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율호가 미국 나스닥 상장사 아쿠아메탈스(AQUA METALS)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전처리(폐배터리 중간재 생산)에 이어 후처리(원자재 추출) 기술까지 확보해 비즈니스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율호는 미국 네바다주 소재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아쿠아메탈스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한 500만 달러(한화 63억 원) 규모의 신주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통해 율호는 아쿠아메탈스의 2대 주주로 올라설 예정이다. 율호는 이번 투자에 이어 아쿠아메탈스에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다. 추가 투자는 단계별로 추진된다. 2단계는 조인트벤처 설립 시점, 3단계는 미국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시점이다. 아쿠아메탈스는 배터리 재활용 후처리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친화경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폐배터리에서 고순도의 유가금속(원자재)을 모두 회수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기존 습·건식제련방식과 달리 최소한의 화학물질만으로 물과 전기반응을 통한 친환경 추출 방식이 핵심기술이다. 이 회사는 73개 글로벌 특허와 출원 중인 43개의 라이선스를 통해 후발주자의 추격을 원천 봉쇄하고 있다. 율호 관계자는 “아쿠아메탈스의 아쿠아리파이닝 기술은 그간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투자자들이 중국에서 일본 자본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유안타증권투자신탁은 18일 일본 주식 펀드 공모 금액이 당초 목표했던 200억 대만달러(약 8100억 원)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줄리안 리우 유안타증권투자신탁 회장은 “그동안 일본에 대한 대만인들의 인상은 주로 관광에 관한 것이었다”면서 “하지만 일본의 경제, 산업, 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일본 주식 시장 투자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대만 금융감독위원회 데이터에 따르면 대만 투자자에게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인기 있는 해외 투자처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바뀌었다. 대만 펀드의 중국 익스포저가 14.6%(392억 대만달러) 감소하는 등 투자자들의 관심이 빠르게 식고 있는 것. 대만 은행의 중국 익스포저도 지난 5월 기준 1조5000억 대만달러(약 61조 원)로 1년 전보다 15% 감소했다. 유안타증권투자신탁은 중국 내 소비 부진과 부동산 시장 침체, 수출 감소 등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중국을 외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만 주변으로 중국 전투기가 비행하는 등 미·중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진단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일본 합작 법인 '글로벌X 재팬'이 중국 전기차 시장 투자를 위한 ‘글로벌X 중국 전기차·배터리 ETF’를 출시했다. 18일 글로벌X 재팬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배터리 ETF는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종목 코드 2254로 상장됐다. 이 상품은 ‘솔액티브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지수(Solactive China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Index)’를 추종한다. 솔액티브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지수는 전기차와 관련 배터리 분야에서 활동하는 중국 기업을 대표한다. 지수에는 △대체 에너지 자동차 △전기차 충전소 △배터리 충전 장비 △전기 모터 △리튬 화합물 분야 등에 속해 있는 35개 대기업이 포함돼 있다. 이 기업들은 중국과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NASDAQ), 홍콩증권거래소(HKEX) 등에 상장돼 있다. 글로벌X 재팬은 중국 전기차 시장의 빠른 성장세에 주목해 이번 상품 출시를 결정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글로벌 전기차 전망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정부의 이니셔티브에 힘입어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2025년
[더구루=최영희 기자] 알에프세미는 국내 S사와 인도네시아 정부에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S사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이끄는 '오토바이 전기화 계획'에 참여 중이다. 이를 통해 알에프세미는 LFP 배터리 공급을 추진한다. 알에프세미는 LFP 배터리 초도물량으로 400억 원에 달하는 총 1000만셀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 오토바이(E-scooter) 14만5000대 분량이다. 공급량은 향후 8000억 원 규모의 총 2억셀(300만대 분량)까지 늘어날 예정이다. 알에프세미 관계자는 “대부분의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업체들이 미국, 유럽에 집중하고 있어 배터리 공급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소외되고 있다”며 “이번 업무협약은 단순 배터리 공급을 넘어서 인도네시아를 전초기지로 삼아 동남아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 것에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알에프세미는 지난 5월과 6월 각각 미얀마, 싱가포르 기업과 LFP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인도네시아에 자사 LFP 배터리 공급을 통해 동남아 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인도네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더구루=최영희 기자] NH투자증권은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GPT뉴스레터’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18일 밝혔다. ‘GPT뉴스레터’는 NH투자증권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서비스다. 투자자 정보 접근성 제고를 위해 마련됐다. ‘GPT뉴스레터’는 전일 장 마감 기준 조회수 상위 10개 종목의 최근 뉴스를 주가이슈, 경영 및 재무정보, 신기술 및 경쟁력 카테고리로 분류해 제공한다. 핵심 내용을 키워드로 추출해 투자자들이 쉽게 이슈를 파악하도록 했다. NH투자증권은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켜 성공적인 투자를 돕기 위해 GPT뉴스레터를 도입했다. GPT와 같은 AI를 더욱 활용해 투자 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의 투자 경험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집해 ‘GPT뉴스레터’ 서비스의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고객들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키고,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드백을 분석해 서비스의 개선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NH투자증권 WM Digital사업부 정중락 대표는 “AI 기술을 활용한 ‘GPT뉴스레터’는 우리 회사가 AI 시대에 발맞춰 변화하고,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더구루=최영희 기자] 에너지 IoT 전문기업 누리플렉스가 근무 환경 혁신을 통한 업무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공유오피스 콘셉트로 스마트오피스 리모델링을 마치고 개소식을 열었다고 18일 밝혔다. 누리플렉스가 본사 사옥에 시범 구축한 스마트 오피스는 ▲자율좌석존 ▲업무집중존 ▲1인 사무공간 ▲4~6인 사무공간 ▲미팅룸 ▲1인 폰 부스 ▲OA 룸 ▲1인용 사물함 ▲리프레쉬 룸 등으로 근무 공간을 다양하게 구성했다. 특히 업무집중이 필요한 직원을 위해 벌집 모양의 사무공간을 마련했고, 보안이 필요한 업무수행자를 위해 폰 부스를 설치하는 등 공유오피스의 장점을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근무환경의 변화가 필요할 때,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프로젝트 회의 등 업무공간 및 휴식을 통한 재충전 등 다목적 공간을 대폭 확보해 직원들에게 쾌적한 사무환경을 제공한다. 누리플렉스는 이에 앞서 제도 혁신 일환으로 직급제를 폐지하고 사내호칭은 '프로'로 통일했다. 더불어 전사 모든 업무를 프로젝트 단위로 추진해 일하는 방식의 혁신과 성과보상 제도로 새로운 경영혁신과 기업문화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김영덕 누리플렉스 대표는 "스마트 오피스 도입으로 프로젝트 협업은 물론 업무 몰입도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캐피탈의 베트남 자회사 미래에셋파이낸스컴퍼니(MAFC)가 대규모 증자를 단행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파이낸스컴퍼니는 증자를 통해 정관 자본금을 기존 1조 동(약 535억 원)에서 1조5000억 동(약 800억 원)으로 늘렸다. 미래에셋파이낸스컴퍼니는 이번 증자를 통해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지난 2011년 설립된 미래에셋파이낸스컴퍼니는 미래에셋캐피탈이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로 베트남에서 여신금융업을 영위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빠른 속도로 현지 시장에 침투해 베트남 소비자 금융 시장에서 점유율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 2만 개 판매점을 통해 200만 명의 베트남 고객을 확보했으며 소비자 대출 상품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증자를 통해 미래에셋파이낸스컴퍼니는 고객이 장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적의 투자 관리 전략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베트남 소비자금융 시장은 지난 2019년 기준 약 6조 원 규모로 연평균 60% 이상 성장했다. 신용카드 고객 수는 지난 2018년 740만명을 기록, 전년 대
[더구루=최영희 기자] SGA가 국방전산정보원에서 추진하는 국방 온나라 2.0 전환 선행사업 (1단계) 및 국방부 기술자격검정(CBT) 체계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구축 사업은 SGA가 주 사업자로 사업 총괄과 온나라 ISMP체계 등 통합 시스템 기획 및 구축 역할을 수행한다. 국방사업 노하우를 가진 전문업체들 간 협업 컨소시엄으로 이뤄지는 이번 사업은 전군에 클라우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공유, 협업이 가능하도록 ‘온나라 2.0’체계로 전환하게 된다. 이 사업은 약 30억원 규모이며 사업기간은 올해 5월에서 12월까지 약 8개월동안 수행 예정이다. 온나라 문서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기안하고 결재 등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업무관리 시스템이다. 군은 온나라 1.0 시스템을 2010년부터 도입, 운영해 왔다. 이번 사업을 통해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군에 공유 및 협업이 가능하도록 온나라 2.0 체계로 전환하고, 노후화된 문서 유통시스템도 개선하고 고도화해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밖에 △기존 MOUS·SSO 기능개선(중복계정 정비, 조직정보 최신화 등) 및 기존 국방부 OMS·SSO 폐기 △팩스
[더구루=최영희 기자] 갤럭시아머니트리가 토큰증권(ST) 관련 기술 보유 기업인 에셋체인에 투자를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토큰증권 발행(STO) 전문 회사인 파이브노드에 이어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토큰증권 탑티어로 시장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에셋체인은 증권사 솔루션 점유율 1위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STO 관련 인프라 개발 전문기업이다. 지난 2021년부터 메이저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STO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토큰증권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이번 투자도 토큰증권과 연관된 증권사 인프라에 대한 이해도와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을 높이 평가해 이뤄졌다. 갤럭시아머니트리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등 토큰증권 발행에 특화된 파이브노드에 이어 증권사와의 토큰증권 플랫폼 개발 이력과 기술력을 보유한 에셋체인에 투자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발행과 유통, 전 영역에 대한 커버로 토큰증권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에셋체인을 주축으로 에셋체인 투자사들과 별도 합작법인을 설립해 STO 장외거래 중개업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근 갤럭시아머니트리는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시아 투자 전문 자산운용사 매튜스 아시아(Matthews Asia)가 한국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선보였다. 매튜스는 18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아르카(NYSE Arca)에 '매튜스 코리아 액티브 ETF(Matthews Korea Active ETF·MKOR)'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이 상품은 반도체를 비롯해 신에너지차, 정보기술, 바이오제약, 전자상거래, 엔터테인먼트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30여개 산업의 기업에 투자한다. 그동안 한국 증시에서 주목받지 않은 종목도 포트폴리오에 담는다. 매튜스 측은 "한국은 다양한 사업을 포괄하는 혁신 비즈니스의 본거지로 글로벌 브랜드로 변신하는 많은 기업이 있다"면서 "한국 경제는 다른 글로벌 시장에서의 강력한 수출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국내 소비자 기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쿠퍼 애보트 매튜스 최고경영자(CEO)는 "MKOR는 단일 국가 투자 전략으로 광범위한 국가 전략이나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없는 기업에 대한 차별화된 익스포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튜스는 1991년 설립한 아시아 투자 전문 자산운용사다. 6월 말 현재 운용자산(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네시아 종합 유통 업체 시나르 에카 셀라라스(Sinar Eka Selaras·ERAL)의 기업공개(IPO)를 주관한다. 시나르 에카 셀라라스는 17일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를 IPO 주관사로 선정하고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나르 에카 셀라라스는 공모가 범위를 370~410루피아로 설정하고 10억3000만 주를 발행해 최대 4253억8000만 루피아(약 36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IPO로 확보한 자금은 크게 세 가지 용도로 계열사에 사용될 예정이다. 우선 전체 자금 중 49.25%는 시나르 에카 셀라라스의 운전 자본으로 활용된다. 나머지 자금 중 37%는 사업체에 대한 대출로 투입된다. 이 중 93%는 미트라 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Mitra Internasional Indonesia)에 대출로 제공되며 운전 자본과 50개의 신규 매장 추가 및 10개의 매장 리뉴얼에 사용될 예정이다. 7%는 운영 자본 외에 4개의 신규 매장 추가와 2개의 매장 리모델링에 활용된다. 남은 13.7%의 자금은 에라 가야 인도네시아(Era Gaya Indonesia)와 마스터 셀람 누산타라(M
[더구루=정등용 기자] '넥스트 차이나'로 주목받고 있는 베트남 증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신탁운용의 베트남 투자 펀드 6종의 운용 순자산액은 1조2213억 원에 달한다. 펀드 6종은 △한국투자 베트남그로스 펀드(6758억원) △한국투자 베트남 주식혼합형 펀드(2633억원) △한국투자 차이나베트남펀드(343억원) △한국투자 베트남IPO 펀드(101억원) △ACE 베트남VN30(합성) ETF(2594억원) △ACE 베트남VN30선물블룸버그레버리지 ETF(80억원) 등이다. 이 중 ACE 베트남VN30(합성) ETF는 국내에서 베트남 증시에 투자할 수 있는 유일한 상품으로 자산 규모가 올해 1월 1375억원에서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국내에 상장된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10개의 신흥국 테마 ETF 가운데서도 가장 큰 규모다. 이처럼 베트남 시장으로 자금이 몰리는 데에는 기대에 못 미친 중국 리오프닝 효과와 미·중 갈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베트남은 미중 무역 분쟁을 계기로 중국을 떠난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몰리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베트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