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셋째 아들인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는 사업인 파이브가이즈가 공격 행보에 나선다. 국내 론칭 1주년을 맞아 지방 진출과 배달, 기프트 카드 등 서비스를 확대한다. 지난해 6월 서울에 첫 매장을 연 미국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FIVE GUYS)가 26일로 국내 론칭 1주년을 맞았다. 1년 만에 전 지점이 ‘글로벌 TOP10’에 오르는 대기록을 세운 한국 파이브가이즈는 ‘맛과 품질’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버거 시장을 계속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파이브가이즈 국내 운영사인 에프지코리아에 따르면 △강남 △여의도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서울역 등 4개 지점이 ‘글로벌 TOP10 매장’에 모두 이름을 올렸고, 론칭 초기를 제외하곤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파이브가이즈는 15가지 무료 토핑을 활용해 ‘나만의 버거’를 만들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선호를 반영하는 동시에 다양한 맛의 경험을 선사했다. 온라인에는 유명 인플루언서와 고객들이 작성한 ‘파이브가이즈 베스트 토핑 조합’ 관련 게시물이 여럿 올라왔다. 국내산 신선 감자로 만든 프라이즈도 큰 인기를 끌었다. 파이브가이즈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콜마그룹 해외사업 담당 계열사 콜마글로벌이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컨디션 징코'를 전면에 내세워 마케팅을 강화하고 사업성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콜마글로벌이 베트남에서 컨디션 징코를 할인 판매하며 가격 경쟁을 본격화했다. 기존(39만동)에서 45% 가격을 낮춰 17만5500동에 판매한다. 컨디션 징코는 콜마글로벌이 지난 2021년 베트남에 출시한 현지 전략형 제품으로, 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기식이다. HK이노엔의 대표 제품 '컨디션' 브랜드를 따 한류에 익숙한 현지 소비자를 집중 타깃했다. 은행나무잎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인 징코는 △인지·기억력 등 뇌기능 활성화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콜마글로벌이 컨디션 징코를 콜마글로벌을 대표하는 얼굴 상품으로 꼽고 사업 확대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컨디션 징코로 현지 소비자 구매 비용 부담을 덜어준 다음 추가 구매를 유도하고 건기식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는 것. 콜마글로벌이 베트남 건기식 시장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크레던스 리서치(Credence Research)가 베트남 건기식 시
[더구루=한아름 기자] 삼양식품 불닭챌린지가 글로벌 곳곳에서 재점화됐다. 덴마크 정부가 불닭볶음면 일부 제품을 리콜(회수)하면서 해외 시장에서 다시금 각광을 받고 있다. 실제 유튜브, 틱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불닭챌린지가 재생산되는 데다 각종 외신에서도 이를 주목하고 있다. 24일 구글 검색 트렌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불닭 검색량은 지난 12일 덴마크 정부 리콜 발표 직후부터 2주 새 수직 상승했다. 검색량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어 24일 현재 5월 평균치를 웃돌고 있다. 구글 웹 검색량 기준으로는 '덴마크', '불닭 리콜', '불닭 덴마크'가 2주새 급등 검색어 1위~3위를 기록했다. 이어 덴마크에서 금지된 불닭'(buldak banned in denmark) 검색량은 2950% 증가했다. '불닭 리콜'(buldak ramen recall)은 2250% 늘었다. 유튜브 검색량 기준 1위 검색 키워드는 '덴마크 불닭'(Denmark buldak)이었다. 특히 상위 검색어 기준 불닭챌린지(Fire Noodle Challenge) 검색량이 1850% 늘었다. 불닭볶음면(лапша buldak) 검색량은 1000% 늘어나는 등 불닭 관련 검색어를
[더구루=이연춘 기자] bhc치킨이 태국에 5호점과 6호점을 연이어 오픈하며 매장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bhc는 올해 1월 태국 bhc 1호점을 첫 오픈한 이래, 6개월 만에 방콕 대형 쇼핑몰과 유동 인구가 많은 주요 지역에 6개 매장을 오픈하는 등 태국 시장을 빠르게 파고들고 있다. bhc는 태국 방콕에 ‘리버티 플라자(LIBERTY PLAZA)점’과 ‘bhc 시암센터(bhc Siam Center)점’을 각각 오픈했다고 24일 밝혔다. 5호점인 ‘리버티 플라자점’은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트렌디한 거리인 통로(Thonglor)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딜리버리 전용 매장이다. 다이닝 매장과 동일한 메뉴 구성을 통해 bhc 치킨의 모든 메뉴를 배달로도 즐길 수 있도록 했으며, 태국 현지 배달 플랫폼 1위 업체와 단독 제휴하여 배달 시장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6호점인 ‘bhc 시암센터점’은 방콕 대형 쇼핑몰 시암센터에 입점했다. 시암센터는 현지 고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는 패션과 F&B 중심의 쇼핑몰로, 특히 푸드코트가 잘 발달되어 있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방콕 핫플레이스 중 하나다. bhc 치킨 관계자는 "올해 태국에 추가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에 소용량 유음료를 론칭하며 시장 선점에 나섰다. 현지 유음료 사업이 초기 흥행하자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관련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유음료 프로요!·초코IQ 90ml 제품을 론칭했다. 베트남 전역에 자리한 식료품점과 슈퍼마켓 등을 통해 이들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용량이 기존 제품(180ml)의 절반에 불과한 소용량 제품 출시를 통해 소비자 선택을 폭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오리온은 90ml 제품이 자녀 책가방 옆주머니에도 잘 들어가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도 손쉽게 챙겨갈 수 있다고 전했다. 또 어린이들의 경우 많은 양의 유음료를 한꺼번에 마시는 것보다 적은 양의 유음료를 여러 차례에 나눠서 마시는 것이 영양성분을 흡수하는 데도 더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유음료 사업 흥행을 이어나가기 위한 오리온의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오리온이 지난해 9월 태국 유음료 전문기업 더치밀(Dutch Mill)과 손잡고 베트남에 출시한 프로요!·초코IQ 등은 론칭 2개월 만에 1700만개 판매를 돌파하며 단박에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본보 2023년 12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호주 시드니에서 연달아 비비고 팝업스토어를 오픈하고 'K-스트리트푸드' 홍보전에 박차를 가한다. 현지 소비자들에게 비비고 제품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오는 30일까지 호주 시드니 북쪽에 자리한 대형 쇼핑센터 '웨스트필드 와링가 몰'(Westfield Warringah Mall)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이어 시드니에서 북서쪽 혼즈비(Hornsby) 지역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웨스트필드 혼스비'(Westfield Hornsby)에서 다음달 11일부터 21일까지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시드니 교외에 자리한 이들 쇼핑몰에는 에이솝, 캘빈클라인, H&M, 나이키 등 글로벌 브랜드 매장에 입점해 있다. 영화관도 자리하고 있어 쇼핑과 여가 등을 즐기려는 현지 소비자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명소다. CJ제일제당은 호주 팝업스토어에서 비비고 만두, 떡볶이, 김밥 등을 집중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이 지난해 5월 K-스트리트 푸드 전략품목으로 선정한 제품들이다. 지난달 호주 최대 대형마트 체인 울워스(Woolworths)를 통해 비비고 참치마요 김밥∙불고기
[더구루=한아름 기자] 농심이 미국에서 개최된 멕시코 음악 페스티벌의 후원사로 등장했다. 미국 내 중남미 시장 입지를 굳히고 영토 확장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중남미 시장은 아직까지는 K푸드 미개척지로 꼽히지만, 6억 명이 넘는 인구 대국에다 K팝 팬들을 중심으로 한류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농심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야외음악당 할리우드볼(Hollywood Bowl)에서 열린 제35회 마리아치 USA 뮤직 페스티벌(35th Mariachi USA Music Festival·이하 마리아치 뮤직 페스티벌)을 공식 후원했다. 마리아치는 솜브레로 등 멕시코 전통 복장을 한 소규모 밴드나 거리의 악사들이 연주하는 멕시코 전통 음악을 말한다. 이날 농심은 신라면 푸드 트럭을 행사장 전면에 배치해 관람객 1만7000여명을 대상으로 신라면·짜파게티 시식 행사를 열었다. 이밖에 신라면·짜파게티 제품 증정 이벤트도 진행했다. 농심이 마리아치 뮤직 페스티벌 공식 후원사로 나선 배경은 멕시코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기 위함이다. 멕시코는 인구 1억3000만명에 연간 라면시장 규모가 4억달러(약
[더구루=한아름 기자] 대상 종가가 프랑스 미식의 수도 리옹에서 K-김치 알리는 '홍보 첨병'으로 나섰다. 유럽을 김치 세계화의 전초기지로 '신영토 확장'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K-김치의 대명사'로 자리매김 한다는 목표다. 대상 종가는 지난 12일부터 닷새간 프랑스 리옹에서 개최한 스트리트 푸드 페어 행사에 참가했다. 리옹은 농산물이 풍부한 지역으로, 특히 와인·치즈로 대표되는 식도락의 도시로 유명한 만큼, K-김치의 자신감을 갖고 정면승부를 벌였다. 종가는 이 기간 홍보 부스를 열어 △열무김치 △맛김치 △깍두기 △백김치 등 김치 라인업 홍보에 나섰다. 김치 크래커 시식 등 김치 스프레드를 활용한 핑거 푸드도 선보였다. 김치 스프레드는 크래커나 빵 등에 간편하게 발라 먹을 수 있는 잼 타입 제품이다. 종가는 이밖에 떡볶이 등 청정원 제품군을 소개하고 에코백 증정 이벤트를 여는 등 다양한 행사를 선보여 유럽 소비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리옹 행사가 유럽 전역으로 K-김치를 전파하기 위한 발판이 됐다는 게 종가의 분석이다. 실제 유럽에서 K-김치의 인기가 뜨겁다. 지난해 유럽으로의 김치 수출 실적은 약 1800만달러(약 250억원)로, 5년
[더구루=김형수 기자] 삼양식품이 일본 대학생을 겨냥한 대표제품 불닭볶음면, 신제품 탱글 마케팅 캠페인을 시작했다. 올해 하반기 일본 대학 축제를 통한 홍보전을 펼치며 열도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일본 소재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협찬 캠페인에 착수했다. 오는 8월30일까지 대학 주최 축제에 대한 협찬 캠페인 신청을 받는다. 오는 9월부터 12월 사이에 축제가 열릴 예정인 대학교 재학생 또는 교직원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신청 방법은 간단하다. 온라인을 통해 이메일 주소, 대학교 이름, 캠퍼스 이름, 담당자 이름, 담당자 직업, 축제 개최 일정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삼양식품은 신청한 대학교를 대상으로 축제 기간 제품 협찬 또는 부스 협찬을 제공하며 현지 시장을 겨냥한 불닭볶음면 홍보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오리지널 불닭볶음면을 비롯해 △4가지 치즈불닭볶음면 △로제불닭볶음면 △크림까르보불닭볶음면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 2월 일본에 론칭한 신제품 탱글 불고기크림파스타, 탱글 김치로제파스타 2종을 알리는 데도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탱글은 삼양식품이 해외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파스타에 한국적인 맛을 접목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빙과류 성수기 여름철을 맞아 베트남에 아이스크림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앞서 냉동 베이커리에 이어 아이스크림 등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현지 시장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가 베트남에 아이스크림 신제품 '아이슈크림'(아이스크림+슈크림) 2종을 론칭한다. 뚜레쥬르는 먼저 하노이·하이퐁 매장에서 아이슈크림을 판매하고 현지 소비자 반응을 살핀 뒤 입점 매장을 확대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아이슈크림이란 바삭하고 얇은 파이슈에 생우유 기반의 아이스크림을 듬뿍 넣어 만든 제과형 아이스크림이다. 뚜레쥬르가 현지 소비자들의 취향을 파악하고 연구개발(R&D), 디자인 품평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새롭게 탄생한 베트남 현지 전략형 제품으로, △녹차맛 △카라멜맛 총 두 가지로 구성돼 있다. 뚜레쥬르가 베트남에 아이슈크림을 출시하는 배경은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매출 성장을 꾀하기 위함이다. 베트남은 식품업체 빙그레와 롯데웰푸드 등의 아이스크림이 인기를 끌면서 K-빙과류에 대한 호감도가 높다. 게다가 베트남은 인구의 절반 이상이 30대 미만이며 과거 프랑스 식민지 영향으로 디저트 문화가 발달돼 있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이디야커피가 말레이시아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사업 진출을 본격화한다. 이디야커피는 지난 20일 말레이시아 쉐라톤 페탈링 자야 호텔에서 현지법인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문창기 이디야커피 회장과 모하마드 하파즈 빈 압둘 라힘 말레이시아 파트너사 CEO의 주관으로 진행됐다. 또한 모하드 하 무하마드 카밀 빈 압둘 무님 말레이시아 재무부 정치 비서관, 카이럴 아즈완 하룬 할랄개발공사 이사회 회장 등 말레이시아 VIP는 물론, 현지 언론과 예비 창업주를 포함해 약 250여명이 함께했다. 이러한 대규모의 MF 계약 체결식은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국내 브랜드 중에서 이례적인 사례로 꼽힌다. 그만큼 현지 시장 관계자들과 고객들이 ‘이디야커피’라는 한국의 커피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현지 사정에 밝은 기업을 통해 브랜드 가맹사업 운영권을 정해진 기간 동안 판매하는 방식의 계약이다. MF 파트너사는 향후 5년 내 말레이시아 200호점까지 확장을 목표로 두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 상권 분석을 바탕으로 다수의 입점 후보지를 확보했으며, 연내로 3
[더구루=한아름 기자] 산토리 글로벌 스프리츠(옛 빔 산토리·이하 산토리 글로벌)가 일본에 RTD(Ready To Drink) 하이볼 제품을 선보인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인기가 높아지면서 하이볼 시장 증가세가 가파른 가운데, 국내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산토리 글로벌이 일본에 '티처스 하이볼'(Teacher's Highball)을 선보인다. 티처스 하이볼에는 글래스고 블렌디드 스카치와 탄산수가 함유해 있다. 알코올 도수는 8%, 350㎖ 용량으로 출시된다. 산토리 글로벌은 최근 일본 내 젊은 소비자들이 독한 술보다 저도주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 일본의 RTD 시장은 13년 연속 성장세다. 그중 RTD 제품군 중 알코올 도수 7도 이상의 제품은 약 5.7배, 하이볼은 4배 성장하면서 기존 주류제품 성장률을 상회하고 있다. 산토리 글로벌은 일본 시장에 티처스 하이볼을 출시하면서 현지 소비자 반응을 살피고 해외 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일본 현지를 테스트베드로 삼고 다른 문화권으로 전파하겠다는 것. 이는 지난해 RTD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산토리 글로벌의 전략에 따른 것이다. 산토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