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핵융합 에너지 기업 BLF(Blue Laser Fusion)가 신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BLF는 오는 2030년까지 상업용 핵융합 원자로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BLF는 28일 일본 최고 벤처 캐피털인 JAFCO 그룹과 SPARX 그룹이 참여한 첫 번째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총 2500만 달러(약 320억 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BLF는 지난 201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나카무라 슈지 교수가 2022년 설립한 핵융합 에너지 기업이다. 전력망용 에너지 생성을 위한 레이저 융합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특허 출원 건수는 200건이 넘는다. BLF의 레이저 기술은 빠른 반복 속도를 가진 메가 줄 펄스 에너지 레이저를 통해 상업용 핵융합을 달성할 수 있다. BLF는 오는 2025년에 첫 번째 프로토타입을 완성한 후 2030년까지 상업용 핵융합로를 시연할 계획이다. BLF는 또한 지속 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운영을 위해 안전한 수소·붕소 연료인 ‘HB11’을 도입할 계획이다. HB11 연료는 방사능과 유해한 중성자 대신 안전한 헬륨 원소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풍부한 광물로 평가 받
[더구루=오소영 기자] 사우디 왕립과학기술원(KACST)이 서울반도체의 자회사 서울바이오시스와 발광다이오드(LED) 연구에 협력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서울바이오시스와 공동 연구 거점을 만들고 LED 반도체 기술 확보에 나선다. 19일 사우디 국영 통신사 SPA(Saudi Press Agency)에 따르면 KACST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사우디 투왈시에서 열린 '반도체의 미래 포럼(Future of Semiconductors Forum) 2023'에서 서울바이오시스와 LED 연구소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서울바이오시스의 LED 기술을 활용해 설계·생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KACST는 1977년 설립된 모하메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사우디 왕세자 겸 총리의 직할기관이다. 과학기술 연구와 산·학·연 협력을 추진하고 사우디의 혁신을 주도한다. KACST는 사우디의 미래를 이끌 첨단 기술 중 하나로 반도체를 주목하고 있다. KACST는 16개 사우디 대학과 협력해 반도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3개 대학과의 연구에서 반도체 제조에 성공했다.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고자 120명이 넘는 엔지니어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술 교육도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광 반도체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는 볼보의 신형 전기차 SUV EX90에 프리미엄 자연광 조명기술 ‘썬라이크(SunLike)’가 채택됐다고 18일 밝혔다. 자연광 그대로의 건강한 빛, 썬라이크 기술을 자동차에 적용한 첫 사례다. 썬라이크는 자연 빛을 그대로 재현한 인체의 24시간 생체리듬을 지키는 건강한 빛 기술이다. 서울반도체가 세계 최초로 개발 양산 중이다. 서울반도체는 최근 5년 간 미국 하버드 대학, 스위스 바젤대, 한국 서울대와 임상실험을 통해 햇빛 스펙트럼 '썬라이크' 조명 사용으로 근시 개선, 세포재생, 기억력 향상, 자연색 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단 피젯 볼보 컬러 & 소재 책임자는 “햇빛과 유사한 썬라이크 LED의 스펙트럼은 볼보 EX90의 천연 소재와 고급 목재 데코를 색상 왜곡 없이 더욱 선명하게 돋보이게 한다”라며 “이번 썬라이크 LED 도입은 고객에게 새로운 프리미엄 자동차 실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혁신기술 도입의 또 다른 사례다”라고 설명했다. 썬라이크는 ‘볼보 EX90’의 실내조명 전체에 적용됐으며, 색상과 질감표현이 중요한 이탈리아 폼페이 유적지 벽화 등 세계적인 대형 박물관과 미술관
[더구루=오소영 기자] 케이트 브라운 미국 오리건 주지사가 국내 반도체 회사들과 회동했다. '반도체 산업 육성법'(CHIPS) 발효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진출이 급물살을 타면서 오리건주도 유치 경쟁에 가세했다. 20일 오리건 주정부에 따르면 브라운 주지사는 최근 국내 기업을 초청해 원탁회의를 열었다. 삼성전자와 광반도체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 반도체 전공정 장비 회사 주성엔지니어링, 반도체 검사장비 업체 엑시콘, 반도체 세정·코팅 전문기업 코미코 등이 참석했다. 브라운 주지사는 오리건주의 경쟁력을 홍보하고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진출을 요청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최대 520억 달러(약 74조원)의 보조금을 제공하는 CHIPS에 서명하고 공급망 확장에 나섰다. 새 법안이 발효되자 마이크론과 인텔 등 반도체 기업들의 투자가 쏟아졌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이어 테일러시에 170억 달러(약 24조원)를 들여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향후 20년간 텍사스에서 공장 9곳 신설도 살피고 있다. 오리건 주정부는 CHIPS 발효에 발맞춰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브라운 주지사는 지난달 공식
[더구루=최영희 기자] 서울반도체는 연결기준으로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 줄어든 2845억 원이라고 10일 밝혔다. 영업손실은 70억 원을 기록했다. 1분기 매출액은 지난 1월에 제시한 가이던스를 하회했다. 주요 요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악화, 코로나19로 중국, 베트남 공장 생산 차질, 전사 매출의 54%를 차지하는 IT부문의 수요 급감이다. 영업이익 역시 전방산업 수요의 급감에 따른 자회사의 실적 악화 영향으로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의 손실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3100억 원에서 33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최대 15% 증가한 수치를 제시했다. 전방산업 수요의 불확실성은 연말까지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서울반도체의 자동차 부문은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액 상승이 예상되며, IT 부문은 TV향 미니 LED의 고객 수 확대가 예상되어 2분기부터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서울반도체는 특허를 침해한 글로벌 유통기업인 ‘에이스 하드웨어(Ace Hardware)’와 ‘콘래드 일렉트로닉(Conrad Electronic) 플랫폼의 유통업체를 상대로 미국과 유럽 전역에서 각각 특허 소송이 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서울반도체는 미국 버지니아주 동부법원과 독일 뒤셀도르프 법원에 필립스 브랜드 TV, 필라멘트 LED 전구, 프리미엄 조명을 판매하고 있는 ‘에이스’와 ‘콘래드 플랫폼의 유통업체’를 상대로 판매 금지와 이미 판매된 제품들의 회수 폐기를 요청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에는 서울반도체의 ‘고품질 색재현 형광체’ 기술과 ‘와이캅(WICOP)’ 기술이 사용됐다. 서울반도체는 이미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해당 특허에 대해 다수의 판매금지 소송에서 승소 한 바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9월, 독일 뒤셀도르프 지방법원은 서울반도체 특허를 침해한 필립스 브랜드 조명 회사의 필라멘트 LED 제품에 대해 판매금지 및 침해품 회수 및 파괴를 명령하는 판결을 내렸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 법원과 뉴저지 법원은 2019년과 2021년 와이캅 특허 기술을 침해한 필립스 TV와 13개 자동차 조명 브랜드에 대해 영구적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는 다가오는 식목일을 맞아 제주도 서귀포시 보롬왓 식물원에서 자연 빛 썬라이크(SunLike) 조명을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연 빛 체험 공간’을 국내 처음으로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보롬왓은 매년 35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제주도에 위치한 실내외 대규모 ‘같이의 가치 농업’을 추구하는 식물원이다. 서울반도체는 새롭게 오픈한 보롬왓의 식물재배사 실내 공간에 ‘사람과 식물 모두에게 이로운 조명’이라는 콘셉트로 파트너십 마케팅을 진행 한다. 최근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로 야외 경작의 변수가 커짐에 따라 실내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실내 농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실내 농업과 스마트팜 기술이 새로운 트렌드로 급 부상하며 미래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조성하는 필수 요소로 식물 생장용 LED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식물 생장과 관련된 비즈니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서울반도체의 썬라이크 기술은 작은 LED 칩 하나에 자연의 빛을 그대로 축약해 놓은 조명 혁신 기술 이다. 실내에서 썬라이크 조명 사용시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는 학생들의 기억력 향상과 근시 예방이 입증된 SunLike(썬라이크) 조명이 조명 전문기업 ㈜에스씨엘(SCL)의 인간 중심 조명(HCL)에 적용되어 건설사용 실내조명으로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에스씨엘의 인간 중심 조명에는 서울반도체가 30여 년간 축척해온 LED(발광다이오드) 혁신 기술이 적용됐다.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에너지’, ‘자연광’ 2가지 모드로 선택이 가능하다. ‘자연광’ 모드는 서울반도체의 자연 빛 재현 기술인 ‘썬라이크’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근시 예방과 숙면을 도와주고 학생들의 기억력을 높여 준다. ‘에너지’ 모드는 고효율 백색 LED 광원이 적용됐다. 이로써 자연빛과 에너지 절감이라는 이점을 하나로 합쳤다. 에스씨엘은 30여 년 간 국내 50대 건설사에 거주용 조명을 공급하며 상업·고급 주거형 인간 친화적 조명을 리딩하고 있는 국내 조명 전문 기업이다. 에스씨엘 관계자는 “일반 주거용 조명과의 차별화 제품 출시를 위해 조명의 최고 품질 인증인 UL다이아몬드를 획득한 서울반도체의 썬라이크 기술을 제품에 적용하게 됐다” 라며 “자연빛과 효율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는 연결기준으로 2020년 대비 연간 12.8% 성장한 역대 최대 매출 1조 3001억 원, 영업이익은 664억 원 달성했다고 10일 발표했다. 4분기 매출은 3133억 원이다. 통상적인 계절적 요인과 전방산업의 SCM 이슈에도 불구하고 4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지만, 글로벌 원자재 가격 및 물류비 상승 등의 비용 증가와 자회사인 서울바이오시스 부분의 실적 부진 영향으로 32억 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서울반도체는 글로벌 선도 기술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고객 다각화 및 사업영역 확대를 통해 매출 성장을 지속 견인할 계획이다. 우선 와이캅(WICOP)은 와이어(Wire) 없이 바로 실장 하는 혁명적인 구조 기술이며 서울반도체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와이캅 없이는 차세대 기술로 인정받은 미니 LED는 물론 마이크로 LED를 생산할 수 없다. 특히 서울반도체 마이크로 LED의 신규 공법인 적녹청 원칩(RGB one chip) 양산 방식은 대형 TV는 물론 웨어러블(Wearable) 기기와 가상·증강현실(VR·AR) 기기에 적용되는 핵심기술이다. 글로벌 탑 티어(Top tire) IT 고객뿐 아니라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는 2021년 4분기 잠정 매출액(연결기준) 3130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2021년 연간 매출액은 1조 3005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12.8% 상승한 수치다. 서울반도체는 지속적인 거래선 다각화 및 자동차 부문의 견조한 실적으로 지난 3분기 제시한 3100억 원과 3300억 원의 매출 가이던스를 충족했다. 2021년 4분기는 통상적인 계절적 요인 외, 원자재·반도체 수급 이슈에 따른 생산 축소와 전년 동기 대비 40%대 수준으로 오른 LCD 패널 판가 영향으로 TV, 모니터 등 전반적인 글로벌 IT 수요가 약세였지만,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한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서울반도체는 미래 혁신 기술을 다수 보유함에 따라 2022년 연간 매출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반도체는 지난 5일에 진행된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 2022’에 참가해 미래 혁신 기술을 대거 선보였다. 고부가 시장인 자동차 부문 LED 기술 중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외부 차량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 핵심 기술인 ‘와이캅 엠씨(WICOP mc)’, ‘와
[더구루=최영희 기자]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는 자연광 LED '썬라이크' 기술을 일본 학습가구 회사인 고이즈미 퍼니테크에 공급했다고 2일 밝혔다. 고이즈미 퍼니테크는 프리미엄 조명회사인 고이즈미와 마찬가지로 고이즈미 그룹의 일본 전통 학습 가구 전문 업체다. 서울반도체는 고이즈미 조명 회사에 썬라이크를 지속 공급 중이다. 썬라이크 기술은 2020년 7월 고이즈미의 자녀방 조명, 거실 조명에 이어 이번에는 최적의 학습, 독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데스크 라이트에 적용 됐다. 썬라이크 기술은 자연광의 스펙트럼 곡선을 그대로 재현한 서울반도체만의 세계 최초 LED 솔루션이다. 자연광과 가장 유사한 조명 기술로서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제 조명인증기관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의 최고 레벨인 다이아몬드 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또한, 썬라이크 기술이 적용된 조명 사용 시 기억력, 정답률, 학습 속도, 인지 속도 등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한국의 서울대와 유럽의 바젤대 연구결과에 이어, 세계 최고의 하버드 의과대학 사답 라만 박사(Dr. Shadab Rahman, Harvard Medical School)의
[더구루=최영희 기자] 광반도체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는 3분기 매출(연결기준) 3403억 원, 영업이익 240억 원, 당기순이익 284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5.6%, 95.2% 성장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지난 2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다시 경신한 기록이며, 3분기 누계 당기순이익은 722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성장했다. 서울반도체는 반도체 부품 부족, LCD패널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전방산업의 생산 차질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부문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는 Mini LED를 양산하며 글로벌 TV 업체들에게 공급하기 시작했다. 일반조명 부문은 근시 예방을 기대할 수 있고 인체의 24시간 생체리듬에 최적화된 햇빛과 가장 유사한 광원 ‘썬라이크(SunLike)’, 일부 경쟁사들의 인수합병으로 비즈 기회가 확대된 하이파워(High Power), 원예용 LED시장 등에 적극 대응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문은 글로벌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혁명인 패키지가 필요 없는 ‘와이캅(WICOP)’ 기술 제품이 전기자동차 등 헤드램프에 확대 적용되며 2021년 기준 년 글로벌 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 연구팀이 초파리 연구로 차세대 로봇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EPFL 연구팀은 초파리 연구로 주변 환경을 파악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파반 람디아(Pavan Ramdya) 박사가 이끄는 EPFL 신경공학 연구팀은 로봇공학에 활용하기 위해 노랑초파리의 신경계를 연구하고 있다. 람디아 박사를 필두로 1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2017년부터 초파리 신경계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초파리 뇌를 역공학해 로봇 공학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링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해 초파리가 앞으로 걷고, 더듬이 손질을 하고, 뒤로 걸을 때 뉴런이 어떻게 신호를 전달하는지를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파반 람디아 박사가 초파리의 뇌를 연구하기로 한 배경은 초파리의 뇌가 너무 단순하거나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다. 람디아 박사는 "뉴런이 더 단순한 동물도 있지만 그만큼 배울 것이 없다. 반면 파리는 다리를 이용해 걷고, 몸을 닦고, 장애물을 움직인다"며 "연구하기에 충분히 단순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파리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텍스트 만으로 로봇을 설계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했다. 연구팀은 컴퓨터와 3D프린터,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로봇을 설계·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텍스트2로봇(Text2Robot)이라는 생성형 AI 플랫폼을 공개했다. 연구 내용은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됐다. 텍스트2로봇은 말 그대로 생성형 AI에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로봇을 설계해주는 AI모델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용자가 자신이 만들고 싶은 로봇에 대한 설명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AI모델은 이를 인식해 3D 렌더링 이미지를 만든다. 이후 AI모델은 이미지화 된 로봇 본체에 실제 작동에 필요한 부품을 배치한다. 연구팀은 실제 텍스트2로봇 모델로 '개구리 로봇'을 설계·제작하고 실제 작동하는 모습까지 담은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추가 개발을 통해 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만들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한다. 현재 텍스트2로봇은 4족보행 로봇만 제작할 수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텍스트2로봇 기술은 로봇 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