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모건스탠리가 국제연합(UN)이 정한 ‘넷제로 2050’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 [유료기사코드] 모건 스탠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MSIM)는 19일 1GT 기후 사모 펀드를 통해 5억 달러(약 6666억 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로는 북유럽 지역, 독일, 영국의 공공 및 민간 연기금과 보험사들이 참여했다. MSIM에 따르면 1GT 기후 사모 펀드는 UN이 추진 중인 넷제로 2050 달성을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통제하거나 제거하고 있는 성장 단계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넷제로 2050은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0인 상태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UN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1.5도 보고서’를 통해 “2030년까지 전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적어도 45% 줄이고 2050년까지 넷제로 선언을 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1GT 기후 사모 펀드는 MSIM의 2000억 달러(약 266억 원) 규모 대체 투자 사업의 일부로 △모빌리티 △전력 △지속 가능한 식량·농업 △순환 경제를 주요 투자 테마로 한다. 이 펀드는 지속 가능한 금융 공시 규정에 따라 환경적
[더구루=한아름 기자] 프랑스 제약사 OSE이뮤노테라퓨틱스(OSE Immunotherapeutics·이하 OSE 이뮤노)가 세르비에(Servier)와 항 IL7 수용체(anti-IL7 receptor first-in-class mAb) '루스버티키맙'(Lusvertikimab·OSE-127) 공동 연구를 종료한다. 다만 OSE이뮤노는 루스버티키맙을 궤양성대장염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 등 분야에서 연구를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OSE이뮤노는 국내 제약사 종근당과 협업하면서 국내에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18일 OSE이뮤노에 따르면 프랑스 제약사 세르비에와 상호 합의 하에 루스버티키맙 공동 연구를 종료한다. 양사가 지난 2016년 12월 루스버티키맙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한 지 7년 만이다. 세르비에는 루스버티키맙을 쇼그렌증후군(Sjogren Syndrome)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투자해 왔으나 탐색적 임상2a상에서 기대 이하의 효과를 확인하며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OSE이뮤노는 루스버티키맙이 궤양성대장염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연구개발을 지속하겠단 계획이다. 이전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내성이 있는 중등도~중증 궤양성대장염
[더구루=오소영 기자] 폭스바겐그룹 자회사인 파워코가 아시와 배터리 회사와 생산시설 3곳을 짓는다. ‘K-배터리’ 3사와 중국 CATL·궈시안이 물망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17일(현지시간) 더페이퍼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세바스찬 울프 파워코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15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중국 국제 배터리 박람회'(CIBF)에서 "향후 10년 동안 배터리 공장 세 개를 운영할 아시아 파트너를 찾겠다"고 말했다. 폭스바겐은 전기차 비중을 30%에서 60%로 늘릴 계획이다. 전기차 수요를 충족하고자 자체 배터리 생산량도 확대한다. 파워코는 2030년까지 200억 유로(약 29조원)를 투자해 배터리 생산시설 6개를 짓는다. 총 240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200억 유로가 넘는 연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240GWh는 전기차 최대 300만 대에 탑재될 수 있는 양이다. 파워코는 작년 7월 독일 잘츠기터에서 연 40GWh 규모의 공장을 착공했다.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이어 올해 스페인 발렌시아(40GWh)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공장 건설을 시작한다. 내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세인트토머스에 신공장(90GWh)을 착공하고 2027년부터
[더구루=정등용 기자] 독일 인슈어테크(보험+기술) 기업 위폭스가 JP모건 등 글로벌 금융사들로부터 추가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위폭스는 프랑스와 스페인, 영국과 같은 미개척 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위폭스는 18일 JP모건과 바클레이즈로부터 5500만 달러(약 736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기업 가치는 45억 달러(약 6조 원)를 유지했다. 2014년 설립된 위폭스는 보험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고객은 위폭스를 통해 본인이 가입한 보험을 일괄적으로 보고 전문가로부터 알맞은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앱에서 보험 문서를 확인하고 보험료 납부 기한에 대한 알람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위폭스는 자체 중개인과 외부 중개인을 통해 보험 상품을 판매한다. 독일 내 경쟁사인 겟세이프와 달리 소비자 직접 판매 전략에 의존하지 않는다. 위폭스는 현재 4000개의 유통 파트너사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엔 자체 보험사인 위폭스 인슈어런스를 설립했다. 이를 통해 외부 보험사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보험 상품을 설계·판매할 수 있게 됐다. 위폭스는 현재 손해보험, 생명보험, 건강보험 분야에서 300개의 업체들과 협력 관계를 유
[더구루=김형수 기자]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이하 BAT)가 리더십 교체 카드를 꺼내들었다. 고객 이탈, 시장점유율 감소 등 실적 부진에 따른 '경질성 인사'라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무대에서 커리어를 쌓은 인사를 전진배치하며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잭 보울스(Jack Bowles) BAT CEO가 물러났다. 지난 2019년 취임한 4년여 간 그의 성적표는 초라하다. 글로벌 전자담배 시장의 경재사인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에 밀리면서 실적 전망에도 경고등이 켜진지 오래다. 영국 담배산업 연구기관 토바코택틱스(Tobacco Tactics)은 2021년 기준 필립모리스는 글로벌 전자담배 스틱 시장에서 71.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BAT의 시장점유율은 15.3%로 PMI와 큰 차이가 났다. BAT 주가마저 지지부진하다. 잭 보울스 CEO가 임기 4년 8%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15% 성장세를 기록한 영국 대형주 주가지수 FTSE100을 밑돌았다. 미국의 대북 제재를 이유로 미국 정부에 6억2900만달러(약 8440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내기로 한 것도 이번 인사 결정에 영향을 미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의 드론 배송 스타트업 윙콥터(Wingcopter)가 수백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윙콥터는 유럽 내 드론 기반 물론, 배송 서비스 분야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투자은행(EIB)은 윙콥터에 대한 4000만 유로(약 580억원) 투자를 단행했다. EIB는 해당 자금을 준자본(quasi-equity)으로 설명하며 자금 일부는 자기자본으로, 나머지는 벤처 대출로 지원했다. 해당 방식은 EIB가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윙콥터는 EIB 투자로 현재까지 총 1억 유로를 조달하게 됐다. 윙콥터는 2017년 설립됐으며 독일 다름슈타트에 본사 두고 있다. 윙콥터는 물류, 측량, 감시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된 전기수직이착륙 드론을 개발, 제작하고 있다. 윙콥터의 드론은 8개의 프로펠러가 장착된 8축 설계를 갖춰 강한 바람에도 비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지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현재는 전기 배터리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드론도 개발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할 경우 드론의 비행가능 거리는 5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윙콥터는 최근 자사의 드론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러시아 국영원자력기업 로사톰의 자회사 레네라(Renera LLC)가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지분을 추가로 매입했다. 레네라는 사실상 100%에 가까운 지분을 확보하며 에너테크의 완전한 소유 기업이 됐다. [유료기사코드]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레네라는 지난 2021년 에너테크 지분 49%를 인수한 데 이어 지난해 49%를 추가로 인수했다. 총 지분율은 98.32%에 이른다. 이번 인수로 칼리닌그라드 배터리 공장 가동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로사톰과 에너테크는 지난 2021년 칼리닌그라드 지역에 4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 설립을 추진한 바 있다. 칼리닌그라드 공장은 오는 2025년 가동될 예정이다. 현지 업계는 자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최소 3~4년이 걸리는 만큼 이번 로사톰의 에너테크 인수는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로사톰이 러시아 정부와 리튬 이온 배터리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인 만큼 이번 결정이 향후 배터리 시장 개척에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레네라는 에너테크 지분 인수로 리튬 이온 배터리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모기업인 로사톰이 비(非)핵 사업 확대를 추진해 온 가운데 레네라의 이번
[더구루=김형수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가 싱가포르 커피기업 플래시커피(Flash Coffee) 투자에 나섰다. 플래시커피는 확보한 자금을 아시아 사업 확대에 투입할 방침이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스타으업 육성을 통해 아시아지역 사업을 확대해 나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딜리버리히어로는 5000만달러(약 670억원) 규모의 플래시커피 시리즈B 파이낸싱 라운드에 참여했다. 영국 투자기업 화이트스타캐피탈(White Star Capital)이 주도로 이뤄진 이번 시리즈B 파이낸싱 라운드에는 딜리버리히어로 이외에도 스위스 투자업체 코니&코(Conny & Co.) 등이 참가했다. 딜리버리히어로, 화이트스타캐피탈, 코니&코 등은 지난 2021년 4월에 이어 플래시커피를 대상으로 추가 투자를 시행했다. 플래시커피는 이번에 유치한 자금을 아시아 사업 확대에 투자하는 데 쓴다는 방침이다. 싱가포르, 태국, 홍콩,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는 물론 한국에서 기술 및 제품 혁신을 추진하며 실적 개선에 힘쓰겠다는 것이다. 지난 2020년 사업을 시작한 플래시커피는 이들 국가에서 200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더구루=한아름 기자] 유럽연합(EU)에서 원료의약품 분야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자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법적 제도를 마련하는 등 탈중국을 모색하고 있다. 국내서도 원료의약품 중국 의존도가 41%로 높아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벨기에 정부가 최근 원료의약품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의약품법(Critical Medicines Act) 제정 추진을 제안했다. △EU내 필수의약품 생산 △원료의약품 생산 △기초화학물질 생산 활성화 등이 주요 골자다. 또한 EU 국가 간 의약품 부족 시 재고를 교환할 수 있는 EU 연대 메커니즘을 설립하자는 의견도 제기됐다. 핵심의약품 특별 모니터링, 유럽의약품청(EMA)의 법적 권한 확대 역시 포함됐다. 유럽 내 원료의약품 중국 의존도가 심화하는 가운데 보건안보를 위해서 자급도를 높여야 한다는 게 벨기에 정부 입장이다. 특히 최근 EU와 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의약품 생산 관리에 적극 나서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의 전 세계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공급량은 약 4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등 의약품 선진국을 포함한 총 18개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투자한 미국 대마초 업체 샬롯스웹(Charlotte’s Web)이 반려동물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현지 반려동물용품 유통업체와 손잡고 미국 반려동물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샬롯스웹은 미국 최대 규모의 반려동물 유통기업 필립스 펫 푸드&서플라이스(Phillips Pet Food & Supplies·이하 필립스 펫)과 손잡고 대마초 제품 유통망 확대에 나섰다. 지난 1983년 설립된 필립스 펫은 △텍사스 △필라델피아주 △플로리다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콜로라도주 △애리조나주 △캘리포니아주 등 미국 전역에 11개의 유통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반려동물 사료는 물론 반려동물 관리를 위한 여러 용품도 판매하고 있다. 샬롯스웹은 필립스 펫 매장을 통해 관절, 인지 등에 기능 장애를 겪고 있는 반려견용 간식 등 반려동물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마초 제품을 선보인다. 이미 초기 물량 배송이 끝났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브라이트필드 그룹(Brightfield Group)에 따르면 미국 반려동물 CBD 시장 연간 매출은 4억달러(약 533
[더구루=김형수 기자] 스코틀랜드 주류업체 윌리엄그랜트앤선즈(William Grant & Sons)가 프리미엄 위스키 브랜드 글렌피딕(Glenfiddich) 아카이브 컬렉션 1987(Glenfiddich Archive Collection 1987·이하 글렌피딕 1987)’을 한정판으로 론칭했다. 글로벌 75병만 선보이는 만큼 국내에 출시될지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예 따르면 글렌피딕은 ‘글렌피딕 1987’을 선보였다. 1987년 12월 25일 위스키 생산 100주년을 기념해 양조돼 캐스크에서 보관하고 있던 위스키를 활용해 만들어졌다. 글렌피딕은 스코틀랜드 북동부 더프타운(Dufftown)에 위치한 증류소 창고 내 희귀 캐스크에서 보관되고 있는 고급 위스키를 아카이브 컬렉션이라는 이름 아래 매년 선보이고 있다. 글렌피딕 1987는 아메리칸 오크(American Oak) 소재 캐스크에 옮겨져 35년 동안 숙성된 위스키를 병입했다. 알콜도수는 53.7%에 달한다. 배, 사과 등의 풍미를 느낄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75병 한정으로 생산됐다. 스코틀랜드 더프타운에 있는 글렌피딕 양조장 부티크에서 선주문을 받았다. 오는 9월부터 영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기업 드라이브코(Driveco)가 네덜란드 연금투자회사 APG의 투자를 유치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드라이브코는 APG가 참여한 신규 자금 조달 라운드를 통해 2억5000만 유로(약 3630억원)를 투자 받았다. 이번 투자는 프랑스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부문 투자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투자다. 드라이브코는 2억5000만 유로를 APG 통해 받게 되며 기존 주주인 미로바와 코르시카 솔은 과반 지분을 유지한다. 드라이브코는 2010년 프랑스 태양광 전문 기업 코르시카 솔에서 분사하며 시작됐다. 현재 프랑스 내에 8000개 이상의 충전소를 운영, 건설하며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드라이브코는 당초 다른 기업들의 충전소를 개발, 운영했지만 2020년 직접 서비스로 전환했다. 이에 까르푸 마켓 주차장에 600개 이상의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3000개 이상의 주차 공간에 충전기를 설치하는 성과를 올렸다. 드라이브코는 2022년 매출이 3배 증가하며 2500만 유로를 넘어섰으며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빠르게 매출 규모를 키워간다는 계획이다. 드라이브코 관계자는 "기후 비상 사태에 대처하기
[더구루=홍성환 기자] AI 소프트웨어 기업 빅베어AI 홀딩스(BigBear.ai)와 데프콘AI(DEFCON AI)가 안정적인 군수지원과 준비태세를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양사는 1일 군사 준비태세 및 합동 군수 역량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전 세계 방위산업 부문 전반에서 경쟁적 군수지원(적대국이 전쟁을 비롯한 충돌 상황에서 군수품의 이동을 방해하는 상황), 합동군 유지, 준비태세 평가 등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케빈 맥앨리넌 빅베어AI 최고경영자(CEO)는 "양사의 파트너십은 핵심 시장에서 임무 중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협업"이라며 "남서부 멕시코 국경의 전술적 작전부터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작전에 이르기까지 방위산업체의 가장 시급한 군수 및 준비태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빅베어AI는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에 특화된 AI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미국 증권가에서 제2의 팔린티어로 주목받고 있다. 주력 사업은 AI 기반 의사 결정 인텔리전스 솔루션이다.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영국에서도 임상을 진행한다. 뉴럴링크는 대상 지역을 확대해 임상 데이터 확보에 속도낸다. [유료기사코드] 뉴럴링크는 3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영국에서 임상을 시작한다"며 "UCLH(University College London Hospitals Trust), 뉴캐슬 병원과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를 통해 사람들이 생각으로 기기를 제어, 디지털 자율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럴링크는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LS) 등의 원인으로 사지마비가 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럴링크는 미국과 캐나다, UAE에 이어 영국에서도 임상을 시작하며 유럽으로 범위를 확대하게 됐다. 뉴럴링크는 최근 임상 범위 확대는 물론 하루에 여러 건의 이식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도 확보하는 등 임상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뉴럴링크는 지난달 21일 "P8과 P9 수술을 성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