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이쿼녹스 EV의 보급형 모델을 출시했다. GM은 신형 이쿼녹스 EV를 앞세워 미국 보급형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GM 이쿼녹스 EV LT 모델은 3만4995달러(약 4830만원)부터 판매된다. 소비자들은 보조금 지원을 받아 2만7495달러(약 3800만원)로 구매할 수 있다. 이쿼녹스 EV LT는 출시와 함께 315마일(약 507km) 이상 주행거리를 가진 미국에서 가장 저렴한 전기차로 등극했다. 이쿼녹스 EV LT는 전륜구동 모델로 EPA 기준 완충시 최대 513km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경쟁모델들보다 큰 17.7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장착됐다. GM은 LT모델 출시로 이쿼녹스 EV의 라인업을 LT, LT 4륜구동, RS(전륜구동), RS485 트림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됐다. 가격은 LT 4륜구동이 4만295달러부터 시작하며 RS는 4만5790달러에서 시작된다. 최상위트림인 RS485는 4만9090달러부터 시작이다. GM은 이쿼녹스 EV LT를 앞세워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전기차 판매량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GM은 올 3분기 미국에서만 총 65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하이브리드 모델을 앞세워 필리핀 최대 모터쇼에 참가했다. '전기차 올인'에서 '하이브리드 우선'으로 브랜드 전동화 전략이 변경됨에 따라 인기 하이브리드 모델을 중심으로 필리핀 시장 공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6일 현대차 필리핀판매법인(HMPH)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24일 필리핀 마닐라 세계무역센터에서 열린 제9회 필리핀 국제 모터쇼(PIMS)에 참가했다. 지난 2022년 참가 이후 약 2년 만이다. 현대차는 이곳에서 행사 종료일인 27일까지 △싼타페 하이브리드 △투싼 하이브리드 △스타게이저 X △스타리아 △엘란트라 N 5종을 전시하고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차량 전시와 더불어 브랜드 고객을 위한 특별 선물도 준비했다. 현대차 차량을 시승 또는 예약한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 제작 굿즈를 증정한다. 아울러 고성능 브랜드 N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곳에 마련된 시뮬레이터를 통해 타임 어택 첼린지를 진행하는 등 N브랜드 모델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간도 선사한다. 관람객 대상 특전도 있다. 투싼 하이브리드와 스타게이저, 크레타 구매 시 현금 지원과 2년 무료 유지 관리 서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수소트럭 전문기업 니콜라가 월마트에 이어 국제특송기업 'DHL'에도 수소 트럭을 공급했다. 북미 B2B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며 지속해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DHL은 글로벌 주류 기업 디아지오(Diageo) 미국 공급망에 니콜라 수소트럭 2대를 도입했다. 공급망 내 탄소배출량을 80% 감축하겠다는 목표 실현 차원에서다. 디젤 트럭을 대체로 수소트럭을 투입한 만큼 향후 1년 안에 목표치를 달성할 것으로 DHL은 보고 있다. 니콜라 수소트럭은 1번 충전으로 최대 800㎞를 갈 수 있다. 니콜라는 산하 수소 충전설비 브랜드인 하일라(HYLA)를 통해 일리노이주 플레인필드에 위치한 디아지오 북미 최대 생산 시설에 모듈식 수소 충전소를 설치하고 수소트럭 운행을 적극 돕기로 했다. 니콜라의 수소 충전기는 960kg 용량의 수소 튜브 트레일러와 결합돼 안정적으로 연료를 보급해준다. 수소를 냉각·압축해 700바(bar)급 대형 수소 트럭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예상 연료 주입 시간은 20분 미만이다. 짐 몽크마이어 DHL 서플라이 체인 운송 부문 사장은 "이번 니콜라 수소 트럭 도입은 탈탄소화를 위
[더구루=윤진웅 기자]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공식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했다. 주로 각국 정상들과 만남을 전달하기 위해 활용하던 소통 창구를 통해 특정 기업인에 대한 고마움을 공개적으로 표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정 회장과 현대차그룹의 인도 내 위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모디 총리는 24일(현지시간) 개인 공식 'X'(옛 트윗터) 계정을 통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만나게 되어 기뻤다(Happy to have met Mr. Euisun Chung)"며 "인도는 투자하기에 이상적인 국가로 푸네 공장에 대한 현대차의 열정을 확인했다"고 적었다. 이어 "마하라슈트라주는 인도 경제의 중심으로 이번 대규모 투자는 인도 국민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회장이 직접 인도를 찾아준 데 따른 감사와 함께 현대차의 인도 대규모 투자에 대한 환영 인사를 전한 것이다. 앞서 정 회장은 지난 21일 총리 관저에서 모디 총리를 만나 인도 모빌리티 산업 발전 방향과 현대차그룹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정 회장은 "인도의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는 전 세계 사람
[더구루=윤진웅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인도네시아에서 트럭·버스용(TBR) 타이어 전용 이색 렌탈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지 상용차 운전자들의 주머니 사정을 고려한 합리적인 선택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지난 21일부터 인도네시아에서 TBR 타이어 렌탈 서비스를 2가지로 제공하고 있다. 사용 기간과 주행 거리를 미리 결정하는 방식과 렌탈 이후 ㎞당 비용‘CPK(Cost Per Kilometer)’를 지불하는 방식이다. 예측 가능한 지출을 토대로 인력과 화물을 운반하면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상용차 운전자들의 운영비 등 비용 절감을 돕기 위해 마련한 상품이다. 해당 상품에는 △타이어 정기 점검 △공기압 점검 △밸런스 조정 등 관리 서비스가 포함된다. 타이어를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도와 연료 효율성 향상을 돕고 마모 감소를 최소화하는 등 운전자 안전은 물론 차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했다. 인기 제품은 8톤 이상 대형 카고 트럭·트레일러·트랙터용 타이어인 'AH30'이다. 이 제품은 지그재그 모양의 3그루브(타이어에 새겨진 홈)를 적용해 높은 제동력과 구동력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하이브리드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파워트레인 다각화 전략을 토대로 현지 브랜드 1호 하이브리드차 출시 채비에 들어갔다.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에 따라 현지 하이브리드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전기차 시장을 앞지르고 있는 만큼 수요 확보에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다. 토요타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25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도 판매 라인업에 하이브리드 차량을 추가한다. 파워트레인 다각화를 토대로 현지 고객들의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해서다. 구체적인 모델을 결정하는 대로 출시 일정을 잡을 방침이다. 김운수 현대차 인도법인장은 현지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현대차는 가솔린과 디젤, CNG, 전기,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수소까지 언제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파원트레인 옵션을 가지고 있다"며 "현지 고객들의 선호도에 맞춰 하이브리드 차량 촐시를 준비를 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현대차는 인도 하이브리드 시장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자토다이내믹스인디아(Jato Dynamics India)에 따르면 올들어 9월까지 인도 하이브리드 시장은 전년 대비 19% 두 자릿수 확대되며 전기차(7%)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샤오미가 두 번째 전기차 생산 기지 마련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15년 내 글로벌 '톱5' 전기차 브랜드가 되겠다는 목표 아래, 내년 선보이는 신규 전기차 모델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브랜드 1호 전기차인 'SU7'이 꾸준하게 월평균 1만 대 판매를 나타내고 있는 만큼 향후 출시하는 신규 전기차 모델까지도 흥행을 점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내년 상반기 전기차 생산 제2 공장 가동을 목표하고 있다. 브랜드 1호 전기차 모델 SU7의 고성능 모델인 'SU7 울트라'와 함께 출시 예정인 신규 모델 'MX11'의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연간 전기차 생산 능력은 15만 대를 갖출 계획이다. 샤오미 2공장은 53만㎡ 규모 베이징 이좡 지역 산업 부지에 마련되고 있다. 지난달 첫 삽을 떴다. 이곳 산업 부지는 샤오미가 지난 7월 8억4000만위안(한화 약1600억320만 원)에 획득한 곳으로 부지 사용 기간은 50년으로 알려졌다. 이곳에 3개의 생산 시설과 지원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지난 3월 SU7을 출시한 샤오미는 자동차 생산 능력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연간 생산 능력 15만 대를 갖춘 제1
[더구루=윤진웅 기자] 금호타이어가 중국 난징공장 생산라인을 고성능·신에너지차(NEV) 타이어 중심으로 전면 업그레이드한다.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 최첨단 생산·시험 장비를 도입, 연간 고성능·NEV 타이어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한다. 중국 NEV 시장 성장 속도와 궤를 같이 하면서 NEV 수요 확대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최근 중국 난징공장 선진화 프로젝트에 나섰다. 성형기와 가황기, 균일성·동적 밸런싱 등 최첨단 생산·시험 장비를 도입하고, 총 3단계에 거쳐 생산라인을 NEV와 고성능 타이어 중심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인 투자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2억700만 위안(한화 약 401억 원)을 투입할 것으로 보인다. 1단계 작업이 완료되면 난징공장 전기차 타이어 연간 생산능력은 140만개 확대된다. 고성능 NEV 타이어 연간 생산 능력은 178만개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들어 중국 자동차 시장이 NEV와 고성능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수요 확보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중국자동차제조업협회(CAAM)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NEV 시장 규모는 129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완성차기업 스텔란티스가 팩토리얼에너지(이하 팩토리얼)와 손잡고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개발에 속도를 낸다. 팩토리얼과 전고체 배터리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한 현대자동차의 움직임도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스텔란티스는 23일(현지시간) 팩토리얼과 손잡고 2026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닷지 차저 데이토나(Dodge Charger Daytona) 데모차량(시험 차량)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텔란티스는 데모차량 출시로 팩토리얼과의 파트너십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게됐다고 설명했다. 스텔란티스는 2021년 7500만 달러(약 1035억원)를 팩토리얼에 투자하면서 JDA를 체결했다. 당시 스텔란티스는 2026년까지 경쟁력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선보이겠다고 밝혔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를 말한다. 전해질이 액체상태보다 안정적인 고체상태로 변경되면서 온도 변화나 외부 충격에도 안전할 뿐 아니라 에너지 밀도, 출력도 높아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2026년 공개될 전고체 배터리 탑재 닷지 차저 데이토나는 스텔란티스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中 독자 EV 플랫폼+기술 현지화’ 융합 전략을 토대로 중국 전략형 전기차 개발에 착수했다. 중국 시장 반전을 위해 신에너지차(NEV)로 정면 승부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로컬 브랜드들이 유럽과 남미 등 해외로 눈을 돌리는 지금이 비로소 지난 2017년부터 이어진 판매 부진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했다. ◇상하이R&D센터, 독자 EV 플랫폼 개발 착수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로컬 전기차 브랜드와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다. 그 중심에는 지난 18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한 현대차 첨단기술연구개발(상하이) 유한회사(Hyundai Motor Advanced Technology R&D (Shanghai) Co., Ltd.·이하 상하이 연구센터)가 있다. 상하이 연구센터는 현지 운전자 고려한 독점적인 설계를 통해 개발한 EV 플랫폼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디자인과 첨단 신기술을 탑재한 현지 전략형 전기차를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기존 △상하이 디지털 R&D센터 △옌타이 R&D센터 △청두 상용차 R&D센터 등 분야별로 R&D
[더구루=홍성일 기자] 우버가 투자한 영국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스타트업 웨이브(Wayve)가 미국에 진출했다. 웨이브는 미국 현지 테스트를 통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적용 범위를 확장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웨이브는 23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웨이브는 이번 테스트가 회사 설립 이후 처음으로 영국을 벗어나 진행하는 도로 주행 테스트라고 덧붙였다. 웨이브는 순차적으로 기술 적용 단계를 높여 도로 주행 테스트를 진행한다. 웨이브는 우선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를 진행한다. 웨이브는 이 과정을 통해 샌프란시스코의 지리, 도로 환경 데이터를 축적,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한다. 웨이브는 실리콘밸리에 사무실도 열었다. 웨이브는 실리콘밸리 사무실이 소프트웨어 개발, 하드웨어 통합 및 배포에 집중하며 미국 사업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웨이브는 미국 사무실 개소로 파트너들과 협업하기 좋은 환경이 구축된 만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구축하는데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웨이브는 현재 마이크로소프트(M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내년 상반기 보급형 전기차 출시 계획을 거듭 밝혔다. 올해 초 출시 계획을 한 차례 철회했다가 재추진하게 되면서 발생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23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내년 상반기 보급형 전기차 출시 사실을 재차 강조했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EV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다만 모델명과 판매 가격 등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언급은 따로 없었다. 실적 발표에서 테슬라가 보급형 전기차 출시 계획을 재차 밝힌 것은 투자자들과의 신뢰 관계 구축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초 2만5000달러 수준의 보급형 전기차 모델2 출시 계획을 철회했다가 투자자들의 반발에 부딪히며 재추진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테슬라가 말하는 보급형 전기차가 모델2가 될지 아니면 단순히 가격을 낮춘 모델3가 될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가격 역시 미정이다. 다만 지난 로보택시 공개 행사에서 2인승 로보택시를 2026년부터 3만 달러에 내놓겠다고 밝힌 만큼 판매가는 3만 달러 아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테슬라 보급형 전기차 출시는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감소 현상) 회복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가 일본 규슈전력과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규슈전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와 협력해 산업용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회사는 효율성과 저온 내구성을 개선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영하 30도에서도 95%의 용량을 유지하는 제품이 될 전망이다. 이번 협력 과정에서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는 배터리 셀을 공급하며, 규슈전력은 건설 기계 등 장비용 모듈을 설계한다. 키타규슈와 사가 지역의 현지 파트너 기업들도 협력에 참여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내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개발 성과를 선보일 예정이며, 오는 2027년까지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 투자사인 이브이첨단소재는 “프롤로지움이 초유동화 무기 고체 전해질을 발표하며 차세대 전고체 리튬 배터리 상용화 시대를 열었다”고 강조했다. 해당 전해질 기술은 고체 물질의 높은 이온 농도와 액체의 우수한 계면 접촉 특성을 결합해, 기존 전고체 배터리의 3가지 주요 병목 현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