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와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가 부동산 핀테크 스타트업 스테이크(Stake)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스테이크는 11일 1400만 달러(약 200억원) 규모 신규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미들이스트벤처파트너스(MEVP)가 대표로 주선했다. 아람코 산하 와에드벤처스와 무바달라가 참여했다. 이외에 미국 사모펀드 리퍼블릭이 자금을 댔다. 스테이크는 UAE 두바이에 본사를 둔 부동산 투자 전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다. 해외 투자자들이 이 플랫폼을 이용해 중동 부동산 시장에 투자할 수 있다. 2021년 설립 이후 현재 이용자는 50만명에 이른다. 3억5000만 디르함(약 1300억원) 규모 200개 이상의 부동산을 거래했다. 스테이크는 신규 자금을 기반으로 사우디아리비아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이외 함께 투자자 기반 확대, 플랫폼 개선, 인력 충원 등에도 사용할 예정이다. 라미 타바라 스테이크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부동산 투자 프로세스를 완전히 디지털화해 접근성을 개선하고 국경을 초월한 투자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오만이 미국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기업 아워넥스트에너지(ONE)에 투자했다. 엠플러스와 엘앤에프 등 아워넥스트에너지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오만투자청(OIA)은 지난해 투자한 6개의 스타트업 명단을 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번 명단에는 △아워넥스트에너지 △유라타(Jurata) △일렉트릭 하이드로젠(Electric Hydrogen) △에너지 돔(Energy Dome) △하이사타(Hysata) △e무시리프(eMushrif)가 포함됐다. 아워넥스트에너지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에너지 저장 기술 스타트업으로 애플의 자율주행차 프로젝트인 ‘타이탄’을 이끌던 뮤지브 이자즈가 지난 2020년 설립했다. 1회 충전으로 1200㎞를 달릴 수 있는 배터리 시제품을 테슬라 모델S에 탑재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아워넥스트에너지는 이번 투자를 유치하면서 오만의 에너지 저장·배터리 제조 분야 협력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아워넥스트에너지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한국 기업들에게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아워넥스트에너지는 지난해 엠플러스와 약 709억원 규모의 장비 계약을 체결했다. 탑머
[더구루=오소영 기자] 운동선수와 기후과학자 등으로 구성된 미국 비영리기관이 일본 토요타의 올림픽 후원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기차 전환에 소홀해 매년 방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했고, 내달 개최 예정인 파리올림픽에서도 하이브리드차를 제공하면서 100% 순수전기차(EV) 공급으로 홍보했다는 지적이다.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파리올림픽의 정신과 배척된다며 토요타를 강력히 비판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에코애슬레틱스(Ecoathletes)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 3일(현지시간) 토마스 바흐 위원장을 비롯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회와 토니 에스탕게 파리올림픽 조직위원장에 공개 서한을 보내 토요타와 후원 계약을 갱신하지 말아 달라고 주문했다. 에코애슬레틱스는 스포츠 산업에 기후 변화 대응을 촉진하고자 설립된 비영리 기관이다. 운동선수와 기후과학자, 언론인 등으로 구성됐다. 에코애슬레틱스는 서한에서 토요타를 '세계 최대 화석연료 자동차 생산업체'라고 평가했다. 이 기관은 "내연기관차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대신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며 "올해 도로에 1100만 대 이상 추가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이는 토요타의 (탄소) 배출량이 엄청나다는 것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최근 총선에서 3연임에 성공한 나렌드라 모디(73) 인도 총리가 국가 전략의 일환으로 해운회사를 설립한다. 향후 10년 동안 최소 1000척의 선대를 확장해 외국 선사의 의존도를 줄여 인도의 해상 무역 자립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는 석유, 가스, 비료 산업의 국영 기업과 인도국영해운공사, 외국 파트너 간의 합작 해운회사를 설립한다. 아직 사명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인도 정부 주도 하에 설립돼 운영된다. 본사는 인도 구자라트주에 위치한 국제금융기술도시(GIFT IFSC)에 위치해 세금 혜택과 간소화된 규제 혜택을 받는다. 합작 해운사는 또 주요 항만 당국과 협력해 3000억 루피(약 4조9000억원)의 해양 개발 펀드로부터 시드 파이낸싱을 받는다. 국영 기업은 새 해운사와 15년간 장기용선계약(TCP)을 체결해 저비용 장기 대출을 추진한다. 인도 정부가 해운사를 설립하는 이유는 외국 선사와의 선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인도 정부는 새 해운사를 통해 오는 2047년까지 외국 선사의 운임 비용을 3분의 1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는 수출과 수입이 확대됨에 따라 2047년까지 해운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과 영국 수출금융청(UKEF)이 양국 교역 확대를 위해 협력한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IDV와 UKEF는 지난 3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BIDV 본사에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MOU에 따라 양측은 영국과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간 무역 거래 등에 협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인프라·교통·재생에너지 등 지속가능한 발전 사업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영국은 유럽 국가 가운데 베트남의 세 번째로 큰 교역국이다. 작년 기준 교역액은 73억 달러에 이른다. 작년 말 현재 영국의 베트남 직접투자액은 42억 달러에 이른다. UKEF측은 "재생에너지, 녹색 인프라,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BIDV측은 "UKEF와 협력해 두 나라 간 경제 협력을 촉진하는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BIDV는 베트남 자산 규모 1위 은행이자 4대 국영 상업은행 가운데 하나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9년 11월 BIDV의 지분 15% 취득해 2대 주주에 오른 바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가 플레이스테이션(PS) VR2를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어댑터를 출시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소니는 오는 8월7일 PS VR2 PC 어댑터를 출시한다. 해당 어댑터를 구매한 이용자들은 PC 게임 플랫폼인 스팀에서 VR(가상현실) 게임을 다운로드해 플레이 할 수 있다. 해당 어댑터 가격은 59.99달러(약 8만2000원)에 책정됐으며 어댑터를 PC에 연결하고 PS VR2를 연결하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다. PC는 윈도우 10 64비트 이상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해야하며 중앙처리장치(CPU)는 인텔 코어 i5-7600, AMD 라이젠 3 3100 이상 급이 장착돼 있어야한다. 메모리를 8GB 이상, 그래픽처리장치(GPU)는 엔비디아 지포스 GTX 1650 이상, AMD 라데온 RX 5500 XT 이상이 필요하다. 권장사양은 지포스 RTX 3060, 라데온 RX 6600XT 이상이다. 디스플레이포트 1.4를 지원해야 연결할 수 있다. 소니는 PS VR2가 PS5 용으로 설계된 만큼 PC에서는 일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소니에 따르면 HDR, 헤드셋 피드백, 시선 추적, 적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 애드녹(ADNOC)이 싱가포르 선사인 나빅8(NAVIG8)을 인수하며 유조선 선대를 확충한다. 애드녹은 나빅8 인수로 에너지 해상 물류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애드녹의 해운 자회사 애드녹 엘엔에스(Adnoc L&S)는 최근 5개 대륙에서 활동하는 싱가포르 해운회사 나빅8을 인수한다. 이번 인수는 강력한 인수합병(M&A) 실적을 바탕으로 혁신적 성장 전략을 실현하고, 상장 1년 만에 50억 달러(약 6조 8400억원) 이상의 전략적 투자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애드녹 L&S를 통해 이뤄졌다. 애드녹 L&S는 나빅8의 지분 80%를 올해부터 10억 4000만 달러(약 1조4000억원)를 투자해 인수한다. 나머지 20%는 오는 2027년에 3억3500만~4억5000만 달러(약 4500~6100억원)에 인수할 예정이다. 이번 인수 거래는 즉각적인 가치 창출이 이어질 전망이다. 애드녹 L&S의 주당 수익은 첫해에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나빅8은 지난해 4억 달러(약 5483억원)에 가까운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최대 에너지기업인 우드사이드 에너지(Woodside Energy)가 일본국제협력은행(JBIC)를 통해 호주 북서부 해안의 '스카버러(Scarborough)' LNG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받는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우드사이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JBIC과 10억 달러(약 1조3700억원) 규모의 차관 계약을 체결했다. JBIC의 대출은 우드사이드의 재무상태를 더욱 강화해 다양한 자금과 유동성을 제공한다. 이번 차관 계약은 일본의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확보하고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22년 11월 우드사이드와 JBIC가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따른 것이다. JBIC 대출은 민간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제공돼 일본에서의 대출금을 합산하면 총 14억5000만 달러(약 1조9800억원)에 이른다. 멕 오닐(Meg O'Neill) 우드사이드 최고경영자(CEO)는 "JBIC 대출은 우드사이드의 호주 LNG 프로젝트에 대한 일본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신뢰를 반영한 것"이라며 "JBIC는 노스 웨스트 쉘프(North West Shelf), 플루토 LNG(Pluto LNG), 그리고 스카버러 프로젝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정부가 국가 로봇 공학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로봇공학과 자동화 기술의 책임 있는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호주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고, 제조업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미래산업 전략으로 국가 로봇 공학 전략을 개발하고 산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호주는 국가로봇전략자문위원회(National Robotics Strategy Advisory Committee)를 발족해 국가 로봇 전략을 개발했다. 국가로봇공학전략은 호주 산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한 책임감 있게 로봇 공학과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을 목표로 한다. 비전 달성을 위해 4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목표를 설정한다. 주제는 △로봇 공학과 자동화 생태계 구축 △로봇 공학과 자동화 채택 증가 △안전하고 윤리적이고 합법적인 로봇 사용 △모든 호주인들이 채택할 수 있는 로봇 기술 다양성 등이다. 국가로봇전략자문위원회에 따르면 로봇 산업은 2030년까지 호주의 국내총생산(GDP)에 최소 1700억 호주 달러(약 153조8100억원)에서 최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에너지가 추진 중인 대규모 가스전 노스필드(North Field Expansion, NFE)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파트너로 대만중유공사(CPC)를 택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5일(현지시간) 대만 CPC와 LNG 공급과 NFE 확장 프로젝트의 파트너십을 수반하는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식에는 사드 셰리다 알-카비(Saad Sherida Al-Kaabi) 카타르 에너지부 국무장관 겸 카타르에너지 사장과 이순진 CPC 회장이 참석해 협약에 서명했다. 이번 계약에는 양사가 27년 동안 NFE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연간 400만 톤(MTPA)의 LNG를 CPC에 공급하는 LNG 판매·구매 계약(SPA)이 포함됐다. 또 카타르에너지는 NFE 프로젝트의 지분 5%를 CPC로 이전한다. 지분 양도는 일일 800톤 용량의 NFE 트레인 한 대에 대한 지분과 동일하다. 카타르에너지는 CPC와의 파트너십이 NFE 프로젝트에 대한 기존 주주들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드 셰리다 알-카비 장관은 "30년 이상 지속돼 온 CPC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전 세계 고객과 파트너에 대한 우리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5월 개최된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에서 눈길을 끌지 못한 소니가 이달 열리는 글로벌 게임 축제 섬머 게임 페스트 2024에서 다수의 신작을 발표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는 7일(현지시간) 개최되는 섬머 게임 페스트에서 다수의 퍼스트 파티 신작 타이틀을 공개한다. 해당 소식은 게임업계 팁스터인 미도리(@MbKKssTBhz5)에 의해서 알려졌다. 소니가 어떤 게임을 공개할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게임은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다. 레고 호라이즌 어드벤처에 대해서는 이미 다수의 유출자들이 가능성이 크다고 거론하고 있다. 또한 섬머 게임 페스트의 진행자인 제프 키글리와 코지마 히데오의 관계를 고려해 데스 스트랜딩2도 공개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외에도 마블의 스파이더맨2 DLC(다운로드 가능 콘텐츠, Down Loadable Contents)도 발표 확률이 크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소니가 5월에 열린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가 이용자들에게 기대감을 뛰어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줬던 만큼 이번 섬머 게임 페스트도 실망스러
[더구루=한아름 기자] 알리바바가 파리올림픽 주관 방송 서비스사인 올림픽 방송 서비스(Olympic Broadcasting Service·이하 OBS)와 협업한다. 전 세계에 인공지능(AI) 기반 멀티 카메라 반복 재생 서비스(이하 AI 카메라 서비스)와 클라우드 기술을 선보이고 마케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OBS에 따르면 다음달 26일부터 열리는 제33회 파리 올림픽에 알리바바의 AI 카메라 서비스와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한다. OBS는 지난달 열린 성능 테스트에서 알리바바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며 도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알리바바의 AI 카메라 서비스는 다양한 각도의 경기 장면을 끊임없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클라우드 기술은 카메라가 찍은 영상을 동영상 콘텐츠로 신속하게 송출할 수 있다. 현장 중계차에서 인공위성과 송신탑 등을 거쳐 인터넷으로 송출되던 기존 방식과 달리 바로 인터넷 등으로 송출할 수 있어 장비와 인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중들은 실시간 경기 중계가 끝난 후 인터넷에서 관련 콘텐츠를 더 많이,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됐다. 알리바바는 이번 협업을 시작으로 전 세계 방송 서비스사와 협업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