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하이트진로가 일본 유명 한식 외식업체 다이다이(ダイダイ)와 손잡고 나고야 벚꽃축제에 참가해 과일소주 에이슬 시리즈 알리기에 나선다. 현지 소비자들에게 에이슬 시리즈 제품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다이다이와 협력해 오는 6일부터 다음달 23일까지 나고야 소재 복합쇼핑센터 다이나고야빌딩(大名古屋ビルヂング)이 개최하는 벚꽃축제에 참가한다. 다이나고야빌딩은 리뉴얼 오픈 8주년을 기념해 이번 벚꽃축제를 기획했다. 빌딩 5층 스카이가든에 벚꽃을 활용해 제작한 조형물, 벚꽃을 연상시키는 분홍색 조명 등을 설치해 벚꽃 감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다이나고야빌딩 내에 있는 레스토랑에서는 벚꽃축제 테마 특별 메뉴를 선보일 예정이다. 하이트진로는 다이나고야빌딩 3층에 있는 다이다이 매장에서 딸기에이슬·청포도에이슬 등 과일소주 2병을 888엔(약 7870원)에 선보이는 행사를 펼칠 계획이다. 기존 가격이 한 병당 1705엔(약 1만5110원)인 것을 감안하면 74%가량 저렴한 가격에 파는 것이다. 벚꽃축제 개최 기간 동안 1일 5팀 선착순으로 판매한다. 다이다이는 순두부찌개, 양
[더구루=한아름 기자] CJ제일제당 비비고 김치가 일본에서 'K-김치' 시장을 꽉 잡았다. 현지 K-푸드 마니아와 네티즌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온라인쇼핑 플랫폼을 중심으로 흥행몰이를 이어가고 있다. CJ제일제당 비비고를 제품을 찾는 현지인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4일 일본 오픈마켓 플랫폼 큐텐(Qoo10)에 따르면 CJ제일제당 비비고 배추김치가 일본 김치 시장에서 판매 1위를 달성했다. 이는 큐텐이 지난 1월 16일부터 한 달간 김치·절임류 카테고리 판매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소비자 평점은 5점 만점 중 4.7점을 받았다. 실제 소비자들은 "김치가 필요할 때 마다 신선하게 즐길 수 있어 편리하다"고 호평했다. 비비고 배추김치 소포장(60g) 5개들이가 가장 인기가 높았다. 소포장을 선호하는 1인 가구의 확산과 맞물리면서 비비고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견인차가 됐다는 분석이다. 배추김치에 이어 비비고 깍두기 김치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조사에서 4위를 기록했다. 아삭한 식감이 인상적이라는 평가와 평점 4.6점을 받았다. CJ제일제당은 한국 대표 식품기업의 한식 브랜드 '비비고 김치'를 강조하며 소비자 신뢰를 쌓는 데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 시장을 겨냥한 신라면 김치 마케팅에 팔을 걷어붙였다. 소비자 접점 확대, 할인 행사 등을 통해 신라면 김치를 오리지널 신라면의 뒤를 잇는 '제2의 메가 브랜드'로 육성하고 현지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일본 나가노현에 자리한 '류오 마운틴 리조트'(竜王マウンテンリゾート) 내 소라 테라스 카페에서 신라면 김치 기반 콜라보 메뉴를 판매한다. 오는 31일까지 류오 마운틴 리조트 스키장을 찾는 고객들에게 신라면 김치를 선보여 K-라면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농심은 류오 마운틴 리조트와 손잡고 '유키야마 토마토 신라면 김치'를 개발했다. 신라면 김치에 토마토 페이스트, 올리브 오일, 생(生) 햄 등의 재료를 더해 이탈리아 파스타 같은 풍미를 살린 이색 메뉴다. 치즈 베이스의 휘핑크림을 라면 위에 올려 설산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신라면에 참깨 페이스트, 미소 된장, 라유 등을 추가한 '탄탄 신라면'도 준비했다. 소라 테라스 카페 매장 한쪽에 홍보 공간도 마련했다. 신라면 김치, 신라면 등 제품 이미지와 '매운 것은 즐겁다!'(辛いってたのしい!)등의 문구를 활용해 제작한 홍보물을 게시하고 제품을 진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 감자 재배농가와의 동행을 지속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지역 농민, 정부 등과 협력해 겨울철 감자 재배법을 개발, 현지 농가에 짭짤한 겨울철 수익을 제공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꽝닌성 띠엔옌현 동하이(Dong Hai) 지역에 있는 오리온 베트남 계약 재배 농가들은 지난달 말 대서양 품종 감자를 수확했다. 22.8헥타르 규모의 대규모 감자밭이 있는 동하이 지역 농민들이 대서양 품종 감자를 수확하는 것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로 두번째다. 농민들은 헥타르당 18톤가량의 대서양 감자를 수확했다. 대서양 감자 가격이 킬로그램당 8000동(약 430원)인 것을 감안하면 농민들은 생산 비용을 제외하고 헥타르당 약 4000만동(약 220만원)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추산된다. 수확된 감자는 전량 오리온에서 사들였다. 오리온의 지원을 통해 지역 농민들은 여름철 농사 이후 겨우내 놀리던 밭에서 대서양 품종 감자를 재배함으로써 겨울철 소득을 챙길 수 있게 됐다. 오리온이 베트남 농가를 비롯해 베트남농업아카데미(Vietnam Academy of Agriculture), 지역 정부 등과 손잡고 겨울철 대서양 품
[더구루=김형수 기자] 빙그레가 인도네시아에서 SNS 기반 쇼핑몰 틱톡숍 입점으로 유통망 확장에 나섰다.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 유통망을 확대해 로컬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인도네시아 틱톡숍에 △바나나맛우유 △꽃게랑 등 대표 제품을 판매한다.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등 기존 현지 대형 온라인쇼핑몰에 더해 SNS기반 라이브커머스 채널로 유통망을 넓혔다. 이번 인도네시아 틱톡숍 입점으로 빙그레의 로컬 소비자층이 확대될 전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조사 결과 지난해 연말 기준 틱톡의 인도네시아 내 액티브유저(활성 사용자) 숫자는 1억2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억7000만명의 전체 인구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틱톡을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틱톡은 숏폼 콘텐츠 트렌드에 힘입어 현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두터운 이용자층에 힘입어 틱톡의 인도네시아 사업은 활기를 띠고 있다. 지난 2022년 기준 틱톡 플랫폼 내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비율은 5%를 기록했다. 현지 진출 1년 만에 거둔 성과다. 빙그레는 인도네시아 판로 확대와
[더구루=김형수 기자] 블루에이프런(Blue Apron), 투헬로프레시(2HelloFresh), 선바스켓(Sun Basket) 등의 업체가 미국 밀키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1인 가구 증가 등에 힘입어 밀키트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이들 업체가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겨냥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인 것이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2일 인도 시장조사기관 아드로이트 마켓 리서치(Adroit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오는 2030년 미국 밀키트 시장 규모는 644억달러(약 85조736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향후 6년간 연평균 15%에 달하는 높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란 예상이다. 1인 가구·맞벌이 가구 증가, 코로나19 판데믹을 계기로 확산된 재택근무 제도 등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개인의 필요, 취향 등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간편하게 조리해서 먹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된다. 코트라는 현지 밀키트 시장을 주도하는 업체로 블루에이프런, 투헬로프레시, 선바스켓 등을 선정했다. 이들 업체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겨냥한 밀키트 구독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블루에이프런은 셰프가 직접 개발한 레시피를 고품질 재료로 구성된
[더구루=한아름 기자] 농심이 태국에서 커스터마이징 마케팅을 강화, 현지 홈족(주로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이들) 잡기에 나선다. 자신의 입맛에 맞춰 새로운 레시피를 개발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대표 제품인 신라면을 활용해 소비자들의 개성과 취향에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농심 태국법인은 1일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신라면 쩨파이(Jayfai) 컬래버레이션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를 소개했다. 신라면 쩨파이 컬래버레이션은 농심이 지난해 11월 현지 유명 쉐프인 쩨파이와 협업해 개발된 태국 전용 제품이다. △신라면 똠얌 △신라면 볶음면 똠얌 총 두 제품으로 구성됐다. 농심은 신라면 볶음면 똠얌을 활용한 피자·전 두 가지 요리를 소개했다. 피자 도우 위에 신라면 볶음면 똠얌을 올리고 새우와 치즈, 고수 등을 첨가한 후 오븐에 돌리면 된다. 전은 썰은 양배추와 계란, 신라면 볶음면 똠얌을 섞은 후 프라이팬에 구우면 된다. 신라면의 매운 맛과 태국 똠얌 특유의 새콤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한 새우나 치즈, 계란 등 재료가 추가되면서 고급스러운 풍미를 낼 수 있다는 점 또한 강조했다. 농심은 소비자들의 의견을 모아서 새로운
[더구루=한아름 기자] 동원F&B가 프리미엄 발효유 브랜드 ‘덴마크 하이(Hej!)’를 론칭, 극내 발효유 시장 경쟁력 제고에 나섰다. 덴마크 하이는 토탈 유가공 브랜드 ‘덴마크’의 서브 브랜드다. 낙농강국 덴마크의 유산균과 다양한 기능성 원료를 함유한 프리미엄 제품들을 지속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동원F&B는 29일 프리미엄 발효유 브랜드 덴마크 하이 액상 발효유 제품 ‘덴마크 하이 요구르트’를 출시했다. 덴마크 하이 요구르트는 덴마크산 유산균 포함 100억 CFU(보장균수)를 보증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제품에는 GC녹십자웰빙이 개발한 호흡기 특허 유산균이 들어있다. 면역 기능에 필요한 아연과 뼈 형성에 필요한 칼슘, 비타민D도 함유돼있다. 당 함량이 액상 발효유 판매 상위 3개 제품의 평균 대비 35% 이상 적어 남녀노소 모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동원F&B는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덴마크 슈퍼바이오틱스 등의 인기로 지난해 국내 드링킹 시장 1위를 기록한 만큼 액상 발효유 시장에서 경쟁력을 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동원F&B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은 낙농업 강국 덴마크의 검증
[더구루=김형수 기자] 다니엘 마티슨(Dan Mathieson) 제스프리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베리류 과일 전문기업 드리스콜스(Driscoll’s)에 새 둥지를 튼다. 드리스콜스가 제스프리 성장을 견인한 다니엘 CEO 영입을 통해 미국 시장 내 경쟁력 제고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유료기사코드] 드리스콜스는 29일 다니엘 마틴슨 CEO를 미국 사장으로 발탁했다. 드리스콜스는 다니엘 CEO가 미국 사업의 △전략 수립 △재무 등 현지 사업 전반을 진두지휘하게 된다고 전했다. 드리스콜스는 지난 1944년 설립됐다. 딸기를 비롯해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등 베리류 과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북미, 호주, 유럽, 중국 등 전세계 22개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드리스콜스는 다니엘 CEO가 제스프리에서 근무하며 쌓은 노하우가 드리스콜스 미국 사업 성장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는 지난 2017년부터 7년 동안 제스프리 CEO로 활동하며 경영 능력을 입증했다 실제 다니엘의 진두지휘로 제스프리는 급성장을 성과를 이뤄냈다. 지난 2017년 23억달러(약 3조700억원) 수준이었던 제스프리 매출은 지난 2022년 40억달러(약 5조3400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에서 유엔 세계식량계획(이하 WFP)과 손잡고 2년 연속 레드컵 캠페인을 펼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선다. 캠페인 규모를 확대해 개발도상국 학교 급식 지원에 더 큰 힘을 보탠다는 방침이다. 농심 일본법인 농심 재팬은 29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WFP가 전개하는 레드컵 캠페인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레드컵 캠페인은 WFP가 지난 2011년 글로벌 기아 퇴치를 위해 시작했다. 해당 캠페인을 통해 지난해까지 총 2600만명에 달하는 개발도상국 학생들에게 급식을 지원했다.<본보 2023년 11월 30일 참고 농심, 일본서 유엔세계식량계획 ‘레드컵 캠페인’ 동참...기아 퇴치 앞장> 다음달 1일부터 기존 2종이었던 레드컵 캠페인 대상 상품을 5종으로 늘리고 지원 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신라면 봉지면 번들(3입), 신라면 용기면에 더해 신라면 김치 용기면, 신라면 김치 봉지면 번들(3입), 신라면 블랙 봉지면 번들(3입) 등을 캠페인 대상 상품에 추가할 예정이다. 농심 재팬은 레드컵 캠페인 대상 상품이 1개 판매될 때마다 0.1엔(약 1원)을 모아 WFP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레드컵 캠페인 대상 상품 패키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뉴질랜드 키위업체 제스프리가 올해 1억9300만 트레이(1트레이당 약 3.5kg)의 출하량 목표를 내걸었다. 지난해 부진을 딛고 올해 재도약에 시동을 걸겠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 성장과 작황 호조 등에 힘입어 키위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제스프리는 28일 올 글로벌 키위 출하량 규모를 전년대비 45% 증가한 1억9300만 트레이로 올려 잡았다. 지난해 부진을 딛고 키위 출하량이 반등할 것이란 예측이다. 지난해 제스프리 글로벌 키위 출하량은 지난해 1억3300만 트레이로 지난 2021년 대비 24% 감소했다. 코로나19 판데믹, 노동력 부족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건강, 웰니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가 글로벌 키위 수요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졌다. 키위에는 일일 권장 섭취량의 117%에 해당하는 비타민C, 21%에 해당하는 식이섬유가 들어있다. 소화, 면역, 심장 건강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박에 글로벌 키위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인포메이션(Global Information) 조사결과 오는 2026년 글로벌 키위 시장 규모는 2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담배업체 JT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X를 내세운 글로벌 사업 확대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 플룸X 판매국가를 대폭 늘리고 글로벌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만년 꼴찌'를 탈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마사미치 테라바타케(Masamichi Terabatake) JT그룹 사장은 지난 13일(현지 시간) 플룸X 진출국을 오는 2026년까지 40개국으로 확대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플룸X는 △체코 △그리스 △헝가리 △일본 △카자흐스탄 등 13개국(지난해 기준)에서 판매되고 있다. 플룸X 진출국을 향후 2년간 3배 넘게 늘리겠다는 것이다. JT는 지난 2021년 플룸X를 출시했다. 기기 표면 버튼을 없앤 차세대 디자인을 적용하고 신규 가열 기술 히트플로우(HEATFLOW)를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다.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동 시 배터리 잔량 확인, 기기 잠금 등도 할 수 있다. 마사미치 테라바타케 사장은 "오는 2026년까지 플룸X를 중심으로 한 비연소 제품군 글로벌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고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라면서 "비연소 제품군 글로벌 영토 확장, 매출 확대에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플룸X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펼치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