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다올투자증권이 태국 리츠 시장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위험을 분산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다. 2일 다올투자증권 태국 리츠법인에 따르면 임대 부동산 투자신탁 KTBSTMR은 최대 4억5000만 바트(약 171억 원)의 랏프라오 힐스 프로젝트에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시디 품왓사나 다올투자증권 태국 리츠법인 대표는 지난달 23일 열린 이사회에서 이번 투자 안건을 의결했다. 이후 대출 승인과 관련 담보 제공을 위한 임시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랏프라오 힐스 프로젝트는 사무실과 상업용 건물에 대한 투자를 전문으로 한다. KTBSTMR은 기존 투자 자산인 공장, 창고, 사옥, 커뮤니티 몰, 보관 센터 외에 새로운 자산을 추가하게 됐다. 기존 투자 자산의 가치는 총 42억1500만 바트(약 1600억 원)에 이른다. 다올투자증권은 리츠 시장에 대한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이번 랏프라오 힐스 프로젝트 투자를 결정했다. 또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기도 하다. 태국 리츠 시장은 지난 2014년 상품이 처음 도입된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규모는 지난 2017년 말 기준
[더구루=정등용 기자] KKR과 테마섹이 독일 여행 플랫폼 겟유어가이드(GetYourGuide)에 투자했다. 겟유어가이드는 주력 시장인 유럽을 넘어 북미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겟유어가이드는 2일 KKR, 테마섹, 유니크레딧, 블루풀 캐피털 등으로부터 주식과 부채를 혼합한 1억9400만 달러(약 26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겟유어가이드는 이로써 총 10억 달러(약 1조3100억 원) 이상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기업 가치는 14억 달러(약 1조8400억 원)에서 20억 달러(약 2조6300억 원)로 상승했다. 겟유어가이드는 가이드 투어와 미식 여행, 요리·공예 클래스 등 다양한 여행 액티비티 서비스를 지원한다. 현재 1만6000개의 업체가 입점해 있으며 7만5000개 이상의 액티비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여행 액티비티 시장은 현재 3000억 달러(약 400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KKR과 테마섹은 여행 액티비티 시장이 향후 1조5000억 달러(약 20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고 겟유어가이드에 투자를 결정했다. 겟유어가이드는 이번 투자 자금을 지난 한 해 동안 회사의 큰 성장 동력이었던 유럽 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하는 와중에도 많은 미국 헤지펀드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주식을 대거 매집했다. 1일 블룸버그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대형 헤지펀드 무어캐피탈은 지난 1분기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 미국주식예탁증서(ADR) 196만5668주를 매수했다. 3월 말일 종가(102.18달러)를 반영하며 2억90만 달러(약 265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다른 유명 헤지펀드인 써드포인트도 1분기 알리바바 ADR 132만6450주를 매수하며 폴트폴리오에 새롭게 추가했다. 3월 말일 종가 기준 1억3550만 달러(약 1790억원) 수준이다. 인베스트넷에셋매니지먼트는 188만3022주(1억9240만 달러·약 2540억원)를 샀다.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에셋매니지먼트는 알리바바 ADR 5만주를 추가 매수하며 보유 주식을 10만주로 두 배 확대했다. 사이언에셋 포트폴리오에서 알리바바 주식 비중은 9%에 달한다. 알리바바는 올해 1분기 매출이 2082억 위안(약 38조62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순이익은 235억1600만 위안(약 4조3620억원)으로 지난해 162억4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봉쇄 조치를 단계적으로 해제하면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기도 했지만 일각에선 회의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미·중 갈등과 소비 주도 성장, 부동산 위기가 주 요인으로 꼽힌다. 프랑스 자산운용사 젬웨이에셋의 아리엘 잉 왕 애널리스트는 1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코로나19 봉쇄 조치를 해제하면서 경제활동 재개가 이뤄졌다”면서 “하지만 5개월이 지난 지금 초기 모멘텀은 없어지고 실망감만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잉 왕은 미·중 갈등과 소비 주도 성장, 부동산 위기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중국 주식의 회복이 회의적이라고 분석했다. 잉 왕은 “글로벌 경제의 양대 축인 중국과 미국의 관계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관계 개선의 기대감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양국 경제의 디커플링(공급망 분리)은 미국 무역 적자 중 중국 비중이 감소한 데서 확인할 수 있다. 지난 2017년 미국 무역 적자에서 49.1%의 비율을 차지했던 중국 비중은 현재 29.1%까지 줄었다. 잉 왕은 과거 투자가 경제 성장을 주도했던 것과 달리 최근엔 국내 소비가 성장을 주도하는 부분도 문제점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호라이즌 ETF는 오는 8월8일 ‘호라이즌 북미 인프라 개발 지수 ETF(Horizons North American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dex ETF·BLDR)’ 등 3개 펀드를 청산할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이번에 청산 예정인 상품엔 북미 인프라 개발 지수 ETF 외에 ‘호라이즌 글로벌 백신 전염병 지수 ETF(Horizons Global Vaccines and Infectious Diseases Index ETF·HVAX)’, ‘호라이즌 GX 원격 의료 디지털 건강 지수 ETF(Horizons GX Telemedicine and Digital Health Index ETF·HDOC)‘가 포함됐다. 호라이즌 ETF는 청산으로 인한 순수익금에서 모든 부채와 청산 관련 비용 금액을 차감한 후 이를 비례해 배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호라이즌 ETF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규모의 ETF 상품을 운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50억 달러(약 33조 원)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으며 캐나다 주요 증권거래소에 108개의 ETF를 상장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011년 호라이즌 ETF를 인
[더구루=최영희 기자] 성안이 베트남 공장에서 네오디뮴 금속 시제품 생산을 시작하며 희토류 사업을 본격화한다. 성안은 베트남 빈증성 공장에서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금속 시제품을 6월 하순경부터 생산하기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 대표 희토류 광산기업으로부터 원료를 공급하겠다는 주요 거래 조건서를 받았다”며 “품질 테스트를 거친 뒤 대규모 공급 계약도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성안은 지난 1월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희토류 관련 사업을 신규 사업목적으로 추가하는 정관을 변경한 바 있다. 성안은 그동안 베트남 빈증성 미푹 3공단에 소재한 공장에 입주해 NdPr 금속 생산시설을 구축해왔다. 빈증성 공장은 현재 연간 144t(톤) 생산이 가능하다. 성안은 올해 10월까지 추가 생산설비를 들여와 생산량을 720t까지 확대한다. 내년엔 최대 2000t까지 늘려 나갈 계획이다. 희토류 금속 가공 특성 상 가동에 필요한 대규모 전력은 빈증성 전력국으로부터 3000KW 전력을 공급받기로 했다. 한편, 성안은 오는 6월 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희토류 사업을 이끌어갈 신규 이사진을 선임한다. 켄지 고니시(Kenji Konishi) 사내이사 후보는
[더구루=최영희 기자] 연금저축 투자자들에게 희소식이다. 고금리 시대에 최장기 30년 정기 예금 스타일의 ETF가 출시됐다. 만기까지 보유하면 세전으로 투자금액의 1.5배가 넘는 수익이 기대된다. 삼성자산운용은 31일 ‘KODEX 33-06 국고채 액티브 ETF’, ‘KODEX 53-09 국고채 액티브 ETF’ 2종의 만기매칭형 채권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밝혔다. ‘KODEX 33-06 국고채 액티브’와 ‘KODEX 53-09 국고채 액티브’ 2종은 일반 채권처럼 만기가 있는 ETF로 각각 2033년 6월, 2053년 9월 가량을 만기로 하는 국고채에 투자한다. 30일 기준 만기보유수익률(YTM, Yield To Maturity)은 각각 연 3.61%, 연 3.65%로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TR(Total Return)방식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만기 때 기대되는 수익률은 세전으로 각각 총 40.52%, 180.68%에 달한다. 이처럼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것은 현재가 최근 10년내 가장 높은 수준의 고금리 상황이기 때문인데, 많은 전문가들은 올해를 기점으로 고금리 채권 시장이 하향 안정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시 말
[더구루=최영희 기자] 라온피플 자회사인 인공지능 교통솔루션 전문기업 라온로드가 2023 ITS 유럽총회에 참석해 ‘스마트교차로’ 등 한국이 선도하고 있는 AI기반 교통 기술을 선보였다. 유럽연합과 ERTICO(ITS EU)가 주최한 ITS 유럽총회(5월22일~5월24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국토교통부와 한국지능형교통체계획회(ITS KOREA)는 라온로드 등 국내 ITS 전문기업들과 한국관을 열고 최신 스마트교차로 기술 발표와 함께 한국의 스마트 교통관리 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이날 한국관에서 기술 발표에 나선 라온로드는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ITS 사업과 관련한 경험과 노하우를 소개하고 AI 교통 솔루션을 선보이면서 유럽 도시교통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라온로드 강병기 부사장은 “세계적인 교통 솔루션 기업인 Yunex(유넥스), PTV(피티브이) 그룹과 스마트교차로에 관한 글로벌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성과를 이끌어냈다”며 “스페인의 세계적인 교통 컨설팅 기업인 IDOM(아이돔)과 남미 교통 솔루션 구축사업에 대해 협의하고,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AI기술과 첨단ITS 기술이 융합된 교통 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모색했다”고 설명
[더구루=최영희 기자] 우리기술은 브라질 상파울루 메트로부터 수주한 ‘수평형 플랫폼 스크린도어(PSD)’ 공급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회사측은 이번 수주로 올해 약 190억원의 매출이 기대된다는 입장이다. 지난 2019년 우리기술을 대표 기업으로 하는 ‘KOBRA컨소시엄(국내외 중소기업 연합 4곳)’은 브라질 상파울루 메트로와 1000억원 규모의 PSD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중 우리기술은 약 479억원의 PSD 공급계약을 상파울루 메트로와 맺었다. 해당 계약은 당초 37개 역사에 2024년 5월까지 PSD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계약 진행이 지연됐다. 지난해 말부터 PSD 공급이 재개됐으며, 우리기술은 2025년까지 전체 PSD 납품을 완료할 예정이다. 지난 25일(현지시간) 상파울루 메트로의 ‘벨름역’이 PSD 상업운전을 개시했을 뿐 아니라 ‘브레세역’도 시운전 중이다. 조만간 상업운전에 들어간다. PSD는 도시철도, 지하철, 경전철 등 각종 철도의 역사에 설치돼 운영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시스템이다. 우리기술은 국내 최초로 PSD의 안전등급 SIL4 규격을 획득했으며, 모듈러 타입으로 설계해 유지보수가 편리한
[더구루=최영희 기자]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내달 5~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전시회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 참가한다고 31일 밝혔다. 바이오 USA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업계 협력(파트너링) 행사다. JP모건헬스케어콘퍼런스, 바이오유럽 등과 함께 바이오 업계 대표 행사로 꼽힌다. 올해 바이오 USA는 '스탠드업 포 사이언스'(Stand up for Science)를 주제로 진행된다. 전세계 60여개국, 5000여개의 기업이 참가할 예정이다. 메드팩토는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제약사들과 뼈질환 치료 신규 후보물질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공동개발 및 기술 이전에 대해 논의한다. 메드팩토는 올해 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4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바이오 유럽 스프링(BIO Europe Spring)’ 등에 참가한 바 있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글로벌 제약사 등과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뼈 질환 치료 신규 후보물질을 포함해 회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의 공동개발과 기술이전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대환 대출 등 금융 상품 비교 시대를 맞아 카드 혜택도 정교한 비교가 가능해진다. 마이데이터 기업 헥토이노베이션은 카드 혜택 DB(데이터 베이스)와 카드 사용 내역을 AI로 분석해 주요 소비 항목별로 카드 혜택을 비교하고 최적의 카드를 추천하는 ‘카드 추천 서비스’를 더쎈카드 앱에서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더쎈카드 회원은 앱에서 마이데이터를 연동한 후 ‘AI카드 분석하기’만 누르면 즉시 확인 가능하다. 더쎈카드는 마이데이터를 이용한 카드 사용 실적과 3년 이상 축적한 국내 모든 카드 혜택DB를 매칭해 카드 사용에 따른 적립, 할인 등 혜택 극대화 방안을 안내하는 서비스다. 고객 혜택 극대화를 위해 사용 실적과 모든 카드의 혜택 DB를 동시에 이용하는 플랫폼은 더쎈카드가 국내에서 유일하다. 이번에 런칭한 카드 추천 서비스는 이용자의 소비 항목별 카드 혜택을 AI로 분석해 쇼핑, 자동차, 통신 등 주요 항목별로 가장 좋은 혜택을 가진 카드를 추천하고 연간 예상 혜택 금액까지 안내한다. 금융, 핀테크 업계의 기존 유사 서비스는 데이터 부족으로 이용자의 실제 카드 사용 내역과 카드 혜택을 함께 분석하지 못해 정교한 혜택 비교가 불가능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의 목표 주가를 상향했다. 인공지능(AI) 모멘텀 구축으로 올 하반기부터 수익 성장이 가속화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골드만삭스는 30일 마벨의 목표 주가를 46달러에서 60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등급을 부여했다고 밝혔다. 또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주당 순이익 추정치를 평균 14% 상향 조정했다. 비일반 회계기준 주당 순이익 목표는 0.86달러로 12% 상향했다. 토시야 하리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분기 이후 데이터 센터 상호 연결, 광학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별 집적 회로 등 인공지능 관련 모멘텀이 구축되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마벨은 올해 1분기 매출 13억2000만 달러(약 1조7400억 원)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9%, 전분기 대비 7% 감소한 수준이다. 마벨은 올해 2분기 13억3000만 달러(약 1조76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1분기 매출에선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통신사 인프라 부문 매출이 15%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