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에어택시 제조업체 최초로 국제비즈니스항공위원회(International Business Aviation Council·IBAC) 인증을 획득했다.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시장 선점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IBAC는 조비가 비즈니스 항공기 운영을 위한 국제 표준(IS-BAO)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에어택시 제조업체 가운데 IBAC의 IS-BAO 인증을 획득한 것은 조비가 처음이다. 이는 국제 항공 운송사업용 항공기의 비행 운항 시 제반 안전 위험 요소를 도출해 위험분석 방향을 제시한 안전 관리 시스템이다. 조비는 "이번 인증은 에어택시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전했다. 조비는 미국 연방항공청(FAA)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가장 먼저 승인받은 에어택시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교통 체증이 심한 도시를 지나 공항과 기타 목적지까지 25마일의 짧은 도약으로 승객을 태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공해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를 개발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상용화가 목표다. 조비는 최근 영국계 자산운용사 베일리 기포드(Baill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스위스 항공사 에어다이내믹(Air-Dynamic)과 손잡고 서유럽 도심항공교통(UAM) 시장 진출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릴리움과 에어다이내믹은 스위스·이탈리아에서 에어택시를 운용·관리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릴리움은 에어다이내믹에 항공기 5대를 공급한다. 양사는 우선 스위스 루가노와 이탈리아 밀라노를 오가는 노선을 운행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서유럽 전역으로 노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에어다이내믹스은 스위스와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서유럽에서 개인용 전세기와 헬리콥터 전세 서비스 제공하는 항공사다. 독일에 기반을 둔 릴리움은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 등과 함께 에어택시 분야의 선두 주자로 꼽힌다. 지난 2017년 2인승 eVTOL의 시험 비행을 마쳤고 2019년에는 5인승 제품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현재 7인승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릴리움 eVTOL는 달걀 모양의 항공기 선실에 4개의 날개가 달린 7인승 제트 비행기다. 날개에는 모두 36개의 전기 제트엔진이 장착돼 있다. 다른 경쟁사의 eVTOL와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미국 뉴욕 존 F. 케네디(JFK) 국제공항 재개발 사업에 파트너사로 합류한다. 미주 지역 핵심 노선을 안정적으로 확보, 고객에게 최고의 여행 경험을 지속 선사한다는 계획이다. 22일(현지시간) JFK 공항 재개발 컨소시엄 '뉴 터미널 원(New Terminal One, 이하 NTO)'은 "대한항공과 새로운 전략적 장기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며 "대한항공은 현재 기존 제1여객터미널에서 운영중이며, 신(新)터미널이 완공되면 새로운 제1여객터미널로 원활하게 전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대한항공 외 △프랑스 에어프랑스-KLM △아랍에미리트 에티하드항공 △폴란드 LOT 등 국제 항공사도 NT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재개발 사업이 마무리되면 새로운 터미널에서 뉴욕 노선 운영을 이어간다. JFK 국제공항은 미국의 대표적인 관문 공항이다. 공항 이용객이 증가하고 시설이 노후화하면서 재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뉴욕·뉴저지 항만공사는 지난 2018년 JFK 국제공항 내 1·2 터미널 통합·확장 개발 사업을 발주했다. 투자액은 190억 달러(약 25조원)에 이른다. 기존 제1터미널과 폐쇄된 2터미널, 과거 3터미널을 합친 240만 평방피
[더구루=정등용 기자] 구글 플래닛랩스가 한국 AI(인공지능) 기반 위성·항공 영상 분석기업 SIA(SI Analytics)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플래닛랩스는 SIA의 지오AI(GeoAI) 분석 기술을 적용해 고해상도의 위성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플래닛랩스는 23일 열린 ‘2023 지리공간정보(GEOINT) 심포지엄’에서 SIA와의 파트너십 체결 소식을 발표했다. 플래닛랩스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SIA의 AI 기반 고해상도 물체 감지·세분화 알고리즘인 지오AI 분석 기술을 위성 이미지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위성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켜 군사 관심 지역(AOI)의 변화와 이상 징후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SIA는 이날 심포지엄에서 글로벌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아시아와 다른 지역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북한 동적 탄도미사일작전지역(BMOA) 탐색 프로젝트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위성의 높은 재방문 기능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글로벌 리스크를 모니터링 하는 한편 지오AI팩을 통해 이상 징후를 감지·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케빈 웨일 플래닛랩스 제품·비즈니스 담당 사장은 “AI 경쟁에서 진정한 가치는 독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가 우주 산업에 대한 민간기업의 참여를 확대한다. 20일 코트라 인도 암다바드무역관의 '인도의 업그레이드된 우주 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지난달 새로운 우주 정책을 공개했다. 주요 내용은 인도우주기관 ISRO(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의 업무 범위를 첨단기술 연구·개발로 한정해 더 이상 제조를 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특히 민간업체가 우주 물체, 지상 기반 자산, 원격 감지와 같은 관련 서비스 구축·운영 등의 분야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인도 정부는 2020년부터 우주산업의 민간 기업 참여에 대한 여론 수렴을 시작했으며, 산업계의 의지는 인도의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주 산업과 관련해 2021년 신규 창업 기업 수는 전년 대비 300%가 넘게 성장했다. 또한 벤처캐피털(VC)의 투자 금액은 196% 성장했다. 2021년 말 기준 총 100개사의 스타트업이 인도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스타트업의 71%는 인공위성·우주선 관련 시스템 개발과 인공위성 애플리케이션 분야로 조사됐다. 코트라는 "이번 정책은 ISRO에 주로 납품하는 4대 기업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조 바이든 정부가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컨트롤타워를 구축했다. 미국 주요 에어택시 제조업체인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과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의 상용화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등 UAM 국가 전략 수립을 위한 전담 조직을 구성했다. 미국 교통부를 중심으로 항공우주국(NASA)·교통보안국·연방항공청·연방통신위원회 등 많은 유관 기관이 참여했다. 미국 당국은 2025년 이후 UAM이 상업 운영을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 UAM은 수직이착륙이 가능해 도심에서의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한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를 뜻한다. 메가시티로 대변되는 미래 대도시의 극심한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떠오른 미래 모빌리티다. 미국 정부가 UAM 산업 육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조비·아처 등 미국 주요 에어택시 제조업체들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비는 미국 연방항공청(FAA)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가장 먼저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기업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양산형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첫 시제기 생산을 완료했다. 이르면 상반기 중으로 무인 시험비행에 돌입할 예정으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처는 최근 캘리포니아주(州) 팔로알토 생산공장에서 첫 양산형 eVTOL '미드나이트(Midnight)'의 조립을 마쳤다. 현재 검수를 진행 중으로 앞으로 2개월간 지상 테스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후 초여름께 무인 비행 테스트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아처가 지난해 11월 공개한 미드나이트는 조종사 이외에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eVTOL다. 32㎞의 짧은 연속 여행에 최적화됐으며, 충전 시간은 약 10분이다. 아처는 2024년 말까지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인증을 받은 다음 이를 도시 항공 운송 네트워크의 일부로 사용해 2025년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애덤 골드스테인 아처 최고경영자(CEO)는 "이 시제기는 항공 당국 인증 획득을 가속화하고 2025년 서비스 개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처는 미국 대표 항공사 유나이티드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의 드론 배송 스타트업 윙콥터(Wingcopter)가 수백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윙콥터는 유럽 내 드론 기반 물론, 배송 서비스 분야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투자은행(EIB)은 윙콥터에 대한 4000만 유로(약 580억원) 투자를 단행했다. EIB는 해당 자금을 준자본(quasi-equity)으로 설명하며 자금 일부는 자기자본으로, 나머지는 벤처 대출로 지원했다. 해당 방식은 EIB가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윙콥터는 EIB 투자로 현재까지 총 1억 유로를 조달하게 됐다. 윙콥터는 2017년 설립됐으며 독일 다름슈타트에 본사 두고 있다. 윙콥터는 물류, 측량, 감시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된 전기수직이착륙 드론을 개발, 제작하고 있다. 윙콥터의 드론은 8개의 프로펠러가 장착된 8축 설계를 갖춰 강한 바람에도 비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지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현재는 전기 배터리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드론도 개발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할 경우 드론의 비행가능 거리는 5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윙콥터는 최근 자사의 드론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미국법인인 '슈퍼널'이 빌 게이츠가 투자한 미국 항공우주 회사 '에코다인'(Echodyne)과 협력에 나선다. 에코다인의 레이더 기반 탐지 기능을 기반으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안전 시스템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에코다인은 9일(현지시간) 슈퍼널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슈퍼널이 개발하는 eVTOL에 에코다인 레이더 시스템을 결합한다. 더불어 오는 2028년 eVTOL 상용화를 위한 협력에도 나선다. 에코다인 레이더 시스템은 기내 상황 인식은 물론 수직 항로 및 비행 회랑 주변 지상 기반 추적 설치를 위해 개발됐다. 에반 프란켄버그(Eben Frankenberg)는 에코다인 최고경영자(CEO)는 "슈퍼널은 에코다인이 추구하는 '안전 제일 원칙'을 우선으로 항공 모빌리티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eVTOL 안전 시스템을 강화해 상용화를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슈퍼널은 파트너십 지원을 위해 에코다인에 소규모 투자도 단행했다. eVTOL 개발에 있어 활용성이 높은 레이더 기반 탐지 기능을 제공한 대가로 풀이된다. 레이더는 도심 항공 환경 조성에 있어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유럽 최대 풍동 시설에서 테스트에 돌입했다.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릴리움은 네덜란드 마르케세에 위치한 풍동 시설에서 엔진와 플랩 구동기 등을 포함해 1~2.5스케일(40% 사이즈) 릴리움 제트 모델에 대한 풍동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풍동은 인공으로 바람을 일으켜 기류가 비행기나 자동차 등에 미치는 작용이나 영향을 실험하는 터널형 장치다. 릴리움은 이번 풍동 테스트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공기 개발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릴리움은 "풍동 테스트는 항공기 개발 계획의 중요한 단계"라며 "올해 말 최종 조립에 앞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독일에 기반을 둔 릴리움은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 등과 함께 에어택시 분야의 선두주자로 꼽힌다. 지난 2017년 2인승 eVTOL의 시험 비행을 마쳤고 2019년에는 5인승 제품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현재 7인승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릴리움 eVTOL는 달걀 모양의 항공기 선실에 4개의 날개가 달려
[더구루=홍성환 기자] 토종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스타트업 플라나(PLANA)가 일본 에어택시 기업 스카이택시(SkyTaxi)에 항공기를 공급한다. 글로벌 UAM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플라나는 스카이택시와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50대를 공급하는 내용의 협력의향서(LoI)를 맺었다고 8일 밝혔다. 플라나는 오는 2030년까지 우선 10대를 인도하고 이후 2040년까지 나머지 40대를 차례로 공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양사는 UAM 항공기 개발 및 운용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스카이택시는 일본 택시업체인 다이호택시그룹(Daiho Taxi)이 지난해 설립한 UAM 업체다. 오사카 도심과 주변 간사이공항·고베공항을 연결하는 에어택시 사업을 준비 중이다. 오는 2025년 오사카 엑스포에 맞춰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2021년 7월 설립된 플라나는 하이브리드 기반 eVTOL 개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항공기를 개발 중이다. 이 회사의 항공기는 터빈 발전기와 배터리 시스템이 상호 보조하는 직렬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사용해 순항 시속 300km, 최대 시속 350km으로 500km 이상 장거리 비행을 할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트캡이 전라북도와 손잡고 전세 항공기와 결합된 한류 융·복합관광상품을 내세워 해외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제트캡은 4일 전북도와 지역 관광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서울 소피텔 호텔에서 열린 ‘2023 전북에 온(on)페스타’ 관광설명회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K-전북관광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전북도·14개 시·군과 국내 유수의 기업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제트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전북도는 물론 14개의 시·군 관광자원을 토대로 해외 한류 팬들이 전세계 어디서나 한국을 방문할 수 있게 개인 전용기(20인승 이하)과 여객 전세기(500인승 이하)를 제공한다. 특히 전세 항공기과 결합된 △연예인 팬사인회 △연예인 콘서트 관광상품 등 한류 융·복합 관광상품를 개발하기로 했다. 전세계 2500만 명의 회원을 구축한 글로벌 팬덤 플랫폼 팬투(FANTOO)와 제트캡 해외지사 10여개를 통한 해외 홍보도 한다. 제트캡과 팬투를 운영하는 한류뱅크는 글로벌 한류 문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한류뱅크 지주사인 한류홀딩스는 미국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제트캡 김익수 대표이사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