청사진인 '666계획'에서 ‘돌파구적 변혁(突圍轉型)’ 2단계 진입하는 중요한 해”라며 “이번 상장을 통해 카유엑스의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우수 인재 유치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유엑스는 △스마트콕핏 △증강현실(AR) 헤드업 디스플레이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특화된 자회사다. 대표 제품으로는 △9.6인치 마이크로LED AR 전면유리 반사형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채굴기업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이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엔지(ENGIE)와 전력 공급 계약을 맺었다. [유료기사코드] 사이퍼마이닝은 엔지와 미국 텍사스주(州) 소재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계약을 맺었다고 14일 밝혔다. 사이퍼마이닝은 엔지 풍력 발전소에서 최대 300㎿(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사이퍼마이닝은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 제조업체인 네덜란드 비트퓨리그룹의 미국 자회사다. 비트퓨리는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사이퍼마이닝은 최근 고성능컴퓨팅(HPC) 호스팅을 위한 산업용 데이터센터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