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북미 디자인 컨트롤타워 '현대 디자인기술센터'(Hyundai Design and Technical Center)를 확장하기 위해 캘리포니아 LA 인근 어바인 지역 신축 건물에 대해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해 센터 내 기술 부문이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센터와의 거리는 약 1마일(1.6㎞) 수준으로 협업과 교류는 지속될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미국 산업용 부동산개발업체 '데르모디 프라퍼티'(Dermody Properti)와 클래스 A급 시설 '로지스티센터 앳 어바인 2'(LogistiCenter at Irvine II) 사전 임대(pre-leases) 계약을 체결했다. 사전 임대는 부동산 임대 계약 체결 전 계약서 내용이나 조건을 미리 합의하거나 사전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로지스티센터 앳 어바인 2은 데르모디가 진행하는 어바인 산업 프로젝트 일환으로,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어바인에 마련되고 있는 시설이다.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돼 전략적 위치를 자랑한다. 존웨인 공항, 롱비치 항구 등과 접근성이 뛰어나다. 특히 시설 인근 다양한 상점과 레스토랑이 즐비한데다 학교와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래 모빌리티 트렌드가 급변하면서 차량 시스템 통합과 고객 니즈 다양화로 시장 주도권 경쟁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반 자동차(SDV) 전환을 필두로 전동화,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커넥티비티 등 차량의 전장화에도 한층 속도가 붙고 있다. 이에 더해 전기차 캐즘과 보호 무역주의 심화로 업계 내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OE와 부품사들은 생존을 위한 연구개발과 합종연횡에 사활을 건 분위기다. 이 같은 대내외 경영환경에 맞춰 올해 현대모비스는 ‘수익성에 기반한 내실 있는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차량부품 전 영역에 걸쳐 제품 라인업을 보유한 현대모비스가 신속하고 유연하게,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려면 수익성 개선은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현대모비스는 전사, 모든 조직이 근본부터 ‘제로베이스’에서 쇄신을 강구해 수익성 개선을 확실히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합리화와 업무 최적화를 병행해 근본적인 사업 체질 개선의 선순환을 완성하고,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시장을 선도할 선행기술과 제품 경쟁력 확보 노력도 병행한다.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 싱가포르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장을 일궜다. 브랜드 전동화 전략을 토대로 친환경차 시장을 공략한 데 따른 성과이다. 싱가포르의 탄소중립 정책에 발맞춰 전기차 인프라를 구축을 병행하며 ‘친환경 자동차 메이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3일 싱가포르 국토교통청(LTA: Land Transport Authority)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싱가포르 자동차 시장에서 총 3266대를 판매했다. 월평균 약 272대를 판매한 셈이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 대비 79.5% 증가한 2052대, 기아는 전년 대비 3.5% 성장한 1214대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4.76%와 2.82%로 집계됐으며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6위와 10위에 랭크됐다. 지난해 싱가포르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2.3% 증가한 4만3022대로 집계됐다. 특히 현대차의 판매량이 두드러진다. 아이오닉 5·6 등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을 앞세운 친환경차 시장 공략이 성과를 냈다. 이들 모델은 모두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서 생산을 맡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녔다. HMGICS는 제조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R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세계 최대 규모 광고판으로 불리는 미국프로풋볼(NFL) 챔피언 결정전 '슈퍼볼'(Super Bowl) 올해 광고를 건너뛴다. 신차 출시 계획을 고려할 때 틱톡 등 대체 플랫폼이 광고비 등 여러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슈퍼볼 광고를 패스하기로 했다. 올해 슈퍼볼은 내달 9일 열린다. 슈퍼볼 광고 효과와 파급력은 여전하지만, 1분기 신차 출시 계획 등을 고려할 때 1초당 2억원이 훌쩍 넘는 막대한 광고비를 지불하기에는 기대 효과가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특히 현대차는 5년 연속 불참이다. 현대차 슈퍼볼 광고는 2020년이 마지막이었다. 당시 현대차는 슈퍼볼 광고를 통해 쏘나타 원격 스마트 주차 기능을 강조한 영상 'Smaht Pahk'을 선보인 바 있다. 기아의 경우 슈퍼볼 광고를 패스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이다. 지금까지 지난 2021년을 제외하고 14번의 슈퍼볼 광고를 집행했었다. 슈퍼볼 광고를 집행하지 않는 글로벌 자동차 업체는 현대차·기아뿐 아니다. 토요타와 폭스바겐 그리고 BMW, 닛산, 제너럴모터스, 아우디, 혼다, 포드, 메르세데스-벤츠, 렉서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브라질 볼륨 모델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남미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브라질 당국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수입관세 폭탄을 예고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브라질 현지 생산과 우루과이 위탁 생산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23일 기아 브라질판매법인에 따르면 현지 볼륨모델인 스포티지 하이브리드를 남미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브라질 하이브리드차 수입관세가 내년 7월 35%까지 인상되는 것을 고려한 선제 대응 차원이다. 현지 당국은 올해 수입관세 30% 적용을 예고한 상태이다. 지난해 5월 기준 하이브리드차 수입관세가 10%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2년 동안 상승 폭은 25%포인트에 달한다. 호세 루이즈 간디니(José Luiz Gandini) 기아 브라질법인장은 "주력 제품인 스포티지 하이브리드의 브라질 내 판매를 멈출 수 없기 때문에 35% 수입관세는 피해야 한다"며 "내년까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브라질 내 생산 기지가 없는 기아가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은 두 가지이다. 현대차 브라질 공장을 비롯 현지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력해 현지 자동차 생산 공장에 별도 생산 라인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가 북미에 이어 유럽 타이어 시장에 새로운 서브 브랜드를 선보인다. 포트폴리오 확대를 토대로 까다로운 유럽 운전자들의 니즈 충족에 나선다. 지난해 12월 유럽 수장으로 임명된 박종호 유럽본부장의 브랜드 혁신 의지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이다. 한국타이어 유럽판매법인은 22일(현지시간) 유럽 타이어 시장에 고급타이어 전략 브랜드 '옵티모'를 론칭했다고 발표했다. 다양한 타이어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토대로 고객 니즈를 충족하는 한편 유럽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난 2015년 선보인 글로벌 전략 브랜드 '라우펜(Laufenn)'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옵티모 브랜드 판매 라인업은 △섬머 GT △섬머 투어링 △올웨더 △올웨더 SUV △윈터GT △윈터 투어링 총 6종으로 구성됐다. 여름용타이어와 겨울용타이어, 올시즌타이어까지 두루 갖췄다. 타이어 사이즈는 최소 14인치부터 최대 20인치까지 제공된다. 겨울용타이어의 경우 3월부터 판매될 예정이다. 한국타이어는 온·오프라인 판매 네트워크를 구성해 유럽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충성도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판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브라질 연간 판매 20만대 시대를 열었다. 현지 판매 라인업과 현지 네트워크 통합 등을 토대로 현지 수요를 확보한 데 따른 성과이다. 경쟁사인 일본 토요타를 제치고 점유율 기준 4위에 올랐다. 23일 브라질자동차유통연맹(Fenabrave)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해 브라질 자동차 시장에서 총 20만578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8만6227대) 대비 10.50% 증가한 수치이다. 브랜드 판매 순위는 4위에 올랐다. 토요타(20만3647대, 5위)를 2100여 대 차이로 제쳤다. 전년인 2023년에는 토요타(19만2226대)에 6000대가량 뒤처졌다는 점에서 현지 입지 확대가 체감된다. 1위는 피아트가 차지했다. 총 52만1184대를 판매했다. 폭스바겐은 40만2040대로 2위, 쉐보레는 31만4632대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부터 10위는 △르노(13만9048대) △지프(12만1255대) △혼다(9만1311대) △닛산(8만7413대) △BYD(7만6456대)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4분기(10~12월) 들어 판매량이 급증했다. 10월부터 3개월 연속 월간 판매량이 2만 대를 웃돌았다. △10월(2만3105대)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클린 물류망 운영 효율이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해 투입된 수소연료트럭 엑시언트 물류 운송 동선에 포함되는 지역에 전기·수소 혼합 충전소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22일 풀러 위원회(Pooler City Council)에 따르면 'Capitol Development Partners'(CDP)는 지난 6일 열린 풀러 위원회 회의에서 '풀러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풀러는 미국 조지아주 채텀 카운티에 있는 도시이며, CDP는 조지아주 사바나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설사이다. 풀러 프로젝트는 탄소 배출 제로화를 목표로 500 시브룩 파크웨이(500 Seabrook Parkway)에 풀러 전기·수소 혼합 충전소(Pooler EV·Hydrogen fueling station)를 마련하고, 전기와 수소 에너지 충전을 모두 하나의 시설에서 제공하겠다는 내용이 골자이다. 풀러 지역에서 진행하는 최초 친환경 프로젝트인 셈이다. 이날 발표를 맡은 존 노섭 변호사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HMGMA 지원을 위해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MGMA 물류 차량으로 수소트럭 '엑시언트'가
[더구루(성남)=윤진웅 기자] 혼다코리아가 PCX의 2025년형 모델을 공식 출시했다. 배달과 퀵서비스 등 상업용 수요를 고려해 '그립 히터'를 기본 사양으로 넣는 세심한 배려를 토대로 라이더들의 마음을 훔친다. 혼다코리아는 22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고에서 신형 PCX를 공식 출시했다. 오는 24일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 총 4가지 색상으로 구성했으며 판매 가격은 472만 원으로 책정했다. 이전 모델과 비교해 인상 폭이 20만 원에 불과하다. 신형 PCX는 PCX의 아이덴티티와 핵심 스타일링을 계승하면서 한층 세련된 디자인으로 진화했다. 심플하고 날렵해진 LED 헤드라이트를 적용해 고급스러운 프론트 디자인을 완성했다. 비상등과 브레이크등이 구분된 새로운 형태의 리어 라이트와 전면의 넓은 핸들바에 세련된 커버를 장착해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만족시켰다는 평가이다. 파워 유닛은 유로5+(EURO5+) 강화된 환경규제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eSP+(Enhanced Smart Power Plus) 엔진이 탑재됐다. 최고출력 12.5ps/8750rpm의 동급 대비 강력한 성능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55.0km/ℓ(60km/h 정속 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대형 트럭 모델 '엑시언트'를 앞세워 멕시코 대형 상용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약 6년 만에 상품성을 개선한 신형 모델인 만큼 높은 인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2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2025년형 엑시언트가 지난 19일 멕시코 시장에 공식 출시됐다. 멕시코 중부지역 케레타로 산 후안 델 라오에 위치한 자동차 생산시설에서 조립된다. 고객 인도는 이르면 내달부터 진행할 예정이다. 신형 엑시언트는 6년여 만에 상품성을 개선한 모델이다. 1450rpm에서 최고 출력 540마력, 최대 토크 2062lb-ft의 성능을 갖춘 12.7리터 엔진을 탑재했다. 특히 지난 2019년 선보인 2세대 엑시언트 첫 번째 부분 변경 모델인 '엑시언트 프로'와 비교해 장비가 더욱 최신화됐다. 최신 승용차에 우선 적용했던 첨단 장비를 상용차 최초로 도입했다. 대표적으로 디지털 사이드미러(DSM, Digital Side Mirror)가 있다. 이는 광학 사이드미러를 카메라와 모니터로 대체하는 장비로, 야간과 우천 주행 시에도 선명한 후방 시야를 제공한다. 현대차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connected car Navigation C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4위'를 기록했다.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한 맞춤형 전략을 토대로 '톱3' 진입을 목표했으나 현대차의 정체와 기아의 부진으로 3위 르노그룹과의 판매 격차가 22만 대가량 벌어지면서 역전에 실패했다. 21일 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총 106만3517대를 판매했다. 전년(110만6604) 대비 3.9% 감소했다. 이는 유럽연합(EU) 회원국 27개와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소속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등 4개국과 영국 판매를 합산한 결과다. 시장 점유율은 전년(8.6%)보다 0.4%포인트 감소한 8.2%로 집계됐다. 제조사 그룹별 연간 판매 순위는 4위를 유지했다. 폭스바겐그룹이 같은 기간 340만7242대로 1위를 차지했고, 스텔란티스와 르노그룹이 각각 196만9594대와 128만2453대로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토요타그룹은 100만6073대로 현대차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6위부터 10위는 △BMW그룹(92만3202대) △메르세데스-벤츠(69만6907대) △포드(42만6307대) △볼보(36만9689대) △테슬라(32만
[더구루=윤진웅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지난해 유럽 시장을 필두로 글로벌 판매량을 확대했다. 특히 르노코리아의 활약이 빛났다. 사명 변경 이후 처음 선보인 신규 모델 그랑 콜레오스 흥행을 성공시키며 한국 시장 존재감을 대폭 키웠다. 르노그룹 내 상위 '톱15' 시장 목록에 한국이 꼽혔다. 21일 르노그룹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총 226만481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수치이다. 브랜드별 판매량은 르노가 전년 대비 1.8% 확대된 157만7351대, 다시아와 알파인은 각각 전년 대비 2.7%와 5.9% 증가한 67만6340대와 4585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특히 유럽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대폭 확대됐다. 유럽에서만 159만9051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2배가량 높은 연간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에 따른 매출 상승 폭은 3.5%를 기록했다. 그룹 전체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다시아 산데로가 유럽 브랜드 베스트셀링카로 실적을 견인했다. 유럽 국가 중에선 프랑스가 54만1795대로 가장 높은 판매량을 나타냈고 이어 이탈리아(20만5423대)와 스페인(14만9697대), 독일(14만4586대) 순으로 많았다. 유럽 외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HMD(Human Mobile Devices)'이 세계 최고 인기 축구팀 중 하나인 FC바르셀로나와 손잡고 중국에서 노키아 피처폰을 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HMD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에서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레이션한 바르사 3210(Barça 3210) 피처폰을 선보였다. HMD는 클래식 노키아 휴대전화의 매력과 FC바르셀로나의 브랜드를 결합해, 노키아를 좋아하는 축구팬을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르사 3210은 HMD와 FC바르셀로나가 맺은 파트너십에 따라 제작됐다. 양사는 지난해 8월 3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르사 3210이 처음 출시된 것은 지난 4월이다. HMD는 바르사 3210 외에도 컬래버레이션 스마트폰인 '바르사 퓨전'도 출시했었다. 바르사 3210은 지난해 출시된 노키아 321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4G 통신망을 지원하며 200만화소 후면 카메라 1개가 장착됐다. 디자인은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한 제품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엠블럼과 상징색이 사용됐다. 휴대전화 후면에는 FC바르셀로나를 상징하는 자주빛의 빨간색과 엠블럼이 각인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