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유럽 페배터리 재활용 시설 투자가 활발하다. 재활용 설비는 3년 사이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연간 16만t인 용량은 2025년 40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일 코트라 브뤼쉘무역관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의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설비는 올해 말 기준 총 37개다. 2020년 13개 대비 3배 가까이 늘었다. 설비 용량은 연간 16만t으로 향후 16개 시설이 추가되면서 2025년까지 40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유럽에 진출한 재활용 기업은 70%가 현지 회사다. 아시아는 16%, 미주는 14%다. 한국의 성일하이텍, 미국 레드우드머티리얼즈가 대표적인 해외 기업이다. 규모로 보면 독일 토제로 리사이클링과 실립 등 스타트업들도 있다. 호주 배터리 소재·재활용 기업 리튬 오스트레일리아의 사이먼 린지 대표는 "배터리 재활용은 완전히 새로운 시장"이라며 "새 기업이 5~10년 후 핵심 플레이어로 성장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재활용 기업들은 대부분 휴대전화와 노트북용 배터리 생산 시 발생하는 스크랩을 활용하고 있다. 아직 전기차에서 나오는 폐배터리가 없어서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2025년까지 스크랩이 재활용 원료의 53%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밴처캐피털(VC)로부터 세 번째로 많은 자금을 확보한 배터리 기업에 뽑혔다. 5일 미국 리서치 기관 머콤 캐피탈 그룹(Mercom Capital Group)에 따르면 SK온은 올해 1~3분기 기준 VC로부터 가장 많은 자금을 조달한 배터리 관련 기업 3위에 올랐다. 투자 유치액은 9억4400만 달러(약 1조2600억원)로 추정된다. SK온은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자 실탄 충전에 힘썼다. SK온은 중대형 전지 생산능력을 2021년 말 22.5GWh에서 이듬해 말 71.7GWh까지 늘렸다. 2025년까지 220GWh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포부다. 미국 포드와 테네시주에 1개, 켄터키주에 2개 공장을 짓고 있고, 현대자동차 그룹과도 조지아주에 배터리 합작공장을 추진한다. 헝가리 이반차에도 30GWh 규모의 3공장을 설립해 가동을 목전에 뒀다. 국내에서도 서산 3공장 증설에 1조5000억원을 투입하며 신·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온과 함께 배터리 기업 중에서는 프랑스 스타트업 베르코어(Verkor)가 4위, 중국 히튬(Hithium)이 5위를 차지했다. 양사 모두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통해 투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아메리칸 배터리 테크놀로지와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 등 미국 주요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들이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미국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폐배터리 산업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아메리칸 배터리 테크놀로지는 네바다주 펀리 소재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공장의 시범 운영에 돌입했다. 미국 에너지부(DOE)의 보조금에 힘입어 차세대 고급 재활용 기술을 시연하고 2027년까지 추가 공장 3곳을 더 지어 연간 폐배터리 처리 용량을 32만t으로 늘릴 계획이다. 아쿠아 메탈즈도 지난달 폐배터리에서 주요 금속을 추출하는 재활용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오는 1분기부터 재활용으로 얻은 금속 재료를 판매할 예정이다. 레드우드는 테슬라와 포드, 토요타, 닛산 등과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고 있다. 지난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35억 달러(약 4조3300억원)를 투자해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도 짓겠다고 발표했다. 연간 100GWh의 배터리에 들어가는 양·음극재 원료를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한다. 업계는 향후 폐배터리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레드우드의 창업자
[더구루=정예린 기자] 폭스바겐이 전기차 사업 필수 요소로 자리잡은 배터리 재활용을 본격화하기 위해 미국 '레드우드 머리티얼즈(이하 레드우드)'와 손잡는다.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선도 기업이 레드우드를 향한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레드우드는 폭스바겐 그룹 미국법인과 수명이 다한 폭스바겐·아우디의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국 내 수천 곳의 대리점에서 배터리팩을 회수한 뒤 레드우드가 금속을 추출, 폭스바겐의 현지 배터리 제조 파트너사에 보낸다. 레드우드는 네바다주 북부 카슨시티에 위치한 공장에서 수명이 다한 폭스바겐의 배터리를 처리할 예정이다. 니켈, 코발트, 리튬, 구리 등 배터리에서 발견되는 금속의 95% 이상을 회수한다. 파나소닉 등 미국 내 폭스바겐의 배터리 파트너사가 이를 받아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음극재 등을 생산한다. 폭스바겐의 북미 전기차 생산 허브인 테네시주 소재 채터누가 공장 내 배터리 엔지니어링 랩 등 연구 시설에도 보내져 배터리 프로토타입 개발에도 쓰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테슬라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지낸 J.B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연간 약 6GWh 규모의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양극·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 시장 확대로 폐기되는 배터리가 늘어나면서 레드우드의 생산능력도 확대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J.B. 스트로벨 레드우드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상원 에너지·천연자원위원회가 지난 7일(현지시간) 개최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한 국방물자생산법(DPA) 발동 명령 관련 청문회에 참석해 사업 현황을 공유했다. 수명이 다한 리튬이온배터리 6GWh는 2MT 규모의 소재로 재탄생한다. 연간 약 6~8만 대의 전기차에 쓰일 수 있는 수준이다. 테슬라향 배터리를 생산하는 파나소닉 등에 공급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월 25일 참고 美 레드우드, 동박 생산 임박…테슬라용 배터리 탑재> 레드우드는 소비자 전자기기,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시스템) 폐배터리에 함유돼 있는 니켈, 코발트, 리튬, 구리 등 다양한 금속의 95%를 회수한다. 현재 북미에서 수거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대부분이 레드우드를 통해 재활용되고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레드우드는 네바다주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부동산을 추가로 확보했다. 애플은 2개월간 실리콘밸리 내 부동산 매입에만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캘리포니아 지역매체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따르면 애플은 상업용 부동산 개발기업 '킬로이 리얼티(Kilroy Realty Corporation)'로부터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마틸다 캠퍼스(Mathilda Campus)를 매입하기로 했다. 매입작업은 3분기 중 완료될 예정이다. 마틸다 캠퍼스는 노스 마틸다 애비뉴(North Mathilda Avenue) 505~599번지와 웨스트 모드 애비뉴(West Maude Avenue) 605번지에 위치한 4동짜리 오피스 건물 단지로, 건물면적은 총 6만1594제곱미터(㎡)에 달한다. 애플은 이미 이전부터 마틸다 캠퍼스의 88%인 5만3884㎡를 임대해 사용해왔다. 애플은 일찌감치 해당 건물 매입에 나서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킬로이 리얼티는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실리콘밸리에 있는 캠퍼스 건물을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킬로이 리얼티는 매각 계약 사실만 발표했으며, 당시 매수자와 구체적인 건물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
[더구루=오소영 기자] 슬로바키아가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신규 원전 공급사로 선정했다. 최종 계약서 서명만 남겼다. 공급사 선정을 둘러싼 슬로바키아 내부 잡음이 들려오지만 계약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웨스팅하우스의 주요 파트너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유럽에서 수주 소식이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유러티브와 프라바다 등 외신에 따르면 슬로바키아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사업자로 웨스팅하우스를 선정했다. 로베르트 피초(Roberta Fico) 총리가 이끄는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해 웨스팅하우스와 정식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약 규모는 최대 150억 유로(약 24조원)로 추정된다. 슬로바키아는 국영 원전 기업 자비스(JAVYS)와 체코전력공사(CEZ)가 51대 49로 설립한 합작사 'JESS'의 주도로 원전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40년 보후니체 원전 인근에 1250㎿ 규모 신규 발전소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6월 원전 건설을 위한 정부 승인을 완료했다. 현지에서는 당초 10월 입찰을 예상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프랑스 EDF, 웨스팅하우스의 경쟁 구도로 점쳐졌다. <본보 2024년 6월 2일 참고 슬로바키아 1.2GW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