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가 노스필드 가스전 확장 프로젝트를 위해 인도되는 첫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선명을 전 엑슨모빌 최고경영자(CEO)의 이름으로 정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LNG 선단 확장 프로그램에서 발주된 최초의 LNG 운반선을 엑슨모빌의 전 회장 겸 CEO의 이름인 '렉스 틸러슨(Rex Tillerson)'으로 명명했다. 카타르에너지가 첫 선박을 렉스 틸러슨으로 명명한 건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다. 그는 엑슨모빌 CEO로 재직한 10년 동안 카타르와 에너지 부문 관계 통합을 감독하고, 카타르 LNG 산업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상당한 투자를 이끌어냈다. 동시에 카타르의 랜드마크 에너지 프로젝트 구현을 시작하고 감독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카타르가스(Qatargas) 2 프로젝트와 카타르 라스가스(RasGas) LNG사업을 함께했다. 특히 재임 기간에 업계 최대 규모의 LNG 운반선 큐맥스(Q-Max, 26만5000㎥)와 큐플렉스(Q-Flex, 21만㎥)를 개발했다. 사드 셰리다 알카비(Saad Sherida Al-Kaabi)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 회장 겸 카타르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스라엘 배양육 스타트업 알레프 팜스(Aleph Farms)가 태국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첫 해외 경영 행보다. 알레프 팜스에 투자한 CJ제일제당에 호재가 될 것으로 점쳐진다. 앞서 CJ제일제당은 알레프 팜스에 투자하고 아시아 태평양 배양육 시장 선점을 본격화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태국 바이오 기업 BBGI와 펌박스바이오(Fermbox Bio)에 따르면 알레프 팜스와 손잡고 배양육 생산 합작 공장을 건설한다. 태국 내 최초다. BBGI는 2004년 태국에 설립한 합성 생물학 기술 기반 바이오연료 생산 기업이다. 펌박스바이오는 배양육의 품질을 고도화하는 합성 생물학 기술과 배지 생산 공장을 보유한 기업이다. 양사는 합성 생물학 기술(Synbio) 연구 경험과 배지 생산 시설 운영 노하우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알레프 팜스는 이들 기업에 소고기 배양육 생산 기술 전수와 생산 시설 구축을 돕는다. 알레프 팜스는 지난해 소고기 배양육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생산 시설은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확보한다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자국 이스라엘을 포함한 싱가포르, 태국 등에서 글로벌 배양육 생산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됐다. 현지
[더구루=한아름 기자] SK그룹 투자한 베트남 제약사 이멕스팜(Imexpharm)이 국내 합성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 제뉴원사이언스(이하 제뉴원)와 맞손을 잡는다. 당뇨병 치료제 등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베트남 의약품 시장에서의 SK그룹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는 이멕스팜 지분 지분 53%를 보유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제뉴원에 따르면 이멕스팜과기술 이전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멕스팜은 제뉴언의 베트남 시장 진출을 돕는다. 구체적으로 제뉴원의 의약품 등록 및 판매 허가 등 서류 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멕스팜은 제뉴언의 당뇨병 치료제인 포슈벳정 10밀리그램을 포함한 7개 제품의 생산 기술을 전수받는다. 이를 통해 의약품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트란 티 다오 이멕스팜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가 확장되며 이전보다 폭넓은 환자층을 수용할 수 있게 됐다"며 "제뉴원이 보유한 최상의 제약 기술, 임상 경험 등과 같은 노하우는 물론, 전문 인력과의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전했다. SK그룹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최대주주 자리에 오른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자푸라 유전에서 천연가스 매장지를 추가로 발견했다. [유료기사코드] 압둘아지즈 빈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아람코 자푸라 유전에서 15조 입방피트 천연가스가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자푸라 유전 매장량은 가스 229조 입방피트, 콘덴세이트 750억 배럴로 추정된다. 자푸라 가스전은 세계 최대 유전인 가와르 유전 남동부에 위치한 가스전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자푸라 가스전 확장 사업을 진행 중이다. 개발이 완료되는 오는 2036년에는 생산량이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전체 생산량의 4분의 1 수준인 2조2000억ft³에 달할 전망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셰일가스 산업에서 사용되는 첨단 추출 방법이 필요한 비전통적 가스 매장량 개발을 위해 노력 중이다. 앞서 지난 2022년 초 아람코는 오는 2030년까지 가스 생산량을 현재 수준에서 50% 이상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광산회사 로터스 리소스(Lotus Resources Limited, 이하 로터스)가 아프리카 우라늄 프로젝트 확대를 위해 3000만 달러(약 400억원)를 모금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로터스는 우라늄 프로젝트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략적 주식 발행을 통해 3000만 달러를 조달한다. 글로벌 투자 은행 캔어코드 제뉴이티(Canaccord Genuity)가 이번 공모의 대표 매니저를 맡고 BW 에쿼티스(Equities)가 공동 매니저를 맡는다. 이번 공모에는 1억 주를 주당 0.30달러에 발행한다. 이는 최종 주가인 0.32달러에서 6.5% 할인된 가격이다. 공모 종료는 오는 28일이고, 신주 배정은 공모 종료 다음날이다. 이번 주식 발행을 통해 콜로라도 소재 헤지펀드 운용사 파라다이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Paradice Investment Management)가 실직적인 주주가 될 예정이다. 파라다이스는 이번 공모에서 로터스에 2000만 달러(약 266억원)를 투자해 회사 지분 5.5%를 확보한다. 로터스는 이번에 모은 자금으로 카옐레케라(Kayelekera) 우라늄 프로젝트의 프런트엔드 엔지니어링 및 설계(FEED) 활동
[더구루=길소연 기자] 말레이시아가 글로벌 항공 공급망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2030년까지 7년 간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구체화한 신산업기본계획(NIMP 2030) 통해 '글로벌 항공우주 허브'로의 변모를 꾀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항공우주 분야 역할 확대를 추진한다. 리우 친통(Liew Chin Tong)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차관은 "항공우주부문은 NIMP 2030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NIMP 2030 시행으로 말레이시아는 항공우주 제조와 서비스의 글로벌 중심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NIMP 2030은 현 안와르(Anwar) 정부의 핵심 정치철학인 Madani Economy 이니셔티브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2030년까지 7년을 시계로 한 제조 및 관련 서비스 산업의 발전 전략을 담은 백서이다. △경제 복잡성 제고 △디지털 전환 가속화 △순제로(net zero) 달성 △경제 안보 및 포용성 등 4가지 미션이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NIMP 2030 이행을 위해 7년간 총 950억 링깃(약 26조원)의 투자유치를 목표로, 10% 내외인 82억 링깃(약 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가 제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기업 대부분이 사이버 보안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서 인공지능(AI) 투자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미국의 사이버 보안 기업 팔로알토 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의 의뢰로 영국 시장조사기관 센서스와이드(Censuswide)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기업 94%가 사이버 보안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AI 투자를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조사 대상 기업 77%가 전체 디지털 프레임워크에서 AI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사이버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기업 87%가 사이버보안 위협을 이해하고 있으며 71%는 사이버 보안을 이사회 수준에서 중요한 문제로 여기고 있다. 높은 관심도 만큼이나 사이버보안에 대한 대비책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기업 91%가 자신들의 조직이 사이버 위협을 처리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것이다. 사우디 기업들은 향후에도 사이버 보안 분야에 대한 투자를 이어나간다. 조사기업 중 69%가 향후 사이버 보안 자금을 확충할 예정이며 84%는 보안 솔루션을 간소화해 복잡성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 타타그룹이 대만 기업과 손잡고 현지에 첫 파운드리 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UMC나 PSMC가 파트너사 후보로 꼽힌다. 성숙 공정을 도입하고 초기 월 웨이퍼 2만5000장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다는 복안이다. 미·중 분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제3의 반도체 허브'로 인도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인도 경제지 이코노믹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타타그룹은 UMC나 PSMC 등 대만 기업과 인도 구자라트주 돌레라에 반도체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초기 생산능력은 월 웨이퍼 2만5000장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65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에서 시작해 48·28나노를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에 쓰이는 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이다. 다만 28나노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충분한 주문 확보가 이뤄져야 해 공정 업그레이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타타그룹은 반도체 사업 추진 의사를 수차례 내비쳤다. 코로나19 여파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을 겪으며 반도체 수급 능력이 중요해졌다. 인도도 예외는 아니다. 나타라잔 찬드라세카란 타타그룹
[더구루=길소연 기자] 다국적 광산기업 리오틴토(Rio Tinto)가 호주 퀸즐랜드의 글래드스톤(Gladstone) 알루미늄 사업장 운영을 위해 풍력발전에서 생산한 전력을 확보한다.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조달로 알루미늄 프로젝트의 탄소배출을 줄인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리오틴토는 윈드랩(Windlab)과 퀸즐랜드에서 추진 중인 1.4기가와트(GW) 규모의 붕가반(Bungaban)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에서 전력을 구매하기 위해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했다. 리오틴토는 1.4GW 붕가반 풍력에너지 프로젝트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80%를 25년 동안 구매할 계획이다. 나머지 20%는 호주 국가 전력 시장에 공급된다. 리오틴트가 확보한 전력은 보인(Boyne) 알루미늄 제련소와 290만톤(t)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야룬(Yarwun) 알루미나 정련소 등에 쓰인다. 개발 초기 단계인 붕가반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는 건설 중 최대 6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고용, 공급 및 계약 기회를 통해 지역 경제에 수억 달러를 기여한다. 동시에 퀸즈랜드 약 74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만큼 청정 에너지를 생산한다. 매년 퀸즐랜드주 에너지 생산에서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 조선소 시트리움(Seatrium, 옛 샘코프마린)이 43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수리와 개조를 맡는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시트리움은 가스로그(GasLog LNG Services)와 영국 운송회사 스타스코(Shell International Trading and Shipping Company, STASCO)와 LNG 운반선에 대한 유지보수, 개조, 업그레이드 서비스 관련 계약을 갱신했다. 시트리움은 올해부터 오는 2029년까지 두 회사의 LNG 운반선 43척을 수리, 개조 및 업그레이드한다. 코스타스 카라타노스(Kostas Karathanos) 가스로그 LNG 서비스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시트리움에서 대부분의 차량을 개조하기 위해 수년간 파트너십을 이어 왔다"며 "FSRU 전환에 있어 시트리움을 신뢰한다"고 말했다. 시트리움은 LNG 운반선의 수리와 개조, 업그레이드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이다. 2007년부터 11개의 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FSRU) 개조를 완료했다. 2017년 초에는 세계 최초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개조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그리스 해운왕 조지 이코노무(George E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가 올해 50년 만기 장기채권 발행을 추진한다. 올 4분기에는 실적 연동 배당을 지급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지아드 알 무르쉬드 아람코 신사업 개발 담당 전무이사는 19일(현지시간) ‘제3회 사우디 자본시장 포럼’ 패널 세션에 참석해 “아람코는 최대 50년 만기의 장기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면서 “시장이 개선되면 올해 안에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알 무르쉬드 전무이사는 “우리는 항상 단기적인 목표보다 장기적인 목표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많은 목표를 검토하고 있으며 부채 만기 일정을 평탄화하는 것이 중장기 채권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배당금 전망과 관련해 아람코는 지속가능성과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게 알 무르쉬드 전무이사 설명이다. 실제 아람코는 지난해 배당금을 기존 750억 달러(약 100조3650억원)에서 780억 달러(약 104조3796억원)로 4% 증액했다. 알 무르쉬드 전무이사는 “올해 기본 배당금은 이사회 논의를 거쳐 결정할 것”이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에도 일관된 배당을 통해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는 데 노력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아람코
[더구루=오소영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의 개발사 오픈AI가 엔비디아의 잠재 라이벌로 불리는 영국 '그래프코어' 인수를 모색한다. AI 반도체 기술을 확보해 자체 생산에 나선다. 이를 통해 AI 시장 성장에 따른 반도체 공급 우려를 해소한다는 복안이다. 그래프코어를 눈독들이는 곳은 오픈AI만 있는 것은 아니다. ARM과 소프트뱅크 등도 인수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몸값'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영국 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그래프코어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인수액은 약 5억 달러(약 6700억원)로 추산된다. 그래프코어는 엔비디아 출신 개발자들이 2016년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2020년 코어와 램을 하나의 프로세서에 탑재해 AI 연산에 특화된 지능형처리장치(IPU) '콜로서스 MK2 GC200'를 개발해 이목을 모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공급 계약을 맺고 투자도 유치했다. MS뿐만 아니라 삼성과 세쿼이아 캐피털, 로버트 보쉬 벤처캐피털, C4벤처스 등으로부터 약 7억 달러(약 9400억원)를 조달했다. 2020년 말 기준 기업 가치는 28억 달러(약 3조7500억원)에 달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