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정치인과 진보단체로부터 반독점 조사를 요구 받고 있다. 이들은 엔비디아의 독점 방식이 업계 규범에 위배되며 고객을 가두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과 디맨드 프로그레스(Demand Progress)를 포함한 10개 진보단체는 최근 조나단 캔터 법무부 반독점국장에게 엔비디아의 사업 관행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서한에서 엔비디아가 생성형 AI(인공지능) 훈련 모델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제품을 번들로 묶어 경쟁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이러한 공격적인 독점적 접근 방식은 협업과 상호 운용성에 대한 업계 규범에 크게 위배되며, 고객을 가두는 역할을 하고 혁신을 억제한다고 지적했다. 워런 의원도 로이터 통신에 보낸 성명을 통해 “한 회사가 전 세계 AI의 미래를 사실상 독점하는 것은 위험하며 심각한 경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나머지 시장은 주로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웹 서비스 같은 클라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의 자회사 하만 인터내셔널(이하 하만)이 오디오 브랜드 AKG의 유럽 판매·마케팅 권한을 오스트리아 회사에 넘겼다. 1일 하만에 따르면 이 회사는 아키파(Aqipa GmbH)와 유럽에서 AKG의 오디오 제품 유통·마케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향후 영국과 스위스, 유럽연합(EU)에서 AKG 제품 판매와 홍보를 맡긴다. 첫 협력 무대는 내달 6~10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박람회 'IFA 2024'다. AKG는 IFA에 마련한 아키파 부스에서 헤드폰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AKG의 새 무선이어폰도 이번 IFA에서 공개된다. AKG가 신제품을 선보이는 건 약 4년 만이다. AKG는 2019년 스튜디오 헤드폰 'K361·K371'을 출시해 호평을 받았다. 이듬해 블루투스 버전을 출시한 게 마지막이었다. AKG는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유럽을 공략한다. 1990년 설립된 아키파는 오스트리아 쿤들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 유럽과 호주를 주 무대로 오디오 명가 '마샬(Marshall)'부터 '브라운 오디오(Braun Audio)', '티악(TEAC)', '제이랩(JLab)' 등 글로벌 브랜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중국에서 특허 승인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연초부터 이어진 통신과 배터리, 의료 장비 등 미래 사업 기반이 될 주요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잇따라 확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1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달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메디슨 등이 지난 2016년부터 올 1월까지 출원한 특허 695건을 승인했다. 승인 절차는 9일에 걸쳐 이뤄졌다. 삼성전자가 관계사 중 가장 많은 389건의 특허권을 인정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223개) △삼성전기(50개) △삼성SDI(32개) △삼성메디슨(1개) 순이었다. 하루 평균 22건의 특허에 대한 허가를 확보한 셈이다. 삼성전자가 출원한 특허는 반도체부터 통신, 스마트폰·웨어러블 장치 등 전자기기, 가전 등까지 주요 사업군에 대한 기술이 두루 포함됐다. 인공지능(AI), 로봇, 증강현실(AR) 등 신사업에 관한 특허가 눈에 띄었던 상반기와 달리 기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삼성전자의 주요 승인 특허로는 △3차원 적층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특허번호 CN11841235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가 미국 시뮬레이션 전문 기업 '알테어'와 자동차 부품 수명을 늘릴 솔루션을 개발했다. 여러 툴을 하나로 통합해 해석 시간을 크게 줄이고 잠재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도록 한다. 알테어와의 파트너십으로 전장 사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제품 내구성을 높인다. 1일 알테어에 따르면 LG전자 VS사업본부와 구조 해석 툴인 '알테어 옵티스트럭트(OptiStruct)'를 활용한 다물리 기반 피로 해석 통합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솔루션은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로 손상 평가에 썼던 여러 해석 소프트웨어와 모델을 통합한 것이 핵심이다. '알테어 옵티스트럭트'라는 하나의 툴로 합쳐 기계 충격 해석, 열 충격 해석, 진동 해석을 한꺼번에 수행한다. 해석 시간을 줄이고 궁극적으로 부품 개발 시간을 기존 대비 20% 단축한다. 모델 관리도 용이하며 누적 손상을 고려한 피로 수명 예측이 가능하다. LG전자는 개발 과정에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부품을 양산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케이스를 제공했다. 소프트웨어 기능을 학습하고 개발을 진행하면서 툴의 정확도와 신뢰성 향상에 기여했다. LG전자는 알테어와 개발한 툴을 활용해 설
[더구루=정등용 기자] DB하이텍이 위비트 나노(Weebit Nano)의 Re램(저항성메모리) 기술이 적용된 130나노 BCD(바이폴라-CMOS-DMOS) 공정에서 첫 시제품 생산에 성공했다. 기술 검증 등을 거쳐 내년 2분기 중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위비트 나노는 지난달 30일 자사 Re램 기술이 적용된 DB하이텍의 130나노 BCD 공정에서 대량 양산 준비의 마지막 단계인 첫 테이프아웃(Tape-Out·시제품 양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기술 검증과 생산 준비 과정 등을 마치고 내년 2분기까지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DB하이텍과 위비트 나노는 지난해 10월 Re램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DB하이텍은 위비트 나노의 Re램 기술을 자사 130나노 BCD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위비트 나노의 Re램을 전 세계 고객사로부터 내장형 NVM(비휘발성 메모리)으로 제조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았다. 위비트 나노의 Re램은 고온에서도 우수한 유지 능력을 입증한 저전력·저전압·비용 효율적인 NVM이다. 또한 기존 MTP(Multi-time Programmable) 기술보다 높은 밀도와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에서 노후화된 전력 시설을 교체했다. 변압기를 바꾸고 저전압 배전압을 새로 설치해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꾀한다. 전력 인프라 확충에 나서며 중국에서의 사업을 지속한다. 1일 광동하오양전력건설(Haoyang·昊阳)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삼성디스플레이 동관법인의 배전반 개조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1000kVA 규모 변압기를 제거하고 1600kVA 변압기로 대체했다. 저전압 배전함 8개도 추가로 설치했다. 배전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업그레이드해 가동을 진행했고 정상적인 전력 공급을 확인했다. 2010년 설립된 하오양은 중국 내 전력 인프라를 공급·시공하는 회사다. 60개 이상 특허와 200명이 넘는 전문 인력을 보유하며 여러 전력 사업을 수행했다. 중국 스마트폰 회사 '화웨이'와 컨테이너 제조사 '서던 CIMC', 중국계 반도체 회사 '넥스페리아', 일본 '교세라' 등 글로벌 기업들을 고객사로 뒀다. 삼성디스플레이 동관법인과도 2001년부터 협력하며 변압기 증설을 포함해 여러 전력망 사업을 수행했다. 삼성디스플레이 동관법인은 파트너사인 하오양의 지원으로 전력망을 현대화하며 에너지 공급의 효율성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패널업체 이노룩스(Innolux)가 '가지치기'에 나섰다. 노후한 공장을 매각해 회사 운영 자금을 마련하고 부진했던 업황을 개선하겠다는 전략이다. 하반기 공장 매각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면서 영업 이익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대만 공상시보(工商時報) 등에 따르면 이노룩스는 지난달 30일 이사회에서 타이난 4공장 매각을 결정했다. 타이난 4공장은 서던 타이완 사이언스 파크(STSP) D 구역에 위치한 5.5세대 LCD 패널 공장이다. 현재 마이크론과 TSMC가 입찰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 금액은 약 180억 위안(약 3조 41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공상시보는 마이크론의 인수가 유력하다고 전했다. 현재 양측이 세부 계약 내용을 논의 중이며, 이노룩스는 지난 7월 이미 장비 이전에 착수했다는 것이다. 이노룩스는 회사 운영 및 미래 개발 모멘텀을 강화하고 운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노룩스는 지난 8분기(2022년 9월~2024년 6월) 동안 연속 적자를 기록해 왔다. 이에 따라 이노룩스는 공장 면적을 통합하는 등 제조 원가 절감을 위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시스테크(此芯科技官网)가 마이크로소프트(MS) 인공지능(AI) 개인용컴퓨터(PC) 플랫폼 코파일럿+ 기준에 충족하는 프로세서를 선보였다. 중국의 반도체 자립에 속도가 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시스테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AI PC용 프로세서 '시스 P1(Cixin P1)'를 공개했다. 시스테크는 조만간 해당 칩의 대량 양산에 돌입한다. 시스테크는 해당 프로세서를 15개월에 걸쳐 개발했으며 4개월간 제조해 3개월간 테스트를 거쳤다고 소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시스 P1은 6나노미터(nm) 공정에서 생산되며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12개의 ARM CPU가 탑재됐으며 최대 클럭은 3.2㎓다. 시스 P1이 주목받는 것은 45톱스(TOPS, 초당 1조 연산) 신경망 처리장치(NPU)가 탑재됐다는 것이다. 45톱스는 MS 코파일럿+ 노트북에 탑재된 퀄컴 스냅드래곤 엑스(Qualcomm Snapdragon X) 엘리트와 동일한 수치다. MS 코파일럿+ 기준인 40톱스도 넘어선다. 이외에도 시스 P1은 최대 64GB LPDDR5-6400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에서 최대 4K 120 FPS, U
[더구루=정등용 기자] 엔비디아가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블랙웰(Blackwell)’의 샘플 발송을 시작했다. HBM3E 공급사인 SK하이닉스와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의 슈퍼사이클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진행된 ‘시그라프 2024’에서 “우리는 현재 전세계 곳곳에 블랙웰의 엔지니어링 샘플을 발송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젠슨 황 CEO는 지난 5월 진행된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현재 블랙웰을 생산하고 있다”며 “2분기부터 출하를 시작해 4분기부터 데이터센터에 적용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3월 블랙웰을 공개하면서 현재의 ‘호퍼’ GPU보다 2배 더 강력하고 AI 모델이 응답을 생성하는 데 걸리는 추론 시간이 5배 빠른 성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가 블랙웰 샘플 발송을 시작하면서 현재 유일한 HBM3E 공급사인 SK하이닉스와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의 슈퍼사이클이 임박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블랙웰 기반 B200 제품에는 5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인 HBM3E 8개가 탑재된다. 현재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가 사우디아라비아 대형 건설업체 '알 바와니(Al-Bawani)'와 협력한다. 알 바와니가 개발하는 부동산 프로젝트에 LG전자의 스마트홈·도시 솔루션이 공급된다.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 겸 총리의 주도로 '기가 프로젝트'가 쏟아지고 있는 사우디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마련한 셈이다. 특히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LG전자는 물론 LG디스플레이, LG CNS 등 계열사들의 동반 진출도 예상되며 LG그룹 전체 사업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1일 알 바와니와 컨스트럭션 위크 등 외신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알 바와니와 스마트홈·도시 솔루션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LG전자는 알 바와니의 대형 부동산 사업에 참여한다. 알 바와니가 개발하는 주택·도시에 인공지능(AI) 가전을 비롯해 스마트홈·도시 솔루션을 제공한다. 알 바와니는 1991년 설립된 건설사다. 250개 이상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90억 리얄(약 3조2800억원) 상당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미래형 스마트 도시를 건설하는 1조5000억달러(약 2060조원) 규모의 사업 '네옴시티'에도 참여해 골프코스를 비롯해 휴양지 개발
[더구루=오소영 기자]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이 수원 사업장에서 마지드 빈 압둘라 알 카사비(Majid bin Abdullah Al-Kassabi) 사우디아라비아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장관과 비공식 만남을 가졌다. 삼성의 전자 산업사 박물관인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을 둘러보고 사업 기회를 논의했다.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 겸 총리가 석유 중심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고자 선언한 '비전 2030'에 삼성이 핵심 파트너로 동참할 전망이다. 1일 사우디 상무부와 무바샤 등 외신에 따르면 박 사장은 지난달 28일 경기 수원시 삼성전자 본사에서 알 카사비 장관 일행을 접견했다. 삼성전자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을 둘러보고 면담을 가졌다. 사우디 '비전 2030'에 따른 협력 방안을 살피며 미래 먹거리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알 카사비 장관은 방문 직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비전 2030'이 열어줄 협력 기회와 새로운 지평을 논의했다"며 "글로벌 선도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경제 개혁과 시설 개발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사우디는 한국의 최대 원유 공급국이자 중동 최대 교역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해 생산량을 지속 확대하고 차세대 제품 양산에도 속도를 낸다. 5세대인 HBM3E 8단과 12단을 하반기부터 공급하겠다는 로드맵을 밝히며 'AI 대어'인 엔비디아를 잡을 것을 시사했다. 삼성전자는 31일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 수요에 힘입어 2분기 HBM 매출이 전분기 대비 50% 중반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HBM 생산능력(CAPA)을 지속 확대해 올해 고객 협의 완료 물량을 전년 대비 4배 가량 확보했다"며 "내년에는 올해 대비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며 고객사들과 공급 협의를 이어나가 2025년 추가 생산 규모를 확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제품별로 보면 HBM3E의 매출 비중이 3분기 10% 중반에서 4분기 60%로 증가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HBM3E 8단 제품은 현재 고객사 평가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3분기 양산 공급이 본격화된다"며 "12단 또한 양산 램프업 준비는 마쳤고 복수의 고객사들 요청 일정에 맞춰 하반기 공급 확대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시장의 관심이 모아진 엔비디아의 HBM3E 품질 테스트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군이 국내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한 K239 천무 기반 폴란드형 다연장로켓 '호마르-K' 관련 교육을 받은 비하인드가 인터뷰와 공식 영상으로 공개됐다. 이번 훈련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WB일렉트로닉스, 우리 군이 공동으로 주관한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양국 방산 협력 강화와 폴란드군의 첨단 무기 운용 역량 제고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폴란드 국방부 공식 군사 전문지 '폴스카 즈브로이나(Polska Zbrojna)'에 따르면 제1지역 군수기지(1.Regionalna Baza Logistyczna) 소속 토마시 쿠친스키 소령을 비롯한 폴란드군은 지난 5월 파주 제1포병여단에서 2주간 K239 천무 운용·정비 교육을 수료했다. 이번 훈련은 폴란드군이 한국산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배운 첫 공식 프로그램이었다. 교육은 영어로 진행되며 동시통역이 제공됐고, 우리 군 소속 K239 천무 훈련센터 및 포병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특히 △고장 대응 △기본 정비 △발사 시스템 이해 등 운용 현장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훈련에 참여한 병력은 예상되는 대부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테크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대를 이끌었던 애플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그동안 금융 전략을 앞세워 몸값을 높여왔지만, 앞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CNBC의 유명 방송인 짐 크레이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며 비판했다. 짐 크레이머는 "현재 애플은 스마트폰 생태계 지배력과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주가는 정체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애플의 주가는 지난해 12월 31일 종가기준 주당 250.42달러였지만, 최근에는 주당 21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한 것. 반면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는 421달러에서 20% 가까이 성장해 500달러선을 넘어섰으며, 메타도 585달러에서 730달러선을 돌파하며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심지어 S&P 500 지수도 올해 7% 가까이 상승했다. 크레이머는 애플의 자사주 매입 의존과 AI 경쟁에서 뒤처진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짐 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